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어와 형태소

 

1. 단어

문장에서 자립적으로 쓰일 수 있는 최소의 단위

 

. 단어의 기준 하나의 단어는 내부에 휴지(休止)를 둘 수 없으며 다른 단어를 넣어 분리할 수 없다.

 

. 자립할 수 없는 단어 조사

자립성은 단어의 중요한 요건이지만, 우리말에는 자립할 수 없는 말을 단어로 인정하고 있는 예외가 한 부류가 있는데, 바로 조사이다.

 

* 조사를 단어로 처리한 이유 국어에서 앞말에 결합하여 문법적인 기능을 실현하는 어미와 조사 중에서 조사만을 단어로 포함하게 된 것은, 자립성의 기준에서 보면 어미 앞에 오는 용언 어간은 자립성이 없지만 조사 앞에 오는 체언은 자립성이 있다는 것과 관련이 있다. 이처럼 체언이 자립성이 있으므로 조사도 최소한의 자립성을 가진다고 보는 것이 조사를 단어로 처리한 가장 중요한 이유이다.

 

2. 형태소

 

. 형태소 뜻을 가진 가장 작은 말의 단위를 말한다.

 

. 형태소의 분류

자립성의

유무

자립

형태소

다른 형태소와 결합하지 않고 홀로 쓰일 수 있는 형태소

) 바다, 하늘, , , 매우 등

의존

형태소

다른 형태소와 결합하지 않으면 쓰일 수 없는 형태소

) -, 예쁘-, -, --, -/가 등

의미의

성격

실질

형태소

구체적인 대상이나 상태와 같은 실질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형태소. 하나의 형태소로 이루어진 명사, 대명사, 수사, 관형사, 부사, 동사와 형용사 등. 어휘 형태소라고도 함.

) 바다, 하늘, , , 매우, 빨리, -, 예쁘-

형식

형태소

문법적인 의미만을 나타내는 형태소. 조사, 어미, 접사가 여기에 속함. 문법 형태소라고도 함

) -, --, -/가 등

 

. 어근과 접사

 

어근

 

. 어근 형태소가 결합할 때 실질적인 의미를 나타내며 의미상 중심이 되는 부분

) 밤나무 (어근)+ 나무(어근), 형님 (어근)

* 용언의 단어 구조 용언은 기본형을 ‘-형태로 제시하는데, 이때 ‘-는 어미이다. 용언의 단어 구조를 말할 때에는 어간만을 대상으로 한다. 그러므로 가난하다와 같은 말에서 어근은 가난으로, 접사는 ‘--’로 제시하는 것이 원칙이다. 하지만 교육적 편의에 따른 가난‘-하다로 제시한다.

 

* 어근과 어간

어근 실질적인 의미를 지며 중심이 되는 부분으로, 단어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에 초점을 맞춘다.

어간 용언이 활용할 때 고정된 부분으로, 용언 활용 시 어미와의 결합 여부에 초점을 맞춘다.

 

. 접사 어근에 결합하여 특정한 의미를 더하거나 문법적 기능을 부여하는 형태소

 

접사의 종류

접두사 - ‘맨발-’새하얗다-’는 어근의 앞에 위치하는 접두사이다. 접두사는 명사에 결합할 수도 있고, 형용사, 동사에 결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접두사는 접미사와 달리 어근의 품사를 바꾸는 일이 거의 없으며므로, 접두 파생법에 의해 만들어지는 파생어이 품사는 어근의 품사와 대개 일치한다.

 

* 접두사와 어근의 구분 접두사는 실질 형태소가 아닌 문법 형태소이다. 하지만 접두사는 문법적인 의미뿐 아니라 실질적인 의미를 상당 부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아 어근과의 구별이 뚜렷하지 않을 때가 있다. 어근과의 구별이 어려운 접두사에는 들개, 들쥐, 들국화-’, ‘늦가을, 늦더위, 늦장가-’ 등이 있다.

 

접미사 - ‘지우개‘-향기롭다‘--’ 등 어근의 뒤에 위치하는 접미사이다. 어근과 결합하여 그 뜻을 제한하거나, 새로운 단어를 만들 때 어근의 품사를 바꾸기도 하고 바꾸지 않기도 한다.

 

. 단어 형성

 

단어의 분류 어근의 개수와 접사의 결합 여부에 따라 단일어, 합성어, 파생어로 구분

2. 단일어 하나의 어근만으로 이루어진 단어

) 하늘, 바다, 가다, 밟다

 

3. 복합어 어근과 접사로 이루어진 단어를 복합어라고 한다.

. 합성어 둘 이상의 어근이 결합하여 만들어진 단어.

) 손목, 꽃병, 밤낮

 

* 합성어와 구의 구별

합성어와 구를 구별하는 방법 중에 구성 요소 사이에 와 같은 요소를 넣어보는 것이 있다.

나는 배를 깎아 먹었다.

나는 배를 깎아서 먹었다.

 

경치가 뛰어나다.

경치가 뛰어서 나다.

 

깎아 먹다는 구이므로 구성 요소 사이에 를 넣은 깎아서 먹다가 가능하다. 그러나 뛰어나다는 합성어이므로 구성 요소 사이에 를 넣은 뛰어서 나다가 성립하지 않는다.

 

* 반복 합성어 반복 합성어는 형태소의 전체 혹은 일부가 반복되어 이루어진 합성어를 말한다. 반복을 이루는 요소는 대체로 명사나 부사가 많으며, 반복의 결과로 생긴 단어도 명사나 부사인 경우가 많다. ) 곳곳, 따로따로, 두둥실

 

합성어의 형성

통사적 합성어와 비통사적 합성어

통사적

합성어

단어의 구성 방식이 꾸며 주는 말이 꾸밈을 받는 말앞에 온다든지, 어간이 어미와 결합한다든지, 명사와 명사가 나란히 쓰일 수 있다든지 국어의 문장 구성 방식과 맞게 만들어진 합성어

) 건널목(용언의 활용형이 명사를 꾸밈), 밤낮(명사+명사의 구성 방식), 돌아가다(어간과 어미의 결합형 뒤에 어간이 오는 것은 일반적인 문장 구성 방식)

비통사적

합성어

단어의 구성 방식이 국어 문장의 구성 방식과 일치하지 않는 합성어

) 접칼(‘-(접다)이 어미와의 결합없이 명사인 칼과과 결합), 부슬비(불규칙 어근 + 명사의 구성방식), 오르내리다(용언 어간과 어간이 바로 연결되지 않음)

 

합성어의 유형

대등

합성어

두 성분이 대등한 관계를 이루는 합성어

) 논밥

종속

합성어

앞의 성분이 뒤의 성분을 수식하는 합성어

) 손가락

융합

합성어

구성 요소의 원래 의미를 잃어버리는 것으로 합성어 전체의 의미가 구성 요소들의 의미를 벗어나 새로운 의미를 획득한 것.

) 춘추(春秋) - ‘나이’, 쥐꼬리 - ‘매우 작음

 

 

. 파생어 어근과 접사가 결합하여 형성된 단어.

파생어의 종류

접두

파생어

어근 앞에 접두사가 결합하여 파생어가 만들어지는 경우

) 헛고생, 헛걸음, 헛소리(‘-’)

접미

파생어

어근 뒤에 접미사가 결합하여 뜻을 더하거나 어근의 품사를 바꾸는 경우

) 구경꾼, 나무꾼, 살림꾼(‘-’) 걸음, 울음, 웃음(‘-’)

한자어가 결합한 파생어

자립적으로 쓰일 수 있는 단어뿐만 아니라 한자어 어근이나 접사들도 모두 한자어에 속한다. 한자어 접사 중 생산적인 것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 생맥주, 생고기 친()- :친손자, 친아들

()- : 무의미, 무가치 양()- : 양배추, 양과자

()-, ()-, ()-’ 등의 접두사는 친족 명사에 결합하여 주로 쓰인다. ‘()-’를 비롯한 ()-, ()-, ()-’ 등의 접두사는 부정의 의미를 나타낸다.

 

-() : 과학자, 기술자 -() : 심리적, 사회적

-() : 민주화, 전문화 -() : 정확성, 창조성

‘-()’그에 관계된정도의 의미를 띠며 주로 한자어 추상 명사와 결합한다. 특히 ‘-()’이다와 결합하여 접사가 결합한 전체 구가 형용사처럼 쓰인다.

 

접사의 생산성

어떤 접사가 많은 수의 파생어를 만들 때는 생산적이다혹은 생산성이 높다,’라고 한다.

 

죽음, 걸음, 묶음, 웃음

주검, 마중

 

에 쓰인 접사 ‘-()은 비교적 생산성이 높은 접사로 볼 수 있는데, 이 경우 대체로 어근과 접사를 끊어 적는 방식으로 표기한다.

에 쓰인 접사 ‘-이나 ‘-은 현대 국어에서 생산성이 낮은 접사로 볼 수 있는데, 이 경우 대체로 어근과 접사를 이어 적는 방식으로 표기한다.

 

‘--’‘--’에 의한 파생

 

건설하다, 이룩하다.

건설되다. 이룩되다.

 

‘--’는 주로 명사에 결합하여 형용사나 동사를 파생하는데, 앞에 오는 어근이 상태성을 가지고 있으면 형용사, 동작성을 가지고 있으면 동사를 만든다. ‘--’에 의한 파생어와 짝을 이루는 것이 ‘--’에 의한 파생어이다. ‘--’ 역시 ‘--’와 마찬가지로 매우 많은 한자어 명사나 명사성 어근과 결합한다.

 

기출 풀어 보기

 

2020 3월 고3 전국연합학력평가 문제지

 

13. <보기1>을 바탕으로 <보기2>- 에 대한 설명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1>----------------------------------------------------------------------

합성 명사의 구성 요소 중 선행 요소는 다양한 품사의 단어이지만 후행 요소는 일반적으로 명사이다.

----------------------------------------------------------------------------

 

<보기2>----------------------------------------------------------------------

새해를 맞이하여 오랜만에 할머니 댁에 갔다. 할머니께서 점심으로 굵은소금 위에 새우를 올려놓고 구워 주셨고, 저녁에는 산나물을 넣은 비빔밥을 해 주셨다. 내가 할머니께 스마트폰의 여러 기능을 알려 드리자 척척박사로구나.”라며 어린아이처럼 좋아하셨다.

-----------------------------------------------------------------------------

⓵ ㉠은 관형사와 명사가 결합한 합성 명사이다.

⓶ ㉡은 동사의 활용형과 명사가 결합한 합성 명사이다.

⓷ ㉢은 명사와 명사가 결합한 합성 명사이다.

⓸ ㉣은 부사와 명사가 결합한 합성 명사이다.

⓹ ㉤은 형용사의 활용형과 명사가 결합한 합성 명사이다.

 

 

정답 : 2

 

 

 

 

'국어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래어 표기법  (0) 2020.07.15
로마자 표기법  (0) 2020.07.15
품사  (0) 2020.07.07
음운의 변동  (0) 2020.06.26
1. 언어와 음운  (0) 2020.06.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