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2 문학/고2 미래엔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 - 백수광부의 아내

최고봉 국어 2023. 3. 2. 12:17

공무도하(公無渡河)        님이여 그 을 건너지 마오

공경도하(公竟渡河)        님은 결국 을 건너셨네

타하이사(墮河而死)        에 빠져 돌아가시니

당내공하(當奈公河)        가신 임을 어이할꼬

 

 

 

1. 배경 설화 - 중국 진(晉)나라 때 최표가 쓴 「고금주(古今注)」에 설화가 전해지고 있다. 이 노래와 설화가 조선 정조 때 한치윤이 엮은 「해동역사」 동서 제22 악가(樂歌) 악무(樂舞)조에 기록됨

 

  「공후인(箜篌引)」이란 노래는 조선 땅의 뱃사공 곽리자고의 처 여옥(麗玉)이란 여자가 지은 것이다. 자고가 새벽 일찍이 일어나 나루터에 가서 배를 수리하고 있었다. 그때에 난데없이 머리가 새하얗게 센 미치광이 한 사람이 머리를 풀어헤친 채 술병을 끼고 비틀비틀 강물 속으로 들어가는 것이었다. 그리고 그 뒤에는 그 늙은 미치광이의 아내가 쫓아오면서, 목이 찢어지도록 남편을 부르면서, 한사코 남편을 물에 들어가지 못하도록 말리는 것이었다. 그러나 아내의 애절한 정성도 보람 없이, 그 늙은이는 깊은 물 속으로 휩쓸려 들어가, 기어이 물에 빠져 죽고 말았다. 죽을 힘을 다하여 쫓아오던 아내는 남편의 그런 죽음을 당하자, 들고 오던 공후를 끌어 잡고 튀기면서 공무도하(公無渡河)의 노래를 지어 불렀다. 그녀의 노랫소리는 말할 수 없이 구슬펐다. 노래를 마치자, 그 아내 또한 스스로 몸을 물에 던져 죽어가는 것이었다.

 이러한 뜻밖의 일을 당한 자고라는 그 뱃사공은 제 눈을 의심하는 듯 집으로 돌아가, 여옥이라는 자기 아내에게 처름부터 끝까지 본대로 그 일을 이야기하고, 또한 그 노래의 사설과 소리를 아내에게 들려 주었다. 남편의 이야기와 노랫소리를 다 듣고 난 여옥은 저도 모르는 사이에 눈물을 흘리며, 벽에 걸린 공후를 끌어 안고 남편이 일어주는 대로 그 노래를 다시 한 번 불러 보았다. 그리하여 이 노래를 듣는 사람이면 누구나 눈물을 막을 수 없었고, 울음을 터뜨리지 않는 사람이 없었다. 여옥은 옆집에 살고 있는 친구 여용에게 이 노래를 가르쳐 주고, 또한 노래 이름을 공후인이라 부르기로 했다.

 

 

2 노래가 제의의 거룩한 공간으로부터 벗어나 현실의 경험 공간에서 일어나는 인간적 삶의 문제에까지 내려앉기 시작하는, 생성기 시가의 또 다른 국면

 

3. 기록과 전승이 중국 중심으로 이어지고 자료 또한 중국의 고악부 형태로 중국노래로 의심 받기도 함. 그러나 고조선 말기 대동강 유역에서 발생한 우리 민요가 한사군 때 중국으로 건너가 악부화된 것.

 

4. 핵심 정리

① 갈래 - 고대 가요, 한역시가

② 성격 - 서정적, 애상적, 체념적

③ 제재 - 물을 건너는 임

④ 주제 - 임을 여읜 슬픔

 고조선의 노래로, 문헌상 가장 오래된 서정 가요

 

5. '물'의 이미지 변화

사랑 → 이별 → 죽음

 

더 알아보기

 

 * 위만 조선 후기 철기 문화의 경험과 더불어 세계의 연속성에 대한 믿음의 흔들림이 마침내 죽음의 문제에까지 확산되어 나가는, 노래 형성층의 이중적인 전환기 의식을 단적으로 반영

* 죽음을 철저히 경험적 현실의 문제로 받아들이는 아내의 비극적 의식을 표출한 극적 독백체 형태의 민요.

* 구지가의 거룩한 제의 공간으로부터 벗어나는 과정을 엿볼 수 있는 자료이면서 한국 서정시의 발생이라는 생성기 시가의 또 따른 국면을 엿볼 수 있음.

* 남편의 죽음과 등식의 관계를 이루고 있는 세계의 상실은 곧 남편과의 화해로운 삶을 통해 획득할 수 있는 자아의 동일성을 상실하는 것 그 자체. 그러므로 서정민요로서의 공무도하가에 표출된 동일성의 상실은, 세계의 연속성에 대한 믿음의 상실에서 비롯된 한국 서정시의 출현 문제와 잇닿아 있음.

 

 

참고문헌

 

정병욱, 「증보판 한국고전시가론」, 신구문화사, 2003.

성기옥 외, 「한국문학개론」, 새문사,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