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2 문학/고2 미래엔

한림별곡 - 한림제유

최고봉 국어 2023. 3. 15. 11:17

한림별곡(翰林別曲) - 한림제유

 

 

<1>

 

원슌문(元淳文) 인노시(仁老詩) 공로ᄉᆞ륙(公老四六)

니졍언(李廷彦) 딘한림(陳翰林) 솽운주필(雙韻走筆)

튱긔(冲氣對策) 광균경의(光鈞經義) 량경시부(良鏡詩賦)

위 시댱(試場)ㅅ 경() 긔 엇더ᄒᆞ니잇고

금ᄒᆞᆨ사(琴鶴士)의 옥슌문(玉笋門生) 금ᄒᆞᆨ사(琴鶴士)의 옥슌문(玉笋門生)

위 날조차 몃부니잇고

 

 

유원순의 문장, 이인로의 시, 이공로의 사륙변려문

이규보와 진화의 쌍운을 맞추어 써 내려간 글

유충기의 대책문(높은 사람의 물음에 답하는 글), 민광균의 경서 해의(解義), 김양경의 시와 부(한시의 체())

아아, 과거(科擧) 시험장의 광경, 그것이 어떠합니까?

금의가 배출한 죽순같이 늘어선 제자들, 금의가 배출한 죽순같이 늘어선 제자들

아아, 나까지 몇 분이나 됩니까.

 

 

핵심 정리

 

1. 갈래 경기체가

2. 성격 풍류적, 향락적, 귀족적, 과시적

3. 제재 1: 시와 부

4. 주제 신흥 사대부들의 긍지와 풍류

5. 특징

    - 신흥 사대부들의 자부심과 객관적 사물에 대한 관심을 표현함.

    - 열거법, 영탄법, 설의법, 반복법 등을 사용함.

6. 해제

 고려 시대 사대부들의 정서를 표현한 대표적인 귀족 문학인 경기체가 가운데 가장 먼저 창작된 작품이다. 전체 8장의 분장체로, 시부(詩賦) · 서적 · 명필 · 명주(名酒) · 화훼 · 음악 · 누각 · 추천 등을 소재로 하여 무신 집권하 문인들의 향락적이고, 유흥적인 생활을 노래하고 있다. 사물의 객관적인 나열, 추상적인 한자 어구의 사용 등을 통해 사대부의 호탕한 기상과 풍류적 태도를 드러내고 자신들의 지식을 과시함으로써 신흥 사대부 계층의 삶과 정서를 잘 보여 주고 있다.

 

 

출처 : 미래엔 문학 교과서 + 미래엔 문학 자습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