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시리 - 작자 미상

 

가실 가시리잇고 나ᄂᆞᆫ                 가시렵니까, 가시렵니까?

ᄇᆞ리고 가시리잇고 나ᄂᆞᆫ           버리고 가시렵니까?

위 증즐가 대평성(太平聖代)                                                    - 원망에 찬 하소연

 

날러는 엇디 살라 ᄒᆞ고                  나더러는 어찌 살라고

ᄇᆞ리고 가시리잇고 나ᄂᆞᆫ          버리고 가시렵니까?

위 증즐가 대평성(太平聖代)                                                     - 원망의 고조

 

잡ᄉᆞ와 두어라마ᄂᆞᄂᆞᆫ            붙잡아 두고 싶지만

선ᄒᆞ면 아니올셰라                       서운하면 오지 않을까 두려워

위 증즐가 대평성(太平聖代)                                                     - 절제와 체념

 

셜온님 보내ᄋᆞᆸ노니 나ᄂᆞᆫ            서러운 임 보내오니

가시ᄂᆞᆫ ᄃᆞᆺ 도셔 오쇼셔 나ᄂᆞᆫ 가시자마자 돌아서서 오소서.

위 증즐가 대평성(太平聖代)                                                        - 소망과 기원

   

 

 

 

 

1. 글핵 잡기

시의 화자

시적 대상

시적 태도 소극적

시적 정서 원망, 체념, 소망

핵심 시어 셜온님

 

2. 글핵 굳히기

핵심 시어 의미

셜온님 주체가 ’ : 나를 서럽게 하는 임

주체가 ’ : 이별을 서러워 하는 임

시상 전개

이별의 상황에 대한 슬픔과 하소연

떠나는 임에 대한 원망

이별에 대한 체념

체념적 수용과 재회에 대한 소망

 

시의 표현

반복법 - ‘aaba’의 구조

-‘가시리잇고의 반복

- 후렴구(위 증즐가 대평성(太平聖代))

 

 

3. 글핵 정리

 

. 갈래 고려 가요

. 성격 서정적, 애상적, 전통적

. 운율 3·3·2조의 운율, aaba 형식의 반복

. 주제 이별의 정한(情恨)

. 특징

---의 구조에 따른 시상 전개

반복법을 사용하여 운율을 형성하고 의미를 강조함.

 

4. 글핵 더하기

 

. 출전 악장가사 : 전문

- 시용향악보 : 1연만 귀호곡(歸乎曲)이란 이름으로 수록하고 <가시리>는 이의 속칭 이라 적음 <사모곡>의 경우처럼 지방 민요가 보편화 되어 <가시 리>로 불리다 속악가사로 개편되면서 <귀호곡>으로 불린 3단계 수용 과정으로 이해하려는 견해도 있음

 

. 형식

위 증즐가 태평성대(太平聖代)’라는 여음구 4연으로 구분되어 있는 분장체

원래는 짧은 형식의 노래였던 것이 속악가사로 편입되면서 임금에 대한 송축의 내용을 전하려는 의도로 후렴구가 삽입된 것으로 추측된다.

 

'고려 역사 속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석가(鄭石歌)  (0) 2021.04.01
서경별곡(西京別曲)  (0) 2021.04.01
사모곡(思母曲)  (0) 2021.04.01
만전춘별사(滿殿春別詞)  (0) 2021.03.31
정과정(鄭瓜亭) - 정서(鄭敍)  (0) 2020.09.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