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동새- 김소월

 

접동

접동

아우래비(아홉오라비 발음의 편의를 위한 변형/ 접동새의 울음소리) 접동.

                                                                                                                                1접동새의 슬픈 울음 소리

 

진두강(서북 지방 강 이름- 구체적인 지명을 사용하여 형통적 정서 환기) 가람 가에 살던 누나는

진두강 앞마을에

와서 웁니다.

                                                                                                                             2마을을 떠나지 못하는 누나

 

옛날, 우리나라(설화임을 암시/민족적 보편성)

먼 뒤쪽의

진두강 가람 가에 살던 누나는

의붓어미 시샘에 죽었습니다.(누나의 비극적 죽음)

                                                                                                                             3의붓어미 시샘에 죽은 누나

 

누나라고 불러보랴

오오 불설워(평안도 방언으로, ‘몹시 서러워의 뜻)

시새움에 몸이 죽은 우리(‘누나를 보편적 대상으로 확장함.) 누나는

죽어서 접동새(누이의 화신 - ‘의 상징)가 되었습니다.

                                                                                                                                  4누나가 접동새로 환생

 

아홉이나 남아 되던 오랩동생(남동생)

죽어서도 못 잊어 차마 못 잊어

야삼경(11시부터 새벽 1시 사이) 남 다 자는 밤이 깊으면

이 산 저 산 옮아가며 슬피 웁니다.(죽어서도 계모의 눈을 피해 다녀야 하는 누이의 ’)

                                                                                                                                           5애절한 혈육의 정

 

 

 

핵심 정리

 

1. 갈래 자유시, 서정시

2. 성격 전통적, 민요적, 애상적

3. 주제 현실의 비극적인 삶을 초월한 애절한 혈육의 정

4. 특징

- 접동새 설화를 차용함.

- 3음보의 민요적 율격이 나타남.

- 음성 상징어를 사용하여 애상적 분위기를 형성함

 

5. 해제

 이 작품은 한()의 정서를 바탕으로 고전 설화에서 모티프를 차용한 시이다. 설화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어머니의 죽음으로 함께 살던 가족의 행복이 깨어지고, 의붓어미가 들어와 전처의 자식들을 구박하고 시기를 한다. 결국 의붓어미의 시샘에 시집을 가려던 누나는 죽고, 죽어서도 동생들을 잊지 못해 접동새로 환생한다. 의붓어미는 누나에게 저지른 악행에 대한 처벌을 받고 죽어 까마귀가 되는데, 접동새는 까마귀를 피해 남들이 다 자는 깊은 밤에만 동생들의 주위를 맴돌며 슬피 운다. 이 작품은 고전 설화의 모티프를 차용했다는 점과, 전통적인 주제와 정서를 표현했다는 점에서 우리 문학의 전통을 충실히 계승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6. 접동새

 접동새는 그 울음소리가 구슬퍼서 한이나 슬픔의 정서를 표출하는 문학의 소재로 자주 등장한다. 접동새의 울음소리를 반복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슬픔의 정서를 강하게 드러내는 한편, 접동새 설화와의 연관성을 청각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출처 : 2024학년도 수능 특강 문학 + 좋은책 신사고, 오감도 최다문항 현대시편

 

'일제 강점기 역사 속 문학 > 1920년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짓 이별 - 한용운  (0) 2023.03.27
고향 - 현진건  (0) 2020.07.1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