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동(動動) - 작자 미상

 

 

()으란 곰예 받ᄌᆞᆸ고, ()으란 림예 받ᄌᆞᆸ고

()이여 복()이라 호ᄂᆞᆯ 나ᄋᆞ라 오소이다.

아으 동동(動動)다리.                                                            - 덕과 복을 빎

 

 

정월(正月)ㅅ 나릿므른 아으 어져 녹져 ᄒᆞ논

누릿 가온나곤 몸하 ᄒᆞ올로 녈셔.

아으 동동(動動)다리.                                                           - 홀로 살아가는 외로움

 

이월(二月)ㅅ 보로매, 아으 노피 현 등()ㅅ블 다호라.

만인(萬人) 비취실 즈이샷다.

아으 동동(動動)다리.                                                           - 임의 인품

 

삼월(三月) 나며 개()ᄒᆞᆫ 아으 만춘(萬春) ᄃᆞᆯ욋고지여.

ᄂᆞ브롤 즈을 디 나샷다.

아으 동동(動動)다리.                                                          - 아름다운 임의 모습

 

사월(四月) 아니 니저 아으 오실셔 곳고리새여.

므슴다 녹사(錄事)니ᄆᆞᆫ 녜나ᄅᆞᆯ 닛고신뎌.

아으 동동(動動)다리.                                                          - 무심한 임에 대한 애끓는 정

 

오월(五月) 오일(五日), 아으 수릿날 아ᄎᆞᆷ 약()

즈믄 장존(長存)ᄒᆞ샬 약()이라 받ᄌᆞᆸ노이다.

아으 동동(動動)다리.                                                         - 임의 만수무강을 빎

 

유월(六月)ㅅ 보로매 아으 별해 ᄇᆞ룐 빗 다호라.

도라보실 니믈 젹곰 좃니노이다.

아으 동동(動動)다리.                                                         - 나를 버린 임을 사모함

 

칠월(七月)ㅅ 보로매 아으 백종(百種) ()ᄒᆞ야 두고

니믈 ᄒᆞᆫ 녀가져 원()을 비ᄋᆞᆸ노이다.

아으 동동(動動)다리.                                                        - 임과 함께 살고 싶은 소망

 

팔월(八月)ㅅ 보로ᄆᆞᆫ 아으 가배(嘉排) 나리마ᄅᆞᆫ

니믈 뫼셔 녀곤 오ᄂᆞᆯ낤 가배(嘉排)샷다.

아으 동동(動動)다리.                                                       - 임에 대한 절실한 그리움

 

구월(九月) 구일(九日)애 아으 약()이라 먹논 황화(黃花)

고지 안해 드니 새셔 가만ᄒᆞ얘라.

아으 동동(動動)다리.                                                      - 임이 없는 쓸쓸함

 

시월(十月)애 아으 져미연 ᄇᆞᄅᆞᆺ 다호라.

것거 ᄇᆞ리신 후()에 디니실 ᄒᆞᆫ 부니 업스샷다.

아으 동동(動動)다리.                                                        - 버림받은 슬픔

 

십일월(十一月)ㅅ 봉당 자리예 아으 한삼(汗衫) 두퍼 누워

슬ᄒᆞᆯᄉᆞ라온뎌 고우닐 스싀옴 녈셔.

아으 동동(動動)다리.                                                       - 독수공방의 슬픔

 

십이월(十二月)ㅅ 분디남ᄀᆞ로 갓곤 아의 나() 져 다호라.

니믜 알드러 얼이노니 소니 가재다 므ᄅᆞᄋᆞᆸ노이다.

아으 동동(動動)다리.                                                       - 임과 인연을 맺지 못하는 한

 

 

 

1. 글핵 잡기

 

시의 화자 - (여성)

시적 대상 (녹사- 벼슬을 하는 계층의 남자)

시적 상황 임과 이별한 상황

화자의 정서 외로움, 원망, 슬픔

화자의 태도 송축, 기원, 임과 함께 하고픈 소망

핵심 시어 ()ㅅ블, ᄃᆞᆯ욋곶, 정월(正月)ㅅ 나릿므른, 곳고리새, , 별해 ᄇᆞ룐 빗, 져미연 ᄇᆞᄅᆞᆺ, ()

 

2. 글핵 굳히기

 

핵심 시어 의미

()ㅅ블, ᄃᆞᆯ욋곶 임에 대한 비유. (등불 임의 인품, 진달래꽃 출중한 인물의 모 습)

정월(正月)ㅅ 나릿므른, 곳고리새 객관적 상관물

별해 ᄇᆞ룐 빗, 져미연 ᄇᆞᄅᆞᆺ, () 화자의 처지를 빗댄 표현

임에 대한 화자의 정성과 사랑

 

시의 표현

 

월령체 - 정월에서 12월까지 달마다의 세시 풍속을 노래의 배경으로 삼고 있는 가요 형식을 월령체 또는 달거리라고 한다. 흔히 각 연은 그 달의 자연, 명절의 놀이, 민속 행사를 반영하여 다양하고 풍부한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한다.

동동은 현전하는 시가 중 처음으로 등장하는 월령체의 노래이지만 세시 풍속이 2·5·6·7·8·9월에만 나타나 있고 여타의 달은 계절적 특성만 반영되어 있을 뿐이다.

 

직유법 - ᄃᆞᆯ욋곶, 져미연 ᄇᆞᄅᆞᆺ, 져미연 ᄇᆞᄅᆞᆺ, () 져 등

은유법 - ()ㅅ블

객관적 상관물 - 정월(正月)ㅅ 나릿므른, 곳고리새

 

3. 글핵 정리

 

. 갈래 고려 가요

. 성격 서정적, 애상적

. 주제 임에 대한 송축과 연모

. 의의 우리 문학사상 최초의 월령체 노래

. 출전 - 악학궤범(樂學軌範)

 

4. 글핵 더하기

 

. 송축(頌祝)과 연모(戀慕)의 노래

동동은 전체적으로 임에 대한 송도(頌禱)와 연모(戀慕)의 정이 깔려 있지만, 각 연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는 않다. 특히, 1연은 공적인 임금에 대한 송도의 성격이 짙어, 개인적 정서를 노래한 나머지 연과 차이를 보인다. 이는 원래 연가풍(戀歌風)의 민요였던 동동이 궁중의 의식가(儀式歌)로 쓰이면서 변형된 결과이다.

 

. ‘동동에 나타난 세시풍속

 

2월 보름(연등회) - 본래 정월 보름에 등불을 매달아 복을 빌던 불교 행사였음. 현종(11세기) 이후는 2월 보름, 고종(13세기) 이후에는 4월 초파일로 날짜를 변경하여 시행함.

55(단오 또는 수릿날) - 농경의 풍작을 기원하는 행사. 수리치를 넣은 둥근 떡을 만들어 먹으며, 창포물에 머리를 감고, 그네뛰기, 씨름 등의 놀이를 하였음.

6월 보름(유두일) - 신라 때부터의 풍속. ()을 씻어버리기 위해서, 동쪽으로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고 머리를 빗은 다음 그 빗을 버림.

7월 보름(백중) - 이날 승려들은 여름 동안의 안거(安居- 스님들이 음력 415일부터 715일까지 일정한 곳에 들어 앉아 수행에 전념하는 일)를 마치고 재()를 올림. 민간에서는 여러 가지 과일과 음식을 차려 죽은 사람의 영혼을 위로함.

8월 보름(추석, 한가위) - ‘추석예기(禮記)에서 나온 말이고, 고유 명사로는 가윗날이라 부르는데 이는 가운데를 뜻하는 가배에서 유래된 말임.

99(중양절) - 선비들은 교외로 나가 황국(黃菊)을 띄워 술을 마시며 시화(詩畫)로 하루를 즐김. 가정에서는 국화전(菊花煎)’을 부쳐 먹었음.

 

'고려 역사 속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송인-정지상  (0) 2023.05.03
한림별곡(翰林別曲) - 한림제유  (0) 2023.03.15
정석가(鄭石歌)  (0) 2021.04.01
서경별곡(西京別曲)  (0) 2021.04.01
가시리  (0) 2021.04.0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