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부

 

 

(‘민중 상징)는 서로 어우러져

기대고 산다.』                                    의 속성 서로 의지하며 살아감.

햇살(시련, 고통) 따가워질수록

깊이 익어 스스로를 아끼고(부정적 상황에서도 긍정적 태도를 보임.)

이웃들에게 저를 맡긴다.

                                                                                                 1 : 고난을 이겨 내고 서로 의지하며 살아가는 민중의 모습

 

서로가 서로의 몸을 묶어

더 튼튼해진 백성()들을 보아라.』       의 속성 힘을 합쳐 더욱 강하게 맞서 싸움.

죄도 없이 죄지어서 더욱 불타는(역설법, 무고하게 억압받는 민중의 모습)

마음들을 보아라. 벼가 춤출 때,

벼는 소리 없이 떠나간다.(희생적인 사랑을 실천함.)

                                                                                                2 : 공동체 의식으로 더 튼튼해진 민중의 생명력

 

벼는 가을 하늘에도

서러운 눈 씻어 맑게 다스릴 줄 알고(서러움을 승화시킴  자기 정화)

바람 한 점에도

제 몸의 노여움을 덮는다.(노여움을 절제함.)의 속성 서러움과 노여움을 승화시켜 성숙해짐.

저의 가슴도 더운 줄을 안다.(저항 의식을 지닌 민중의 모습)

                                                                                                3 : 서러움과 노여움을 승화시키는 민중의 성숙한 모습

 

벼가 떠나가며 바치는

이 넓디넓은 사랑, 의 속성 희생적인 사랑을 바칠 줄 앎.

쓰러지고 쓰러지고 다시 일어서서(끈질긴 생명력을 지닌 민중의 모습) 드리는

이 피 묻은 그리움,(민중이 열망하는 염원-자유, 평등)

이 넉넉한 힘(민중의 저력)…….

                                                                                             4 : 희생적인 사랑을 하고 고난을 이겨 내는 민중의 힘

 

                                                                                                                                                              “우리들의 양식”(1974)

 

 

 

핵심 정리

 

1. 갈래  자유시, 서정시, 참여시

2. 성격  참여적, 예찬적, 상징적

3. 제재  

4. 주제  민중의 공동체적 유대감과 강인한 생명력 예찬

5. 특징

             - ‘의 생장과 수확 과정에 따라 단계적으로 시상을 전개함.

             - 대상을 의인화하여 가 지닌 속성을 예찬함.

6. 해제

 이 작품은 의 다양한 모습을 통해 이 땅에서 살아온 민중의 한과 공동체 의식을 형상화하고 있는 시다. 의인화의 비유, 상징 등의 기법을 통해 벼의 생장 과정과 수확 과정을 그리는 동시에 민중이 지닌 기질과 덕성을 예찬하고 있다. 1970년대라는 그늘진 한국의 현대사를 경험한 작가는 전쟁과 독재 체제, 산업화의 그늘 속에서 희생을 감내해야 했던 민중들에 대한 깊은 관심과 사랑을 시로 담아 내었다.

 

7. 작가

   이성부(1942~2012)

 시인. 전라남도 광주 출생으로 광주고등학교 재학 당시에 전남일보 신춘문예에 시 <바람>이 당선되었다. 언론 활동을 하면서 연작시 <전라도>를 발표하여 당대의 암울한 사회적 분위기를 반영하는 현실 참여적인 시 세계를 확립해 나갔다. 고통스런 농촌의 현실을 정직하게 노래하는 한편, 전통적 서정과 민중의 연대감을 지켜 가기 위해 애를 썼다. 민중에 대한 애정을 바탕으로 공동체적 삶의 정결성과 도덕성에 관심을 기울이면서도 시적 상상력과 서정성을 잃지 않는 유연함을 지닌 것이 특징이다. 시집으로 이성부 시집, 우리들의 양식, 백제행, 전야, 빈산 뒤에 두고, 야간 산행 등이 있고, 주요 작품으로는 <>, <산길에서>, <전라도7> 등이 있다.

 

 

2018학년도 고1 모의고사 기출 문제로 실력 점검하기

 

[36~39]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

() 학창 시절에는 유별나게도 학년이 바뀌고 반이 바뀌어 친구들과 뿔뿔이 흩어져야 하는 신학기가 싫었다. 마음으로 간절히 원했던 친구는 거의 언제나 다른 반으로 가 버렸고, 한 반이 되지 않기를 빌고 빌었던 친구는 어김없이 한 반으로 편성되곤 하는 불행 아닌 불행 앞에서 얼마나 많이 속상해 했는지 모른다. 그래서 학년이 바뀌면 처음 얼마 동안은 늘 마음을 잡지 못했다. 아침에 눈을 떠 학교에 갈 일을 생각하면 가슴 한쪽이 싸늘해지곤 하던 그 느낌을 지금도 나는 선연히 떠올릴 수가 있다.

(중략)

이제는 반이 나뉘고 새로운 급우들한테서 낯섦을 실컷 맛봐야 하는 신학기 따위는 영영 내 곁에서 사라졌다. 그 대신 사랑하고 믿어 주는 것보다 시기하고 미워하며, 또는 빼앗고 속이는 일이 더 많은 황폐한 세상살이에 낯가림하며 사는 나날속으로 내던져지고 말았다. 망망대해를 헤매는 것처럼 힘든 인생의 항해는 신학기 잠시의 외로움을 극복하는 일 따위와는 비교도 할 수 없을 만큼 두려움 가득한 일이다. 삶은 고난 투성이고 끝없는 인내를 요구하기만 하는데, 홀로 헤치는  파도는 높고 거칠기만 한 것이다. 바로 이때에 영혼을 함께 나눌 친구가 절실히 필요해진다. 인생이란 험난한 항해를 같이 겪고 있다는 동지애를 느낄 수 있는 친구, 혹은 내 삶의 따뜻한 동반자라는 느낌이 전해져 오는 친구와 같이 있는 시간에는 이 세상도 한번 살아 볼 만하다는 용기가 솟는다. 그런 친구와 돈독한 우정을 서로 교환하고 있는 이들이라면, 적어도 실패한 삶은 아니라고 단정할 수 있는 것이다. 살아가면서 그런 우정을 가꾸는 이들을 종종 만난다. 비록 나의 친구는 아니지만 그 모습을 보는 일은 참 아름답다. 언젠가 친구가 사업에 실패해서 낙향하여 쓸쓸히 살아가는 것을 안쓰러워하다 못해 자기도 다니던 직장을 정리하고 가족과 함께 시골로 내려가 친구 옆에서 땅을 일구는 사람을 만난 적이 있었다. 이미 결혼하여 각각의 식솔을 이끌고 있는 두 사람한테는 참으로 어려운 결정이었겠지만, 양쪽 집의 가족들 모두는, 한결같이 이렇게 말하였다. 냉혹한 이 세상에 대항하기 위해 두 집이 힘을 합쳤으니 얼마나 든든하냐고. 누군가는 말했다. 친구 없이 사는 일만큼  무서운 사막은 없다고. 또 누군가는 말했다. 친구 없이 사는 것은 증인 없이 사라지는 일이라고.

- 양귀자, 사막을 같이 가는 벗 -

 

 

() 우리가 눈발이라면

허공에서 쭈빗쭈빗 흩날리는

진눈깨비는 되지 말자.

세상이 바람 불고 춥고 어둡다 해도

사람이 사는 마을

가장 낮은 곳으로

따뜻한  함박눈이 되어 내리자.

우리가 눈발이라면

잠 못 든 이의 창문 가에서는

편지가 되고

그이의  깊고 붉은 상처 위에 돋는

새살이 되자.

- 안도현, 우리가 눈발이라면 -

 

 

() 벼는 서로 어우러져

기대고 산다.

햇살이 따가워질수록

깊이 익어 스스로를 아끼고

이웃들에게 저를 맡긴다.

 

서로가 서로의 몸을 묶어

더 튼튼해진 백성들을 보아라.

죄도 없이 죄지어서 더욱 불타는

마음들을 보아라. 벼가 춤출 때,

벼는 소리 없이 떠나간다.

 

 

벼는 가을 하늘에도

서러운 눈 씻어 맑게 다스릴 줄 알고

바람 한 점에도

제 몸의 노여움을 덮는다.

저의 가슴도 더운 줄을 안다.

 

 

벼가 떠나가며 바치는

이 넓디넓은 사랑,

쓰러지고 쓰러지고 다시 일어서서 드리는

이 피 묻은 그리움,

이 넉넉한 힘…….

- 이성부,  -

---------------------------------------------------------------------------------------------------------------------------------------------------

36. () ~ ()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는 계절적 배경을 드러내는 소재를 통해 경건한 분위기를 형성하고 있다.

 () ()는 구체적 지명을 제시하여 향토성을 드러내고 있다.

 () ()는 대상을 의인화하여 말을 건네는 방식으로 친근감을 드러내고 있다.

 () ()는 동일한 시어를 반복하여 시적 의미를 강조하고 있다.

 () ()는 명사형으로 마무리함으로써 독자에게 여운을 주고 있다.

 

 

37.  ~ 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 : 글쓴이가 세상살이에서 헤쳐 나가야 할 고난을 의미한다.

② ㉡ : 글쓴이에게 부정적 의미의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다.

③ ㉢ : ‘함박눈과 대조적인 의미를 지닌 시어이다.

④ ㉣ : ‘편지’, ‘새살처럼 세상에 필요한 존재이다

⑤ ㉤ : 화자에게 그리움을 불러일으키는 매개체이다.

 

38. () <보기>와 같이 구조화할 때,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

[A]

학창시절

                              경험                                          ⇒ [C]

[B]                                                                           깨달음

학창시절 이후

---------------------------------------------------------------------------------------------------------------------------------------

 [A] : 글쓴이는 신학기 때 원했던 친구들과 반이 달라져 낯섦과 외로움을 경험했다.

 [B] : 글쓴이는 [A]보다 세상살이가 더 힘들다는 것을 절실하게 경험했다.

 [B] : 글쓴이는 사업에 실패해서 낙향한 친구와 함께 시골에서 돈독한 우정을 나누었다.

 [B] : 글쓴이는 주변 사람들의 모습을 통해 힘든 삶을 함께 헤쳐 나갈 친구가 있다면 실패한 삶은 아니라고 생각했다.

 [C] : 글쓴이는 [B]의 경험을 통해 힘들 때 진정한 우정을 나눌 수 있는 친구의 필요성을 느꼈다

 

 

39. <보기>를 바탕으로 ()에 드러난 벼의 속성을 민중의 모습과 연결했을 때,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

이성부의 는 벼의 속성을 민중과 연결시켜 희생과 인내를 통해 고난에 대응하는 민중의 강인한 생명력을 보여 주고 있다. 이를 통해 고통스러운 현실에 분노와 절망을 느끼면서도 자신의 내면을 다스리고 서로 단결하는 공동체 의식을 보여 주고 있는 것이다.

---------------------------------------------------------------------------------------------------------------------------------------------------------------

---------------------------------------------------------------------------------------------------------------------------------------------------------------

 공동체 의식  서로 어우러져 기대고 산다

 인내심  이웃들에게 저를 맡긴다.

 단결력  서로 몸을 묶어 더 튼튼해진다.

 희생정신  사랑을 바치고 떠나간다.

 생명력  쓰러져도 다시 일어난다.

--------------------------------------------------------------------------------------------------------------------------------------------------------------

① ⓐ                     ② ⓑ                        ③ ⓒ                      ④ ⓓ                     ⑤ ⓔ

 

 

 

더보기

정답

36  37  38  39 

 

'1970년대 역사 속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수꾼 - 이강백  (0) 2020.07.15
전태일  (0) 2020.07.08
1970년대 역사적 상황  (0) 2020.07.08
난쟁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0) 2020.06.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