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섯 가야 - 「가락기(駕洛記)」 찬(贊)에 보면, 하늘에서 자주색 끈 한가닥이 내려와 둥근 알 여섯 개를 내렸는데, 다섯 개는 각기 읍으로 돌아가고 하나가 이 성에 있게 되었다. 성에 남은 하나는 수로왕(首露王)이 되었고 다섯 개는 각기 다섯 가야의 군주가 되었으니, 금관(金官)을 다섯의 숫자에 넣지 않은 것은 당연하다. 그런데 고려의 『사략(史略)』에는 금관까지 숫자에 넣고 창녕(昌寧)을 더 기록했으니 잘못된 것이다.

 

 

 다섯 가야는 아라가야(阿羅伽倻 - 라(羅)를 야(耶)로 쓰기도 한다. 지금의 함안이다), 고령가야(古寧伽倻-지금의 상주), 대가야(大伽倻-지금의 고령), 성산가야(星山伽倻-지금의 경산으로 벽진이라고도 한다), 소가야(小伽倻-지금의 고성)다.

 또 고려의 『사략』에 이렇게 말했다.

 "태조 천복(天福-후진(後晉) 고조(古祖) 석경당(石敬瑭)의 연호로 936녀에서 942년까지 사용했다) 5년 경자년(940년)에 다섯 가야의 이름을 고쳤는데, 첫째 금관(金官- 金海府가 되었다), 둘째 고령(高寧-加利縣이 되었다), 셋째 비화(非火- 지금의 창녕인데 아마 고령을 잘못 적은 것 같다)며, 나머지 둘은 아라와 성산(앞의 주와 같이 성산은 벽진가야라고도 한다)이다.

 

 

* 참고 문헌

일연, 김원중 옮김, 『삼국유사』, 민음사, 2019.

 

'가야 역사 속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지가  (0) 2020.06.18
가락국기 - 삼국유사 권 제2, 기이 제2  (0) 2020.06.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