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이상화

 

 

지금은 남의 땅(국권을 빼앗긴 상황) 빼앗긴 들(대유법-국토)에도 봄(봄이라는 계절/‘조국의 광복’)은 오는가?

                                                                                                                                                    1들을 빼앗긴 현실 인식

 

나는 온몸에 햇살을 받고

푸른 하늘 푸른 들(희망,자유, 광복을 이룬 조국)이 맞붙은 곳으로

가르마 같은 논길(좁고 길게 난 놀길을 가르마에 비유-향토적 시어)을 따라 꿈속을 가듯 걸어만 간다.

                                                                                                                                            2아름다운 봄 경치에 이끌림.

 

입술을 다문 하늘아 들아(국권을 빼앗긴 현실에 대한 답답한 심정 표출)

내 맘에는 내 혼자 온 것 같지를 않구나.

네가 끌었느냐 누가 부르더냐 답다워라(‘답답하다의 방언) 말을 해 다오.

                                                                                                                                      3침묵하는 조국에 대한 답답함.

 

바람은 내 귀에 속삭이며(의인법)

한 자국도 섰지 마라 옷자락을 흔들고

종다리는 울타리 너머에 아씨같이 구름 뒤에서 반갑다 웃네.

 

고맙게 잘 자란 보리밭아

간밤 자정이 넘어 내리던 고운 비로

너는 삼단(삼을 묶은 단) 같은 머리(조국에 대한 애정)를 감았구나 내 머리조차 가뿐하다.(자연에 동화)

 

혼자라도 가쁘게나 가자(민족이 다 함께 가지 못하지만 혼자라도 기꺼이 광복을 위해 나아가겠다는 의지를 표출)

마른 논을 안고 도는 착한 도랑이

젖먹이 달래는 노래를 하고 제 혼자 어깨춤만 추고 가네.

                                                                                                                            4~6: 봄을 맞이한 국토의 활기찬 모습

 

나비 제비야 깝치지(‘재촉하다의 방언) 마라

맨드라미 들마꽃에도 인사를 해야지

아주까리기름을 바른 이(전통적인 한국 여인의 이미지)가 지심매던 그 들이라 다 보고 싶다.

 

내손에 호미를 쥐어 다오

살찐 젖가슴과 같은 부드러운 이 흙을(국토의 풍요로움을 모성적 이미지로 나타냄)

발목이 시리도록 밟아도 보고 좋은 땀조차 흘리고 싶다.

                                                                                                                                              7~8: 국토에 대한 애정

 

강가에 나온 아이와 같이(앞에 시련이 있는지 없는지 알지 못하는 아이에 시적 화자를 비유함.)

(현재의 상황이나 형편)도 모르고 끝도 없이 닫는 내 혼아

무엇을 찾느냐 어디로 가느냐 우스웁다(식민지 현실에 대한 허탈감으로 인한 자조적인 웃음) 답을 하려무나.

                                                                                                                                               9: 현실에 대한 재인식

 

나는 온몸에 풋내를 띠고(하루 종일 봄의 들판을 다녀서 국토의 자연과 동화됨)

푸른 웃음(봄이 온 들판에서 느끼는 즐거움-청각의 시각화) 푸른 설움(국권 상실의 비애)이 어우러진 사이로

모순된 감정이 복합적적으로 제시됨.

다리를 절며(정서적 불균형으로 인한 내면의 갈등을 동작으로 형상화) 하루를 걷는다 아마도 봄 신령이 지폈나 보다.(봄 신령에게 홀렸나 보다.)

                                                                                                                                                          10감정의 혼란

 

그러나(시상의 전환) 지금은 들을 빼앗겨 봄조차 빼앗기겠네.

                                                                                                                                                          11절망적 현실 인식

 

 

핵심 정리

 

1. 갈래 자유시, 서정시

2. 성격 상징적, 낭만적, 저항적

3. 제재 빼앗긴 땅에 찾아온 봄

4. 주제 국권(국토) 상실의 비극적 현실

5. 특징

- 대칭 구조를 통해 시적 화자의 의식과 태도 변화 과정을 드러냄.

- 향토적 소재를 사용하여 국권 회복의 염원을 서정적으로 그리고 있음.

 

6. 해제

이 작품은 일제 강점기의 국권 상실에 대한 울분과 그 회복에 대한 염원이 잘 드러나 있는 시이다. 작가는 당대 현실을 상징하는 빼앗긴 들등의 시어를 통해 일제 강점기라는 시대적 상황을 드러내고 있으며, 다양한 표현 방법을 사용하여 국권 상실의 암담한 현실 인식을 보여 준다. 특히, 자연의 섭리에 따라 봄은 왔지만 이와 달리 인간다운 삶을 살 수 없었던 우리 민족의 현실을 답답해하는 화자의 울분이 잘 느껴진다.

 

7. 작가

이상화(1901~1943)

시인. 경성중앙학교를 수료한 1918년에 현진건, 백기만, 이상백과 습작 동인지 <거화(炬火)>를 내었다고 하나 책은 전하지 않는다. 현진건의 소개로 <백조>의 동인이 되었고 이 시기에는 탐미적이고 감상적인 시를 주로 썼다. 그러나 1922관동 대지진이 발생하여 한국인을 모함하는 유언비어가 일본에 난무하게 되고 프랑스 유학이 좌절되자, 그 이후로는 민족의식을 바탕으로 한 저항 의식과 향토성을 띤 작품을 쓰게 되었다. 주요 작품으로 <나의 침실로> 등이 있다.

 

 

 

출처 : 미래엔 문학 교과서 + 문학 자습서

 

 

 

'고2 문학 > 고2 미래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벽가(赤壁歌) - 작자 미상  (0) 2023.03.02
개밥바라기 별 – 황석영  (0) 2023.03.02
변신 - 프란츠 카프카  (0) 2023.02.23
나도 그들처럼 - 백무산  (0) 2023.02.23
황진이 - 홍석중  (0) 2023.02.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