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봉 국어 2023. 5. 1. 09:50

  정읍사(井邑詞)

 

前 腔(전 강)        ᄃᆞᆯ(밝음, 기원의 대상)하 노피곰(높이높이) 도ᄃᆞ샤

                           어긔야 머리곰(멀리멀리) 비취오시라

                           어긔야 어강됴리

小 葉(소 엽)        아으 다롱디리                                                                       기: 달에 대한 기원

後腔全(후강전)  져재(시장)녀러신고요

                           어긔야 즌 ᄅᆞᆯ 드욜셰라(걱정, 염려)

                           어긔야 어강됴리                                                                   서: 남편의 안전에 대한 염려

過 篇(과 편)        어느이다 노코시라.

金善調(금선조)  어기야 내 가논  졈그ᄅᆞᆯ셰라

                          어긔야 어강됴리

小 葉(소 엽)       아으 다롱디리                                                                       결: 남편의 무사 귀환에 대한 기원

 

 

 

* 前腔 - 악조(樂調)의 이름

*어긔야 어강됴리, 아으 다롱디리  음악에 맞추어 부르는 뜻없는 소리.

* 져재  시장

*   - 진 곳. 위험한 곳(↔ 달)

* 욜셰라  디딜까 두렵습니다.

* 내 가논  - 남편의 귀갓길/ 아내가 마중 나가는 길/ 부부의 인생길

 

핵심 정리

1. 갈래 - 고대 가요, 백제 가용

2. 성격 - 서정적

3. 주제 - 행상 나간 남편의 무사 귀환에 대한 염려

4. 특징 

           - 현전(現傳)하는 유일한 백제 가요임

           - 후렴구를 사용함

           - 후렴구를 제외하면 시조이 형식과 유사함

          - 대립적 시어(달↔ 진 곳)

 

5. 출전 - 고려사 악지(樂誌)’에 이 노래가 백제 가요로 소개. 그 가사는 악학궤범에 고려가요와 함께 실려 있다.

6. 지은이  어느 행상인의 아내

 

7. 배경 설화

 정읍(井邑)은 전주(全州)에 속해 있는 현()이다. 이 고을에 사는 어떤 사람이 행상(行商)을 떠나 오래도록 돌아오지 않았다. 그 아내가 산꼭대기 바위에 올라가 멀리 바라보며, 남편이 밤길에 오다가 해()나 입지 않을까 염려되어 이를 진흙에 빠지는 것에 비유하여 노래를 불렀다. 세상에 전하기를 산 위에 오르면 망부석(望夫石)이 남아 있다고 한다. 고려사 악지(樂誌)’

 

8. 시조 형식의 근원

이 작품은 형태면에서 후렴(여음구)를 제외하고 의미가 있는 부분만 추출하면 다음과 같이 네 토막 석 줄 형식이 된다.(1구 제외)

 

ᄃᆞᆯ하/ 노피곰 /도ᄃᆞ샤//머리곰/비취오시라.

져재/ 녀러신고요//  ᄅᆞᆯ /욜셰라

어느이다 /노코시라.// 내 가논 / 졈그ᄅᆞᆯ셰

 

 

 

 

2012년 고1 9월 모의고사로 실력 점검하기

 

[813]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

() 먼 후일 당신이 찾으시면

       그때에 내 말이 잊었노라.”

 

       당신이 속으로 나무리면*

       “무척 그리다가 잊었노라.”

 

       그래도 당신이 나무리면

      “믿기지 않아서 잊었노라.”

 

      오늘도 어제도 아니 잊고

      먼 후일 그때에 잊었노라.”

                                                                                             - 김소월, 먼 후일-

  * 나무리면: ‘나무라면의 함경도 방언.

 

() 우리들의 사랑을 위하여서는

      이별이, 이별이 있어야 하네.

   

     높았다, 낮았다, 출렁이는 물살

     물살 몰아 갔다 오는 바람만이 있어야 하네.

 

     오, 우리들의 그리움을 위하여서는

    푸른 은핫물이 있어야 하네.

 

    돌아서는 갈 수 없는 오롯한 이 자리에

    불타는 홀몸만이 있어야 하네.

 

   직녀여, 여기 번쩍이는 모래밭에

   돋아나는 풀싹을 나는 세이고…….

 

   허이연 허이연 구름 속에서

   그대는 베틀에 북을 놀리게.

 

   눈썹 같은 반달 이 중천에 걸리는

   칠월 칠석이 돌아오기까지는,

 

   검은 암소를 나는 먹이고,

 직녀여, 그대는 비단을 짜세.

                                                                                     - 서정주, 견우(牽牛)의 노래-

 

() 달님이시여 높이높이 돋으시어

      멀리멀리 비춰 주소서

      시장에 가 계신가요

     진 데를 디딜까 두렵습니다

     ⓓ어느 곳에나 놓으십시오

     내 가는 데 저물까 두렵습니다

                                                                                   - 어느 행상인의 아내, 정읍사(井邑詞)-

-----------------------------------------------------------------------------

8. ()()의 공통점으로 적절한 것은?

과거에 대한 반성적 성찰이 드러나 있다.

자연물을 통해 화자의 정서를 드러내고 있다.

대상에 대한 화자의 간절한 소망이 담겨 있다.

이상과 현실의 조화로운 상태가 구현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생각하는 삶의 자세가 나타나 있다.

 

9. ()()의 표현상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는 명령형 어미를 사용하고 있다.

()는 공감각적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와 달리 음절수를 늘린 시어를 사용하고 있다.

(), () 모두 반어적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 () 모두 동일한 시구를 반복해서 사용하고 있다.

 

10. <보기>를 바탕으로 ()를 감상할 때, 가장 적절한 것은? [3]

 

<보 기>---------------------------------------------------------------------------------------------------------------------------------------------------

김소월 시의 특징 중 하나는 현재라는 시간 의식이 배제되어 있다는 것이다. 임이 없는 현재 상황에 대한 시인의 부정적 인식을 반영하여 시간은 과거-미래로 직접 연결된다.

과거×현재 ×미래

----------------------------------------------------------------------------------------------------------------------------------------------------------

화자는 먼 후일인 미래에 비로소 과거의 당신을 잊겠군.

그때는 화자가 당신과 이별했던 과거의 상황을 의미하는군.

화자는 당신과의 대결 의지를 현재인 오늘에서 드러내는군.

화자는 먼 후일잊었노라를 결합하여 오늘의 이별 상황을 인정하고 싶어 하지 않는군.

화자가 먼 후일을 생각하고 있는 것은 어제당신이 남긴 약속을 영원히 잊지 못해서이군.

 

 

11. ()㉠∼㉤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 대상에 대한 화자의 애정이 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② ㉡: 화자와 임을 갈라놓는 기능을 하고 있다.

③ ㉢: 만남을 위해서는 고통을 이겨내야 함을 말하고 있다.

④ ㉣: 이별을 참고 견디는 자세가 나타나 있다.

⑤ ㉤: 만날 때까지 주어진 일에 충실할 것을 권하고 있다.

 

12. ‘반달달님을 이해한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반달과 달님은 모두 임의 모습을 나타낸다.

반달과 달님은 모두 화자의 슬픈 정서를 드러낸다.

반달은 만남의 시간을, 달님은 만남의 매개자를 의미한다.

반달은 불완전한 사랑을, 달님은 완전한 사랑을 의미한다.

반달은 임에 대한 그리움을, 달님은 임에 대한 원망을 드러낸다.

 

 

13. <보기>를 바탕으로 ⓐ~ⓔ를 이해할 때,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 기>---------------------------------------------------------------------------------------------------------------------------------------------------

정읍은 전주에 소속된 현()이다. 이 고을 사람이 행상을 떠나 오래도록 돌아오지 않았다. 그 아내는 산 위 바위에 올라가 남편이 있을 먼 곳을 바라보면서 남편이 밤길에 오다가 해를 입지나 않을까 염려하였다. 고개에 올라 남편을 기다리던 아내는 언덕에 망부석으로 변해 남아 있다고 한다.

- 고려사 악지, 삼국 속악 백제조-

----------------------------------------------------------------------------------------------------------------------------------------------------------

① ⓐ에는 남편을 걱정하는 아내의 간절한 마음이 담겨 있다.

② ⓑ에서 남편의 직업이 상인임을 알 수 있다.

③ ⓒ는 남편에게 일어날 수 있는 모든 부정적인 상황을 의미한다.

④ ⓓ에는 남편 자신의 안전을 먼저 생각하라는 아내의 당부가 나타난다.

⑤ ⓔ에는 남편을 위한 아내의 희생 의지가 드러난다.

 

 

 

정답 

더보기

8 9 10 ④ 11 1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