최고봉 국어 2020. 7. 8. 20:23

Ⅰ.향가

1. 향가의 명칭과 기원

 

향가는 한자의 음과 훈()을 빌어 적은 향찰(鄕札)표기에 의해 기록되어 전하는 신라 및 고려시대의 시가를 말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향가는 삼국유사에 실린 14수와 균여전에 실린 11수 등 모두 25수의 시가를 지칭하는 장르 명칭

 

1) 명칭

() -  시골이란 말이 암시하듯 중국에 대한 우리나라 노래의 비칭(卑稱)의 뜻으로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향은 행정구획상의 명칭으로서 ()’가 아니라 ()’ 곧 서울 안이며 왕성의 좌우에 즐비한 마을의 총칭이며, 나아가 나라를 가리키는 말

 * '향가'란 광의로는 중국시에 대한 우리 나라의 독특한 시가라는 뜻.

 

이 외의 명칭

도솔가, 사뇌가, 사뇌, 시뇌 등

 

2) 향가 기원

현전하는 향가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의 작품은 서동(書童). 이 작품의 성립 시기는 6세기 경이다. 그러나 이 노래 이전에도 가사는 전하지 않고, 작품명만 알려져 오는 노래들이 여러 편 있다. 구전 가요가 아닌 기록가요로써 향가가 최초로 성립된 것은 유리왕 5(28) 도솔가(兜率歌)의 제정에서 비롯되며, 이후 점차 발전을 거듭하여 6세기 전반 융천사의 혜성가(彗星歌)에 이르면서 비로소 10구체의 완성된 시형태를 낳게 됨.

 

3) 삼대목(三代目)

-‘삼국사기진성왕 2(888)에 왕이 각천 김위홍과 대구화상에게 역대의 향가를 모은 삼대목이라는 책의 편찬을 명한 기사가 보임. - 전해지지 않음.

 

4) 1세기 초에 비롯된 향가는 여말여초의 승려인 균여의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를 거쳐 고려에 접어 들어서도 그 잔영을 보여주다가 문학사의 이면으로 자취를 감추게 된다. 고려의 작품으로서는 예종의 도이장가(悼二將歌)가 있지만 전해오지 않는다.

 

2. 갈래

1) 도솔가(兜率歌)

- 당시 도솔가는 구체적인 한 노래를 지칭하는 것. 그러나 나중에 향가의 하위 장르로서 일군(一群)의 시가를 지칭하는 명칭으로 발전.

- 국가적 차원으로 백성들을 위해 지어진 치리가(治理歌)

- 월명사의 도솔가(兜率歌), 융천사의 혜성가(彗星歌), 충담사의 안민가(安民歌)

 

2) 사뇌가

사뇌(詞腦)란 말은 문헌에 따라 사내(思內)’ 혹은 시뇌(詩腦)’라고 표기되기도 하는데 의미는 서로 같다.

사뇌(詞腦)라는 명칭은 어느 특정 가요의 이름으로 사용된 것이 아니라 도솔가와 마찬가지로 특정 시가군에 대한 범칭으로 사용됨

 

3) 불찬가 균여의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에 국한

 

3. 형식

-형식면에서 볼 때 우리나라 최초의 정형시

창작시기를 통해 보면 4구체와 8구체, 10구체 사이에 시간적 계기성은 발견할 수 없다.

4구체에서 10구체로의 발달은 향가가 공동의 노래에 기초한 민요적 성격에서 출발하여 점차 심화된 개인의 서정을 담는 정서의 확장을 이룩해 나갔던데 기인.

각각의 양식은 대체소멸의 길을 걸었던 것이 아니라, 선행양식들과 공존하면서 향가의 폭과 너비를 확장시킴

 

1) 4구체 가장 단순하고 소박한 민요적 시형

서동요, 풍요(風謠), 헌화가(獻花歌), 도솔가(兜率歌) 4편이 전한다.

4구체 향가는 고대 가용의 기본형태가 되는 가장 기본적인 노래 호흡의 단위

4구체 향가는 단형으로 된 짤막한 시형 : 복잡한 개인의 생활 감정이나 사상을 담을 수 없음.

민요나 창작 가요가 대부분

내용 집단노래이거나 짤막한 애정의 사연, 혹은 주술적 내용

 

2) 8구체 4구체를 중첩시킨 시형

모죽지랑가(慕竹旨郞歌), 처용가(處容歌)

구체적인 시적화자의 감정전달이 이루어지고 있음.

8구체로의 확장은 집단의 노래, 공동의 노래에서 개인의 노래로의 전이를 의미

 

3) 10구체 8구체에 감탄사로 시작되는 낙구(落句) 2구를 보태어 완성형

혜성가(彗星歌), 원왕생가(元王生歌), 원가(怨歌), 제망매가(祭亡媒歌), 안민가(安民歌),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 도천수대비가(禱千手大悲歌), 우적가(遇賊歌) 8편과 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 11수 등 모두 19편이 전해짐

 

낙구의 첫부분이 감탄사로 시작되는 것은 8구까지에서 전개되어 온 시상을 비약시켜 전체를 마무리 짓는 기능 10구체 향가 형태를 발견함으로써 그들의 정서와 생각을 충분히 예술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 됨.

 

4. 작가

 

1) 작가층

화랑이나 승려 뿐만아니라 민요적 속성을 지니고 있는 4구체 작품의 문학 담당층인 하층민을 포함하여 광범위한 분포.

 

5. 향가의 개관

 

작품명

작가

연대

형식

출전

서동요(薯童謠)

백제 무왕의 소년시대

신라 진평왕

4구체

삼국유사 권2 무왕조

혜성가(彗星歌)

융천사(融天師:승려)

진평왕

579 ~ 631

10구체

동서 권5 융천사 혜성가

풍요(風謠)

민요

신라 선덕왕

632 ~ 647

4구체

동서 권4 양지사석(良志使錫)

원왕생가(願往生歌)

광덕(廣德:승려)

신라 문무왕

661 ~ 681

10구체

동서 권5 광덕 엄장

모죽지랑가(慕竹旨郞歌)

득오(得烏:화랑)

신라 효소왕

692 ~ 702

8구체

동서 권2 죽지랑(竹旨郞)

헌화가(獻花歌)

견우노인(牽牛老人)

신라 성덕왕

702 ~ 737

4구체

동서 권2 수로부인(水路夫人)

원가(怨歌)

신충(信忠:화랑)

신라 효성왕

원년(737)

10구체

(현존 8)

동서 권5 신충괘관(信忠掛冠)

도솔가(兜率歌)

월명사(月明師:승려)

신라 경덕왕

9(760)

4구체

동서 권5 월명사 도솔가(兜率歌)

제망매가(祭亡媒歌)

월명사(月明師:승려)

신라 경덕왕

742 ~765

10구체

동서 권5 월명사 도솔가(兜率歌)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

충담사(忠談師:승려)

신라 경덕왕

742 ~765

10구체

동서 권2 경덕왕 충담사

안민가(安民歌)

충담사(忠談師:승려)

신라 경덕왕

742 ~765

10구체

동서 권2 경덕왕 충담사

천수대비가(千手大悲歌)

희명(希明:부녀자 )

신라 경덕왕

742 ~765

10구체

동서 권3 분황사 천수대비

우적가(偶賊歌)

영재(永才:승려)

신라 원성왕

785 ~ 798

10구체

동서 권5 영재우적(永才愚賊)

처용가(處容歌)

처용랑(處容郞:화랑)

신라 헌강왕

5(879)

8구체

동서 권2 처용랑

예경제불가(禮敬諸佛歌칭찬여래가(稱讚如來歌광수공양가(廣修供養歌참회업장가(懺悔業障歌수희공덕가(隨喜功德歌청전법륜가(請轉法輪歌청불주세가(請佛住世歌항순중생가(恒順衆生歌보개회향가(普皆廻向歌총결무진가(總結無盡歌)

균여대사(均如大師)

신라 신덕왕 6~ 고려광종 24(919~973)

10구체

대화엄수좌원통

양중대사 균여전

(大華嚴首座圓通

兩重大師均如傳)

7 가행화세분

(歌行化世分)

 

 

참고 문헌

 

성기옥 외, 「한국문학개론」, 새문사, 1995.

정병욱, 「증보판 한국고전시가론」, 신구 문화사,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