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시습

 

1. 김시습(金時習, 1435-1493)금오신화(金鰲新話)로 한국문학사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고려 말기부터 설화에서 기인한 가전체 문학, 그리고 전기(傳奇)의 형태로 이어지던 서사문학이 금오신화로 말미암아 비로소 고전소설의 탄생을 보게 되었기 때문이다. 더욱이 그는 생육신의 한 사람으로, 조선왕조의 체제가 정비되면서 점차 드러나기 시작한 시대적 모순에 저항했던 사람이었고, 기존의 문학과는 다른 방외(方外)인의 문학을 산출해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2. 김시습의 생애

 

김시습의 자는 열경(悅卿)이고, 호는 매월당(梅月堂)동봉청한자 등이며 본관은 강릉이다. 그는 신라 원성왕의 동생인 김주원(金周元)의 후손인데, 여러 대에 걸쳐 무관직에 종사하던 한미한 집안이었다.

 

김시습은 유년 시절을 대부분 서울에서 보냈다. 그는 서울의 반궁(泮宮), 지금의 성균관 북쪽에서 태어났다. 태어난지 8개월만에 능히 글을 깨우치자, 이웃집에 사는 집현전 학사 최치운은 그의 이름을 시습이라 하였다. 이는 논어학이(學而)에 나오는 배우고 때로 익히면 또한 즐겁지 아니한가”(學而時習之 不亦悅乎)라는 글귀에서 따온 것이다.

 

3세 때에는 이미 글을 지을 줄 알아 외할아버지에게 시 짓는 법을 배웠다. 유모가 보리를 맷돌로 갈자 비도 없는데 어디서 천둥 소리 나는가/ 누런 구름이 조각조각 사방에 흩어지네라 하여 주변 사람들을 놀라게 하였다.

 

5세 되던 해 김시습은 이웃에 사는 수찬(修撰) 이계전(李季甸)의 문하에 들어가 중용대학을 배웠다. 하루는 정승 허조가 찾아와 ()’자를 넣어 시를 짓게 하였다. 그랬더니 김시습은 그 자리에서 노목에 꽃이 피니 마음은 늙지 않았네라고 시를 지어 뭇 사람들은 탄복시켰다. 이 소문은 국왕인 세종에까지 들어갔고 세종은 승정원 지신사(知申事) 박이창(朴以昌)에게 명을 내려 김시습을 불러다가 사실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였다. 박이창은 김시습을 불러온 자리에서 동자의 글재주는 백학이 하늘 끝에서 춤추는도다라는 글귀에 대구를 맞추라고 하였다. 그러자 어린 김시습은 곧바로 성군의 덕은 황룡이 푸른 바다에서 번득이는 듯하다라고 시구를 지었다. 그 밖에 몇 번의 시험이 있지만 막힘이 없어 지어내 주변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한다. 세종은 그에게 비단 50필을 하사하였고, 김시습은 하사받은 50필의 비단 끝을 각각 이어서 한쪽 끝을 허리에 차고 유유히 끌고 대궐문을 나갔다. 이때부터 그의 이름이 널리 알려져 김오세(金五歲)’라고 불리웠다 한다.

 

13세에 성균관 대사성을 지낸 뒤 후진양성에 힘쓰던 김반의 문하에서 사서(四書)를 배웠고 국초(國初)의 사범지종(師範之宗)으로까지 불리던 윤상에서 제자백가를 두루 배웠다.

15세에 어머니가 세상을 떠나자 외가의 농장에 내려가 몸을 의탁하고 3년간 시묘살이를 하였다. 그러나 3년상을 마치기 전에 다시 그의 외숙모마저 세상을 떠나 그는 어쩔 수 없이 서울로 올라와야 했다. 이 무렵 그의 아버지까지 중병이 들어 집안 일을 거의 돌볼 수 없게 되자 곧 계모를 맞이하게 되었다. 김시습도 훈련원 도정 남효례의 딸과 혼인하였다.

 

21세 되던 해에 수양대군이 어린 단종을 내쫓고 왕의 자리에 오르게 된 계유정난이 일어난다. 이 소식을 전해들은 그는 대성통곡하며 읽고 있던 책을 모조리 불사른 뒤 머리를 깎고 승려가 되었다. 법명을 설잠(雪岑)으로 한 후 그는 전국을 발길 닿는 대로 정처없이 떠돌아다녔다. 이때부터 입신출세의 길을 단념하였고, 자유로운 삶을 선택했다.

 

24세에 관서지방을 유랑하면서 지은 글을 모아 탕유관서록을 엮었고, 관동지방으로 가 금강산, 강릉 등지를 돌아다니면서 26세에는 탕유관동록을 엮었다.

 

29세에는 삼남을 기행하면서 쓴 글을 모아 탕유호남록을 정리하여 엮었다.

29(세조 9) 되던 해 가을, 책을 사기 위해 서울에 올라갔다가 효령대군을 만났고, 그는 대군의 간청을 못이겨 세조가 벌이고 있던 불경언해 사업을 도와 내불당(內佛堂)에서 교정을 맡아보았다. 그러나 자신이 경멸하던 인사들이 중앙 관직의 요직을 차지하고 있는 현실을 저주하며 다시 서울을 등지고 방랑의 길을 떠났다.

 

31(1465) 봄에는 경주 남산의 금오산에 들어가 금오산실을 짓고 그곳에서 일생을 마치려 하였지만 이 해 3월에 효령대군의 추천으로 원각사 낙성회에 참가하라는 세종의 명을 받고 서울로 올라왔다. 그는 치하(致賀)와 찬시(讚詩)를 지어 임금에게 바쳤다. 임금은 그에게 원각사에 머무르도록 하였으나, 그는 여러 날을 보내고는 재물을 기울여 책을 사서 서울을 떠났다. 그가 잠시 왕의 명을 받들어 서울로 올라왔던 것은 10년의 세월이 흐르는 동안 세조에 대한 반감이 어느 정도 풀렸고, 그에게 아직 벼슬에 대한 미련이 남아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가 머물렀던 금오산의 금오산실은 용장사터였고 그는 이곳에서 37세까지 약 7년간을 머무르게 되는데, 우리나라 최초의 소설인 금오신화가 이 시기에 씌어진 것으로 보인다.

 

37세가 되던 해 봄에 서울로 올라왔다. 그때는 그와 친분이 두터운 서거정(徐居正)이 예문관 대제학을, 정창손(鄭昌孫)은 영의정, 김수온(金守溫)은 좌리공신, 노사신은 영돈녕부 등의 지위에 올라 있었다.

그는 10여년 동안 성동의 폭처넝사 외에도 양주에 있는 수락산의 수락정사에서도 오래 생활하였다.

 

47세가 되던 해에 갑자기 머리를 기르고 고기를 먹기 시작해다. 주위 사람의 권유로 안씨 집안의 딸과 혼인하여 환속하였다. 그러나 얼마 못 되어 부인이 죽고 말았다. 이듬해 폐비윤씨사건으로 세상이 시끄럽자 다시 방랑의 길을 떠났다.

 

 

김시습은 관동으로 간 뒤 한 곳에 오래 머무르지 않고 각 지방으로 전전하며 설악산춘천강릉한계청평 등지를 떠돌아다녔다. 그는 춘천 청평사의 남쪽 마을인 세향원이나 설악산의 오세암에 거처하기도 하였다.

 

김시습은 충청도 부여의 무량사에서 59세 되던 해 3월에 생애를 마쳤다.

 

3. 한문 단편소설집 금오신화

 

김시습이 31세에서 37세까지 경주의 금오산에 머물면서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

김시습은 이 작품을 지은 뒤 곧바로 세상에 발표하지 않고 석실에 감추두고는 후세에 반드시 나를 아는 자가 있으리라 하였다. 이처럼 널리 알려지지 않았던 금오신화는 임진왜란 때 왜군이 약탈하여 일본에서 두 차례나 판각되었다.

⓷ 「금오신화는 국내의 문인들에게도 읽혀졌던 듯하다. 용천담적기에서 김안로는 이를 전등신화와 비교하고 있다. 또한 퇴계 이황도 읽었다 하였으며, 하서 김인후도 이 작품에 대한 시를 쓰고 있고, 우암 송시열도 이를 읽고자 하였으나 구하지 못하였다고 했다. 특히 조선 중기에는 김집이 직접 옮겨 적은 전기소설집에도 만복사저포기이생규장전이 수록되어 있다.

조선시대 소설 문학의 서장을 연 금오신화에 대하여 일찍이 김안로는 명나라 구우(瞿佑)가 쓴 전등신화를 본받아 썼다고 지적한 바 있고, 김시습도 전등신화를 읽고 쓴 제전등신화후를 남기기도 하였다. 이러한 지적 이후 이 작품은 전등신화의 영향을 받았거나 모방하여 씌어진 것으로 여겨졌다.

최근에는 전등신화금오신화의 세계관이 상이하고, 우리 서사문학의 전통 속에서 금오신화가 씌어졌을 것으로 보는 견해가 유력하게 제시되고 있다. 금오신화속의 저항성이나 시대 거부의 의지는 현실세계에서 외면당한 작가가 유자(儒子)적 이상을 실천하고자 하는 노력의 표현이며, 인간성을 옹호하고 긍정하려는 현실 참여의 정신이 이러한 작품으로 구체화된 것으로 본다.

이 작품은 김시습의 내면적인 고민의 소산이다. 곧 유불선을 탐구하던 30대 지식인의 사상과 세계관의 갈등이 뒤섞인 것이며, 그가 입신양명하기에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깨닫고 이러한 갈등을 문학작품으로 승화시켰다.

 

4. 이생규장전속의 홍건적의 난

 

* 홍건적과 왜구

머리에 붉은 수건을 썼다는 뜻의 홍건적(紅巾賊)은 본래 원의 지배에 반대해 일어선 농민 봉기군이었으나 점차 변질되어 약탈자가 되었다. 홍건적은 13594만의 병력으로 침입, 서경까지 점령한 적이 있으며, 136110월에는 20만의 병력으로 들어와 고려의 수도인 개경까지 점령. 이에 고려군은 13621월 총병관 정세운이 이끄는 20만의 병력으로 총반격을 개시, 10여만 명의 적을 섬멸하는 대전과를 거두면서 홍건적을 물리침

왜구(倭寇)의 문제가 본격 대두된 것은 1350년 이후의 일. 이 때는 관응의 난이라 해서 일본 전역이 내란에 휩싸이고, 일본 봉건 지배층의 수탈이 극에 달한 시기였는데, 굶주린 사람들이 해적 행위에 나선 것이 바로 왜구. 왜구는 공민왕 대에 115, 우왕(1374~1388) 대에 378회에 이를 정도로 끊임없이 고려의 남부 해안 지역, 때로는 내륙 지방까지 침입. 왜구들은 소규모 혹은 대규모로 불시에 나타나 학살과 약탈, 노략질을 하고는 돌아갔기 때문에, 당시 북방에서 원, 홍건적 등과 긴장된 대결을 벌여야 했던 고려로서는 효과적인 대응을 하기 어려움.

고려는 1370년대 이후 왜구에 대한 본격적인 반격에 나섬. 최영의 제의에 따라 수군을 건설(1373)하였으며, 최무선의 제안에 따라 화통도감을 설치(1377)하고 전함에 화포, 화통 등 최무선이 발명한 화약 무기 장착. 최신형 무기를 장비한 고려 함대는 진포, 박두양 등징의 해전에서 왜구에게 큰 타격 가함.

그 후 1389년에는 박위가 지휘하는 100척의 고려 함대가 왜구의 소굴인 대마도를 공격, 300척의 왜선을 불사르고 근거지를 파괴함으로써 왜구의 침입은 어느 정도 진정. 이 당시 외적과의 투쟁에서 명성을 얻은 장군들은 최영, 이성계, 이방실 등임.

 

 

참고 문헌

 

정병헌∙ 이지영 지음, 고전문학의 향기를 찾아서」, 돌베개, 200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