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경별곡(西京別曲) - 작자 미상

 

서경(西京)이 아즐가 서경(西京)이 셔울히 마르는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닷곤아즐가 닷곤쇼셩경 고요ㅣ마른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므론 아즐가 여므론 질삼뵈 ᄇᆞ리시고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괴시란아즐가 괴시란우러곰 좃니노이다.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 이별을 거부하고 임을 따르겠다는 적극적 의지

 

 

구스리 아즐가 그스리 바회예 디신ᄃᆞᆯ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긴히아즐가 긴히그츠리잇가 나ᄂᆞᆫ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즈믄 를 아즐가 즈믄 를 외오곰 녀신ᄃᆞᆯ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잇ᄃᆞᆫ 아즐가 신()잇ᄃᆞᆫ 그츠리잇가 나ᄂᆞᆫ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 임에 대한 변함없는 사랑과 믿음

 

 

대동강(大同江) 아즐가 대동강(大同江) 너븐디 몰라셔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내여 아즐가 내여 노ᄒᆞᆫ다 샤공아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네 가시 아즐가 네 가시 런난디 몰라셔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예 아즐가 녈 예 연즌다 샤공아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대동강(大同江) 아즐가 대동강(大同江) 건넌편 고즐여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타 들면 아즐가 타 들면 것고리이다 나ᄂᆞᆫ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 사공에 대한 원망과 임에 대한 불신

 

현대어 풀이

 

서경(평양), 서경이 서울이지마는

중수(重修-낡은 건축물 따위를 다시 손질하여 고침)한 곳인 작은 서울을 사랑하지마는

(임과) 이별하기보다는 길쌈하던 베를 버리고서라도

(나를) 사랑해 주신다면, 사랑해 주신다면 울면서 따라가겠습니다.

 

 

구슬이 구슬이 바위에 떨어진들

끈이야 끊어지겠습니까?

(임과 이별하여) 천 년을 홀로 살아간들

(임을) 사랑하는 마음이야 끊어지겠습니까?

 

 

대동강이, 대동강이 넓은 줄을 몰라서

배를 내어 놓았느냐 사공아

네 아내가 음란한 줄 몰라서

떠나는 배에 (임을) 태웠느냐 사공아.

(나의 임은) 대동강 건너편 꽃을

배를 타고 건너가면 꺾을 것입니다.

 

 

1. 글핵 잡기

 

시의 화자 여성 화자

시적 대상 , 사공

시적 상황 임과 이별한 상황

화자 태도 적극적

화자 정서 원망

핵심 시어 쇼셩경, 질삼뵈, , 대동강,

 

2. 글핵 굳히기

 

핵심 시어 의미

쇼셩경 화자의 삶의 터전

질삼뵈 화자의 생업(여성)

() - 변함없는 믿음

대동강 사랑과 이별의 경계

임이 만날 새로운 여자

 

시의 표현

반복법 - 서경(西京)이 아즐가 서경(西京), 닷곤아즐가 닷곤

설의법 - 긴히그츠리잇가, ()잇ᄃᆞᆫ 그츠리잇가

대구법 2연의 1,3행과 2연의 5,7

 

3. 글핵 정리

. 갈래 고려 가요

. 성격 이별가, 남녀상열지사

. 운율 3·3·2, 3음보, aaba

. 주제 이별의 정한(情恨)

. 출전 - 악장가사(樂章歌詞)전문

- 시용향악보첫 구절과 후렴구

- 이제현의 소악부(小樂府), 2연이 한역(漢譯)되어 실림

 

4. 글핵 더하기

 

. 작품의 형성 과정

이 작품은 세 연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연 사이의 시상 연결이 자연스럽지 못하고 화자의 태도나 어조가 급격하게 변화되고 있다. 또한, 둘째 연에서 후렴구를 제외한 구절들은 정석가에서도 볼 수 있는 구절들이다. 이런 현상들은 고려 당시의 서로 다른 세 가지 노래를 당시 궁중의 속악 악곡에 맞추어 합성하고 후렴을 첨가하여 만들어졌음을 암시하고 있다.

 

. 적극적인 여인상

 

적극적인 여인상은 조선 시대에 자주 등장하는 전통적인 여인상과는 다르다. 이별을 적극적으로 거부하며, 생활의 터전을 버리는 한이 있어도 임을 따라가겠다고 하는 의지의 여인이다.

 

 

'고려 역사 속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동(動動)  (0) 2021.04.01
정석가(鄭石歌)  (0) 2021.04.01
가시리  (0) 2021.04.01
사모곡(思母曲)  (0) 2021.04.01
만전춘별사(滿殿春別詞)  (0) 2021.03.3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