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악장의 의미

악장이란 말은 궁중에서 나라의 공식적인 행사에 쓰이는 노래가사를 두고 부르는 일반적인 이름

1) 악장(樂章) - 우리 문학에서 악장은 조선왕조 초기(15세기) 특정한 시가 장르에 붙여진 이름.

- 조선 건국 초 예악(禮樂)정비의 일환으로, 나라의 공식적인 행사에 쓰기 위해 새로 지은 노래 가사들을 특별히 따로 묶어서 악장이라 이름함

- 훈민정음 창제로 국문자의 실용이 요청됨에 따라 그 첫 사업으로 조선 왕조의 조상을 신성화하고 왕업의 영원무궁함을 기원하며 군왕의 덕화를 찬송하기 위하여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가 지어졌고, 이어서 부처의 은총을 찬송하기 위하여 석가모니 일대기를 노래로 엮은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이 제작되었다.

 

2.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1) 편찬 배경

- 세종 24년(1442) 봄에 경상 ⦁ 전라 두 도의 관찰사에게 전지(傳旨)를 내려, 태조가 운봉(雲峰)에서 왜구와 싸우던 사적을 탐문하여 보고하라 하여 『용비어천가』 편찬작업을 착수하였다.

- 세종 28년(1446) 훈민정음이 반포되자 『태종실록』을 상고하여 한역시를 삽입하였고, 동 29년(1447) 2월에는 사실(史實)과 어구(語句)에 대한 주해를 붙여 10권을 만들어 올렸다. 같은 해 5월에는 『용비어천가』를 음악에 맞추어 치화평(致和平), 취풍향(醉豊享), 봉래의(鳳來儀), 여민락(與民樂) 등의 악보를 만들어 공사 연향(宴饗)에 쓰게 하였다.

- 조선 왕조는 신흥 국가로서 밖으로는 사대교린(事大交隣)의 정책을 확립하고 있었고, 안으로는 새로운 질서와 지배 체제를 다지는 시기 였다. 세종 대왕은 조선 왕조의 창업에 대하여 역성혁명(易姓革命)의 당위성을 내세우기 위하여 육조(六祖)의 행적을 중국의 고대 주(周)나라의 개국(開國)에 대비시켜 천명(天命)의 소치임을 강조하려 함.

  

2) 『용비어천가』의 내용

 - 세종의 6조(목(穆) ⦁ 익(翼) ⦁ 도(度) ⦁ 환(桓) ⦁ 태조(太祖) ⦁ 태종(太宗) )의 성덕을 찬송하고, 또는 훈계하여 왕손의 영구한 보전을 축원한 125장으로 된 노래이다.

- 제1 장은 조선 왕조의 융성함이 천명의 도움임을 표현한 것이다.

- 제2장은 자연물을 빌어 왕손의 번성함과 왕업의 영원함을 읊음.

- 제10장과 제68장과 제 79장은 앞의 노래들을 이어서 반복하여 읊음.

- 제110장 이하는 다시 앞의 내용들을 반복하면서 규계(規戒)의 뜻을 나타내려고 함.

- 각 장은 대개 6조의 업적을 중국의 역대 제왕의 사적과 견주어 서술하고 있음

 

3) 『용비어천가』의 작가

- 서문에 따르면 권제, 정인지, 안지, 최항, 박팽년, 강희안, 신숙주 등을 시켜 지었다고 했는데, 그들은 노래뿐만이 아니라 한시 번역과 역사적인 사실을 중심으로 하는 주해까지도 집필하였을 것이 분명하다.

 

4) 『용비어천가』 형식

 

- 모두 125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장별(章別) 행(行)의 수는 제1장 1해, 제2 ~ 124장 2행, 제125장 3행으로 제 125장을 제외한 나머지 123장은 매 장이 전후 2행으로 이루어져 있다.

- 전행과 후행은 대구(對句로 되어 있어, 주제를 강조하는 효과와 리듬감을 빚어내는 데에 효과가 크다.

 

5) 내용 구조

 

서사(1~2장) - 조선 창업의 당위성을 포괄적으로 제시

본사(3~ 109장) - 창업의 당위성을 구체적 이야기로 실증

결사(110~125장) - 후세 왕에게 경천근민(敬天勤民)할 것을 훈계

 

* 3~124장의 주인공은 4조와 태조, 태종이 순차적으로 순화되는 방식으로 배열되어 있다. [4조(3~8장) → 태조(9~16장)] →[4조(17~26장 →태조(27~89장) →태종(90~109장)] → [4조(110~111) → 태조(112~122장) → 태종(123~124)]

 

 

 

『용비어천가』 핵심정리

 

① 성격 - 서사적, 송축가(頌祝歌)

② 의의 - 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최초의 문학

③ 주제 - 조선 창업의 당위성과 후왕 훈계

 

 

참고 문헌

 

정병욱, 「증보판 한국고전시가론」, 신구 문화사, 2003.

 

 

* 기출문제 풀어보기 - 2016 대학수학능력시험 문제지[A형]

-------------------------------------------------------------------------------------------------------------------------------

(가)

뿌리 깊은 나무는 바람에 아니 뮐새 꽃 좋고 열매 많나니

샘이 깊은 물은 가뭄에 아니 그칠새 내가 이러 바다에 가나니

                                                    <제2장>

 

천세(千世) 전에 미리 정하신 한강 북녘에 누인개국(累仁開國)하시어 복년(卜年)이 가이없으시니

성신(聖神)이 이으셔도 경천근민(敬天勤民) 하셔야 더욱 굳으시리이다

임금아 아소서 낙수(落水)에 사냥 가 있어 조상만 믿겠습니까

                                                             <125장>

------------------------------------------------------------------------------------------------------------------------------

 

40. (가)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제2장>에서는 유사한 자연의 이치가 내포된 두 사례를 나란히 배열하고 있다.

② <제125장>에서는 행에 따라 종결 어미를 달리하고 있다.

③ <제2장>과 달리, <제125장>은 전언의 수신자를 명시하고 있다.

④ <제125장>가 달리, <제2장>은 한자어를 배제하고 순 우리말의 어감을 살리고 있다.

⑤ <제2장>과 <제125장>은 모두 자연현상과 인간의 삶을 대조적으로 보여 주고 있다.

 

정답 : 5

 

 

 

 

 

 

'조선 역사 속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생규장전(전문)  (0) 2020.07.15
김시습  (0) 2020.07.15
예덕선생전  (0) 2020.07.08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  (0) 2020.07.08
용비어천가 내용 정리  (0) 2020.06.2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