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2 문학/고2 미래엔

절명시 - 황현

최고봉 국어 2023. 3. 8. 14:37

절명시(絶命詩- 국권 피탈의 상황을 맞이해 지식인으로서 올바른 처신과 도리를 생각하며 자살하기로 결심하고 시를 씀)황현

 

1

 

亂離溒到白頭年(난리원도백두년)            난리 통에 어느새 머리털 다 세웠는데(난리를 겪은 지 오래됨)

氣合捐生却未然(기합연생각미연)            몇 번 목숨 버려야 했건만 그러질 못했네

今日眞成無可奈(금일진성무가내)            오늘(국권 피탈)은 정녕 어찌할 수 없게 되었으니

輝輝風燭照蒼天(휘휘풍촉조창천)            바람에 흔들리는 촛불 아득한 하늘 비추는구나

                                                                                               → 순명(殉名-명예를 위하여 목숨을 버리는 것)에 대한 결심

 

 

 

3

 

鳥獸哀鳴海岳嚬(조수해명해악빈)           새와 짐승은 슬피 울고 강산은 찡그리네

槿花世界已沈淪(근화세계이침륜)           무궁화 세계(우리나라)는 이미 사라지고 말았구나

秋燈掩券懷千古(추등엄권회전고)           가을 등불 아래 책 덮고 역사를 생각하니

難作人間識字人(난작인간식자인)           세상에서 글 아는 사람 노릇 하기 어렵구나

                                                                                           → 망국의 지식인으로서의 고뇌

 

 

핵심 정리

 

1. 갈래 한시(칠언 절구)

2. 성격 우국적, 고백적, 절망적, 비탄적

3. 제재 국권의 피탈

4. 주제 나라를 잃은 지식인의 절망과 슬픔

5. 구성

 

 제1

1쇠락해 가는 왕조에 대한 걱정

2죽음에 대한 결의

3지식인으로서 고뇌

4나라를 지키지 못한 것에 대한 한탄

 

 제3

1망국의 비애

2망국의 상황

3지식인으로서의 소임에 대한 생각

4지식인으로 살아가는 일의 어려움

 

6. 특징

       - ‘---4단 구성의 취함

       - 대유법, 감정 이입 등을 사용하여 시적 화자의 정서를 드러냄.

       - 시적 화자의 비통한 심정을 고백적으로 나타냄으로써 독자의 공감을 이끌어 냄.

 

7. 해제

 이 작품은 작가 황현이 1910년 일제에 의해 국권이 피탈되자 이를 안타까워하며 자결하기 전에 지은 한시이다. 일본에 나라를 빼앗기게 된 치욕스런 상황에서 나라를 제대로 지켜 내지 못한 것을 자책하고, 지식인으로서의 책임과 한계를 통감하는 선비의 절절한 심정이 잘 표현되어 있다.

 

8. 작가

 황현(1855~1910)

 조선 말기의 시인이자 문장가. 호는 매천(梅泉). 세종 때 명재상으로 덕망이 높은 황희 정승의 후손이다. 시문에 능하여 이름이 높았으나 시국의 혼란함을 개탄하고 향리에 은거하였다. 1910년 일제에 의해 국권이 피탈되었다는 소식을 듣자 비통함을 이기지 못하고 식음을 전폐하다가 <절명시>를 남기고 자결하였다. 저서로는 매천야록, 오하기문, 매천집, 매천시집, 동비기략등이 있다.

 

 

 

출처 : 미래엔 문학 교과서 + 미래엔 문학 자습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