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 동명성왕(東明聖王)의 성은 고씨이고, 이름은 주몽(朱蒙)[추모(鄒牟)]라고도 하고, 중해(衆解)라고도 한다]이다.

 이에 앞서 부여 왕 해부루(解夫婁)가 늙도록 아들이 없자 산천에 제사를 지내 후사를 구하였다. 그가 탄 말이 곤연(鯤淵)에 이르러 큰 돌을 보고 마주 대해 눈물을 흘렸다. 왕이 이상하게 생각하고, 사람을 시켜 그 돌을 굴려보니, 웬 어린아이가 금빛 개구리[개구리 '와(蛙)'자는 달팽이 '와(蝸)'자로도 쓴다] 모양을 하고 있었다. 왕이 기뻐하며 말하기를 "이야말로 하늘이 내게 주신 아들이로구나!" 하고서, 곧 거두어 기르고 이름을 금와(金蛙)라고 하였다. 그가 장성하자 태자로 삼았다.

 

 그 뒤에 재상 아란불(阿蘭弗)이 말하기를 "요전날 천제께서 제게 내려와 이르시기를 '장차 나의 자손으로 하여금 여기에 나라를 세우고자 하니 너희는 이곳을 피해 가라. 동쪽 바닷가에 가섭원(迦葉原)이라고 하는 곳이 있는데 토양이 기름져서 오곡을 기르기에 적당하니 도읍할 만한 곳이다'라고 하였습니다." 하고는, 드디어 왕에게 권해 그곳으로 도읍을 옴기고, 국호를 '동부여(東扶餘-「광개토왕비」와 「모두루묘지」에는 주몽이 북부여로부터 나왔다고 하였다)'라고 하였다. 그 옛 도읍지에는 어디에서 왔는지를 알 수 없는 사람이 자칭 천제의 아들 해모수(解慕漱)라고 하면서 그곳에 와 도읍하였다.

 해부루가 죽자 금와가 왕위를 이었다. 이때 태백산(太白山) 남쪽 우발수(優渤水)에서 한 여자를 만나 그녀에게 영문을 물으니 대답하기를 "저는 하백(河伯)의 딸인데 이름은 유화(柳花)라고 합니다. 동생들과 함께 나와 노는데, 그때 한 남자가 나타나 자기가 천제의 아들 해모수라고 하면서 저를 웅심산(熊深山) 아래 압록강가에 있는 방으로 유인해 사통하고 가버리더니 돌아오지 않았습니다. 저의 부모는 제가 중매 없이 다른 남자를 허락한 것을 꾸짖고 드디어 우발수로 귀양살이를 보냈습니다."라고 하였다.

 

 금와가 이상하게 여겨 방안에 가두었는데 햇빛이 그녀를 비추는지라, 그녀가 몸을 끌어 피하면 햇빛이 다시 쫓아가며 비추었다. 이로 인해 태기가 있더니 알 하나를 낳았는데 크기가 닷되 정도 되었다. 왕이 알을 버려 개· 돼지에게 주었더니 짐승들이 먹지 않았고, 다시 길 가운데 버렸더니 소나 말이 피해 밟지 않았으며, 나중에는 들에 버렸더니 새가 날개로 덮어주었다. 왕이 알을 쪼개려 했으나 깨뜨릴 수가 없어 마친매 그 어머니에게 돌려주었다. 그 어머니가 알을 감싸서 따뜻한 곳에 두었더니 한 남자 아이가 껍질을 깨고 나왔다. 아이는 골격과 풍채가 아름답고 기이하여 나이 겨우 일곱 살에 숙성하게 빼어나 보통 아이와는 달랐다. 제 손으로 활과 화살을 만들어 쏘았는데 백발백중이었다. 부여의 속어(俗語)로 활을 잘 쏘는 것을 '주몽'이라고 했기 때문에 이를 아이의 이름으로 했다 한다.

 

 금와에게는 일곱 아들이 있어 늘 주몽과 함께 놀았는데, 그들의 재주가 모두 주몽에게 미치지 못하였다. 맏아들 대소(帶素)가 왕에게 말하기를 "주몽은 사람이 낳은 바가 아니고 그 사람됨이 용맹하니, 만약 일찌감치 대책을 세우지 않는다면 후환이 있을까 두렵습니다. 청컨대 그를 제거하소서."라고 하였다. 왕은 허락하지 않고, 주몽에게 말을 기르게 하였다. 주몽이 날랜 말을 알아보고 먹이를 적게 주어 야위게 하고, 노둔한 말은 잘 먹여 살찌게 했더니, 왕이 살찐 말은 자기가 타고, 야윈 말은 주몽에게 주었다.

 

 그 뒤 들에서 사냥을 하는데, 주몽은 활을 잘 쏜다하여 그에게는 화살을 적게 주었는데도 주몽이 잡은 짐승이 매우 많았다. 왕자와 여러 신하들이 다시 그를 죽이려고 계획하였다. 주몽의 어머니가 이를 은밀히 알아차리고 말하기를 "나라 사람들이 장차 너를 해치려 하니 너의 재능과 지략을 가지고 어딘들 못 가겠느냐? 머뭇거리다가 치욕을 받느니보다 차라리 멀리 가서 큰일을 하는 것이 나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이에 주몽은 오이(烏伊)· 마리(摩離) · 협보(陜父) 등 세 사람과 함께 벗을 삼아 엄시수(淹㴲水)[개사수(蓋斯水)라고도 하는데 지금의 압록강 동북쪽에 있다]에 이르러 물을 건너려 했으나, 다리가 없었다. 주몽은 뒤쫓아오는 군사들에게 붙잡힐까 두려워 물을 향해 말하기를 "나는 천제의 아들이요 하백의 외손자이다. 오늘 도망하는 길인데 뒤쫓는 이들이 거의 닥쳐오니 어찌하면 좋겠는가"라고 하였다. 이에 물고기와 자라가 더올라 다리를 만들어주어 주몽이 건널 수 있었다. 물고지와 자라가 곧 흩어져버려 쫓아오던 기병들은 건너지 못하였다.

 주몽이 모둔곡(毛屯谷) [『위서』에는 "보술수(普述水)에 이르렀다"라고 하였다]에 이르러 세 사람을 만났는데, 그 가운데 한 사람은 삼베 옷을 입었고, 한 사람은 승려 옷을 입었으며, 한 사람은 마름 옷을 입고 있었다. 주몽이 묻기를 "그대들은 어떤 사람들이며 성은 무엇이고 이름은 무엇인가"라고 하였다. 삼베 옷을 입은 이는 "이름이 재사(再思)입니다"라고 하고, 승려 옷을 입은 이는 "이름이 무골(武骨)입니다"라고 하였으며, 마름 옷을 입은 이는 "이름이 묵거(默車)입니다"라고 대답하면서도 성은 말하지 않았다. 주몽은 재사에게는 극씨(克氏)를, 무골에게는 중실씨(仲室氏)를, 묵거에게는 소실씨(少室氏)를 성으로 내려주고, 이어 여러 사람에게 이르기를 "내가 바야흐로 하늘의 명을 받아 나라를 열고자 하는데, 때마침 이 세 어진 이들을 만났으니 어찌 하늘이 내려주신 것이 아니겠는가"라고 하였다.

 

 마침내 그들의 재능을 헤아려서 각각 일을 맡기고 함께 졸본천(卒本川) [『위서』에는 "흘승골성(紇升骨城)에 이르렀다"라고 하였다]에 이르렀다. 그곳 토양이 비옥하고 산과 강이 험준한 것을 보고 마침내 도읍하고자 했으나, 미처 궁실을 지을 겨를이 없어 단지 비류수(沸流水)가에 초막을 엮고 지냈다. 국호를 '고구려'라 하고 이로 말미암아 '고(高)'로 성씨를 삼았다.[한편, 주몽이 졸본부여(卒本扶餘)에 이르렀을 때 그곳의 왕에게 아들이 없었는데, 왕이 주몽을 보고 보통 사람이 아닌 것을 알아 자기 딸을 아래로 삼게 했던바, 그 왕이 죽자 주몽이 왕위를 이었다고도 한다]

 이대 주몽의 나이 22세로, 이 해는 전한(前漢) 효원제(孝元帝) 건소(建昭) 2년이요, 신라 시족 혁거세 21년 갑신년(기원전 37)이었다. 사방에서 소문을 듣고 와서 따르는 이가 많았다. 그 지역이 말갈(靺鞨- 말갈은 중국 사서들의 인식에 따르면 선진시대의 숙신(肅愼), · 위대의 읍루(揖婁), 남북조 시대의 물길(勿吉)의 후신이며, 후대 여진(女眞)의 전신으로, 수·

 당시대에 해당하는 명칭이라 한다.)의 부락과 붙어 있으므로, 그들이 침노하고 노략질하여 해가 될까 염려해서 마침내 물리쳐 쫒아내니, 말갈이 두려워 복종하고 감히 침범하지 못하였다.

 

 왕이 비류수 가운데 채소잎이 떠내려오는 것을 보고, 그 상류에 사람이 살고 있는 줄을 알았다. 이윽고 사냥하면서 찾아 올라가 비류국(沸流國)에 이르게 되었다. 그 나라의 왕 송양(松讓)이 나와보고 말하기를 "과인이 바다 귀퉁이에서 후미지게 살다보니 일찍이 군자를 만나보지 못했는데, 오늘 뜻밖에도 서로 만나게 되니 역시 다행스러운 일이 아니리오! 그러나 그대가 어디에서 왔는지를 알지 못하겠다"라고 하였다. 주몽이 대답하기를 "나는 천제의 아들로서 모처(某處)에 와서 도읍하였다"라고 하였다. 이에 송양이 말하기를 "우리는 여기에서 여러 대 동안 왕이 되어왔고, 또 땅이 좁아 두 임금을 용납하기에는 부족하다. 그대는 도읍을 세운 지가 얼마 되지 않으니 우리의 속국이 되는 것이 어떠한가"라고 하였다. 왕이 그의 말에 분개한 나머지 그와 더불어 말다툼을 하다가 다시 활로 기예를 겨루게 되었는데, 송양은 대항할 수가 없었다.

 

 2년 여름 6월에 송양이 나라를 들어 항복해 오므로, 그 땅을 다물도(多勿島)라 하고 송양을 그 주인으로 봉하였다. 고구려 말로 옛 땅을 회복한 것을 일러 '다물'(多勿)이라고 했기 때문에 그렇게 이름한 것이다.

 

 3년 봄 3월에 황룡이 골령(鶻嶺)에 나타났다. 가을 7월에 상서로운 구름이 골령 남쪽에 나타났는데, 그 빛이 푸르고 붉었다.

 

 4년 여름 4월에 구름과 안개가 사방에서 일어나 사람들이 7일 동안이나 빛깔을 분별하지 못하였다. 가을 7월에 성곽과 궁실을 지었다.

 

 6년 가을 8월에 신이한 새들이 궁궐 뜰에 모여들었다. 겨울 10월에 왕이 오이(烏伊)와 부분노(扶芬奴)를 시켜서 태백산 동남쪽의 행인국(荇人國)을 치게 하여, 그 땅을 빼앗아 성읍으로 만들었다.

 

 10년 가을 9월에 난(鸞) 새들이 왕궁에 모여들었다. 겨울 11월에 왕이 부위염(扶尉猒)에게 명해 북옥저(北沃沮)를 쳐 없애게 하고, 그 땅을 성읍으로 만들었다.

 

 14년 가을 8월에 왕의 어머니 유화가 동부여에서 죽었다. 그 나라왕 금와가 태후의 예로 제사를 지낸 다음 신묘(神廟)를 세웠다. 겨울 10월에 사신을 부여에 보내 방물을 바쳐서 그 은덕에 보답하였다.

 

 19년 여름 4월에 왕자 유리(類利)가 부여로부터 그의 어머니와 함께 도망해 왔다. 왕이 기뻐하여 그를 태자로 삼았다.

 가을 9월에 왕이 승하하니, 이때 나이가 40세였다. 용산(龍山)에 장사 지내고, 왕호를 동명성왕이라 하였다.

 

 

 

참고 문헌

 

김부식 지음, 이강래 옮김, 삼국사기1, 한길사, 20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