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봉 국어 2023. 5. 25. 10:07

                                                               광야 이육사

 

까마득한 날(과거)

하늘이 처음 열리고(천지개벽, 광야의 생성, 천지개벽의 시각적 형상화)

어디 닭 우는 소리(생명의 기척-대유법) 들렸으랴(설의법)

                                                                                                                                           1: 광야의 원시성

 

모든 산맥들이

바다를 연모(의인법)해 휘달릴 때도(역동적 이미지-활유법)

차마 이곳(광야-민족의 삶의 터전)을 범하진 못 하였으리라(광야의 신성함, 순수성)

                                                                                                                              2: 광야의 신성성과 순수성

 

끊임없는 광음(세월)

부지런한 계절이 피여선 지고(시간의 흐름을 시각적으로 표현함)

큰 강물(역사, 문명)이 비로소 길을 열었다

                                                                                                                               3: 광야의 역사성

 

 

지금(현재) (고난과 시련) 나리고

매화향기(고고한 의지, 광복의 기운) 홀로 아득하니

내 여기 가난한 노래의 씨(부정적 현실을 극복하기 위한 저항과 투쟁의 씨앗화자의 희생정신)를 뿌려라(‘뿌려라라는 1인칭 주와 호응되지 않는 시적 허용에 해당하는 표현으로 굳은 의지의 표현이다. / 조국 광복을 위한 자기희생의 의지- 속죄양 모티프)

*속죄양 모티프

인류의 죄를 대신해 십자가에 못 박힌 예수의 삶에서 비롯된 모티프로, 자신을 희생하여 인류나 민족을 구원하려는 행위나 의식을 말한다. 우리 문학에서 이러한 속죄양 모티프는 일제 말의 대표적인 저항 시인인 이육사와 윤동주의 시에 잘 드러난다.

(지금 눈 내리고/ 매화향기 홀로 아득하니/ 내 여기 가난한 노래의 씨를 뿌려라. - 이육사, 광야

마침내 호수 속 깊이 거무러져/ 차마 바람도 흔들진 못해라 - 이육사, 교목

꽃처럼 피어나는 피를/ 어두워가는 하늘 밑에/ 조용히 흘리겠습니다. - 윤동주, 십자가

내가 오래 기르는 여윈 독수리야! 와서 뜯어 먹어라, 시름없이 윤동주, )

                                                                                                                4: 절망적 현실의 인식과 현실 극복 의지

 

 

다시 천고의 뒤(미래)

백마타고 오는 초인(화자가 간절히 기다리는 대상조국 광복을 실현할 존재)이 있어

이 광야(우리 민족의 삶의 터전)에서 목놓아 부르게 하리라(현실을 극복하려는 의지적, 자기 희생적 태도)

                                                                                                                5: 미래 지향의 강한 의지

                                                                                                                                                       “자유신문”(1945)

 

 

 

 

 

 

 

 

핵심 정리

 

 

1. 갈래 자유시, 서정시

2. 성격 의지적, 저항적, 상징적

3. 제재 광야

4. 시의 어조 의지적 어조

5. 주제 고통스러운 현실을 극복하려는 의지와 신념

6. 특징

- ‘과거 현재 미래의 시간적 추이에 따라 시상이 전개됨.

- 종결 어미 ‘-()의 사용으로 의지적인 태도를 강조함.

- 각 연을 균등하게 3행씩 배열하고 시행이 점점 길어지는 배열 방식을 사용하여 음 악성을 획득함.

 

7. 해제

 ‘광야는 우리 민족의 삶의 터전으로, 천지창조 때부터 신성한 곳이었음을 표현하여, 일제의 국토 침략이 부당하는 것을 암시한다. 또한 일제강점기의 상황을 눈 내린다로 표현하여, 눈 속의 아득한 매화 향기로 자신의 독립 의지를 나타내었다. , 이시는 자신을 희생하여 자손들이 광복된 국가에서 역사를 발전시켜 나갈 수 있게 하겠다는 의지를 표현한 작품인 것이다.

1연에서는 하늘이 처음 열리고닭 우는 소리로 천지창조와 생명 탄생을 표현하였다. 2연에서는 어떤 산맥도 차마 이곳만은 범접하지를 못하였다.’라고 하면서 광야의 탄생 배경을 설명하였다. 3연에서는 광야에서의 시간의 흐름과 역사의 태동을 표현하였다. 여기까지가 광야의 과거에 해당한다. 4연에서 현재의 광야에는 눈이 내리고 있으며, 시적 화자는 그러한 광야의 현재 상황을 암담하게 인식하고 있다. 아득한 매화 향기에 의지하여 가난한 노래의 씨를 뿌리겠다는 표현에서, 시적 화자가 현실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5연에서는 자신이 뿌린 노래의 씨가 훗날에 나타날 초인의 노래가 되어 광야에 울려 퍼지기를 희망하고 있다. , 시인은 광야의 과거, 현재, 미래의 모습을 통해 현실 극복 의지와 예술성을 탁월하게 조화시키고 있는 것이다.

 

1,2,3 4 5
과거 현재 미래
역사의 신성함 절망과 극복 전망과 확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