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2 문학/고2 비상

수양산 바라보며~

최고봉 국어 2023. 5. 25. 16:46

수양산 바라보며 성삼문

 

수양산(首陽山- 중의적 표현: 백이숙제가 은둔한 중국의 산. 수양 대군) 바라보며 이제(夷齊-중국 은나라 사람인 백이와 숙제를 아울러 이르는 말)를 한()하노라(‘이제의 지조를 탓하면서 자신이 이제보다 더 큰 지조를 지녔음을 강조함.)

주려 주글진들 채미(採薇고사리를 캐어 먹음, 수양대군이 주는 녹을 받아 먹음.)도 하는 것가

비록애 푸새(산과 들에 저절로 나서 자라는 풀을 통틀어 이르는 말)엣 것인들 그 뉘(주나라 무왕수양대군) 헤 낫ᄃᆞ니

 

[현대어 풀이]

 

수양산을 바라보며 백이와 숙제를 한탄한다.

(차라리) 굶주려 죽을 지언정 고사리를 캐어 먹어서야 되겠는가?

비록 산에 자라는 풀이라고 한들 그것이 누구 땅에서 났는가.

 

핵심 정리

 

1. 갈래 평시조

2. 성격 절의적, 풍자적, 비판적

3. 제재 - ‘백이숙제의 고사

4. 주제 죽음을 각오한 굳은 절의와 지조

5. 특징

             - 중의법, 설의법을 통해 대상에 대한 비판을 은유적으로 드러냄.

             - ‘백이숙제의 고사를 인용하여 화자의 굳은 절의를 부각함.

6. 작가

 성삼문(1418~1456)

   조선 전기의 문신. 집현전 학자로 세종의 훈민정음 창제를 도왔으며, 단종의 복위를 꾀하다가 처형되었다.

 

7. 해제

 세조의 단종 폐위에 항거한 작가의 의지를 은유적으로 드러낸 작품으로, ()나라의 충신 백이(伯夷), 숙제(叔齊)와 자신을 비교하면서 자신의 굳은 의지를 강조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유교 사회에서 백이, 숙제는 절의(節義)를 대표하는 충신이다. 그러나 작가는 그들이 수양산에 들어가 캐 먹은 고사리 역시 주나라 땅에서 난 것임을 상기시킴으로써 그들의 절의가 부족했음을 비판하고, 이를 통해 자신의 절의를 부각하고 있다.

 

8. 백이숙제(伯夷叔齊)의 고사(故事)

 ‘백이숙제는 본래 은나라 고죽국(孤竹國)의 왕자였는데, 아버지가 죽은 뒤 서로 후계자가 되기를 사양하다가 나라를 떠났다. 그 무렵 은나라 주왕이 폭정을 거듭하자 그 신하였던 주()나라 무왕이 혁명을 일으키게 된다. 이때, 백이와 숙제는 무왕의 말고삐를 붙잡고 신하로서 임금을 치는 것은 옳지 못하다고 간했다. 하지만 결국 무왕이 듣지 않고 혁명을 일으켜 주왕을 제거하고 천자가 되자 주나라의 곡식은 먹지 않으리라.’ 하고 수양산에 들어가 고사리를 뜯어 먹다가 결국 굶어 죽고 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