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한서』에서 이렇게 말했다.

 "진한(辰韓)의 노인들이 스스로 말하기를, 진(秦)나라에서 망명한 사람들이 한국(韓國)으로 오자 마한이 동쪽 경계의 땅을 떼어 주고 서로 불러 무리를 이루었는데, 진나라 말과 유사하여 간혹 진한(秦韓)이라 했다고 한다. 열두 개의 작은 나라가 있는데 모두 1만 호씩이고 각기 나라라 일컬었다."(진한은 지금의 경북 대구 지방이다.)

 또 최치원은 말했다.

 "진한은 본래 연나라 사람들이 피신해 온 곳이다. 때문에 탁수(涿水)의 이름을 취해 살고 있는 읍과 마을을 사탁(沙涿), 점탁(漸涿) 등으로 불렀다.(신라 사람들의 방언에 탁(涿)을 도(道)로 발음하기 때문에 지금은 때때로 사량(沙梁)이라 쓰고, 양(梁) 역시 '도'로 읽는다)"

 신라는 전성기에 서울이 17만 8936호였고, 1360방(坊), 55리(里), 35개의 금입택(金入宅-부유하고 윤택한 집이 있었다. 그것은 남택(南宅), 북택(北宅), 오비소택(오比所宅), 본피택(本彼宅), 양택(梁宅), 지상택(池上宅-본피부에 있다), 재매정택(財買井宅-김유신의 조상집), 북유택(北維宅), 남유택(南維宅- 반향사의 하방), 대택(大宅), 빈지택(賓支宅), 장사택(長沙宅), 상앵택(上櫻宅), 하앵택(下櫻宅), 수망택(水望宅), 천택(泉宅), 양상택(梁上宅- 梁의 남쪽), 한기택(漢宅)- 法流寺 남쪽), 비혈택(鼻穴宅) , 판적택(板積宅-분황사 상방), 별교택(別敎宅-개천 북쪽), 아남택(衙南宅), 금양종택(金楊宗宅-양관사 남쪽), 곡수택(曲水宅- 개천북쪽), 유야택(有也宅), 사하택(寺下宅), 사량택(沙梁宅), 정상택(井上宅), 이남택(里南宅), 사내곡택(思內曲宅), 지택(池宅), 사상택(寺上宅-대숙택), 임상택(林上宅), 청룡사(靑龍寺-동쪽에 못이 있다), 교남택(橋南宅), 항질택(巷叱宅-본피부), 누상택(樓上宅), 이상택(里上宅), 명남택(椧南宅), 정하택(井下宅) 등이다.

 

 

 

 

 

* 참고 문헌

일연, 김원중 옮김, 『삼국유사』, 민음사, 201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