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록담 정지용

 

                                                                                         1

 

절정에 가까울수록 뻐꾹채꽃 키가 점점 소모된다. 한 마루 오르면 허리가 스러지고 다시 한 마루 우에서 모가지가 없고 나중에는 얼굴만 갸옷 내다본다. 화문(花紋-꽃무늬)처럼 판 박힌다. 바람이 차기가 함경도 끝과 맞서는 데서 뻐국채 키는 아주 없어지고도 팔월 한철엔 흩어진 성신(星辰)처럼 난만하다.(꽃과 별의 이미지를 동일시함.) 산그림자 어둑어둑하면 그러지 않아도 뻐꾹채 꽃밭에서 별들이 켜 든다. 제자리에서 별이 옮긴다. 나는 여기서 기진했다.

 

                                                                                       2

 

암고란(巖古蘭), 환약(암고란의 열매를, 등반의 고통을 치유하는 약에 비유함)같이 어여쁜 열매로 목을 축이고 살아 일어섰다.

                                                                                                                        1~2: 산 정상 가까운 곳에서 휴식을 취함.

 

                                                                                      3

 

백화(白樺) 옆에서 백화가 촉루(해골)가 되기까지 산다.(살아 있는 자작나무와 죽은 자작나무가 함께 있는 모습) 내가 죽어 백화처럼 흴 것이 숭없지(숭없다- ‘() 없다의 방언. 말이나 행동 따위가 불쾌할 정도로 흉하다.) 않다.

 

                                                                                     4

 

귀신도 쓸쓸하여 살지 않는 한 모롱이, 도체비꽃(산수국. 제주도에서는 주로 파란색 꽃이 피어서 도깨비불을 닮았다고 함.)이 낮에 혼자 무서워 파랗게 질린다.

 

                                                                                    5

 

바야흐로 해발 육천 척 우에서 마소가 사람을 대수롭게 아니 여기고 산다.(자연과 사람이 서로 함께 어울리며 살아감.) 말이 말끼리 소가 소끼리, 망아지가 어미 소를 송아지가 어미 말을 따르다가 이내 헤어진다.(둥물이 자신의 종족을 알아보고 함께 모여 있음 일제 강점기에 우리 민족끼리 함께 있지 못하는 현실과 대비됨.)

 

                                                                                   6

 

첫 새끼를 낳노라고 암소가 몹시 혼이 났다. 얼결에 산길 백 리를 돌아 서귀포로 달아났다. 물도 마르기 전에 어미를 여읜 송아지(민족의 정체성을 잃은 우리 백성을 상징함.)는 움매 움매 울었다. 말을 보고도 등산객을 보고도 마구 매어 달렸다. 우리 새끼들도 모색(毛色-털색)이 다른 어미한테 맡길 것을 나는 울었다.(송아지가 털빛이 다른 어미한테 길러질 상황을 보면서 화자는 우리 민족이 일제에 의해 정체성을 잃고 살아갈 상황을 떠올리며 슬퍼함. 부정적 현실에 대한 화자의 인식이 간접적으로 드러남.)

 

                                                                                 7

 

풍란이 풍기는 향기, 꾀꼬리 서로 부르는 소리, 제주 휘파람새 휘파람 부는 소리, 돌에 물이 따로 구르는 소리, 먼 데서 바다가 구길 때 솨 솔소리(후각적, 청각적 이미지를 활용하여 산에 오른 즐거움을 생동감 있게 묘사함.), 물푸레 동백 떡갈나무 속에서 나는 길을 잘못 들었다가 다시 칡넌출 기어간 흰 돌박이 고부랑길로 나섰다. 문득 마주친 아롱점말이 피하지 않는다.

 

                                                                                 8

 

고비 고사리 더덕순 도라지꽃 취 삿갓나물 대풀 석용(석이버섯의 오류) 별과 같은 방울을 달은 고산 식물을 새기며 취하며 자며 한다. 백록담 조촐한 물을 그리어 산맥 우에서 짓는 행렬이 구름보다 장엄하다. 소나기 놋낱 맞으며 무지개에 말리우며 궁둥이에 꽃물 이겨 붙인 채로 살이 붓는다.

                                                                                                           3~8: 신비로운 풍경을 만나면서 한라산을 등반함.

 

                                                                                  9

 

가재도 기지 않는 백록담 푸른 물에 하늘이 돈다. 불구에 가깝도록 고단한 나의 다리를 돌아 소가 갔다. 좇겨 온 실구름 일말에도 백록담은 흐리운다. 나의 얼굴에 한나절 포긴 백록담은 쓸쓸하다.(자연과의 합일, 자아와 세계의 일치) 나는 깨다 졸다 기도조차 잊었더니라.(몰아(沒我)의 경지)

                                                                                                      9: 정상에 도착하여 백록담을 보며 몰아의 경지를 느낌.

 

 

 

핵심 정리

 

1. 갈래 자유시, 서정시

2. 성격 산문적, 신비적, 묘사적

3. 제재 한라산의 백록담

4. 주제 백록담의 신비로움과 아름다운 경치

5. 구성

               1~2: 산 정상 가까운 곳에서 휴식을 취함.

               3~8: 신비로운 풍경을 만나면서 한라산을 등반함.

                  9: 정상에 도착하여 백록담을 보며 몰아(沒我)의 경지를 느낌.

6. 특징

               - 한라산을 등반하며 보게 된 정경을 구체적으로 묘사함.

               - 자연과의 합일, 몰아의 경지 등 동양적 세계관이 드러남.

7. 해제

 이 작품은 한라산을 등반하면서 본 풍경과 정상에서 느낀 백록담의 신비로움을 드러낸 시로, 자연과 합일되는 물아일체의 경지가 잘 나타나 있다. 각 연에서는 정상에 이르기까지의 여정과 풍경을 구체적이고 감각적으로 묘사하면서, 화자의 내면 의식이 함께 드러나고 있다. 화자는 일제 강점기의 암울하고 고통스러운 시대 상황 속에서 민족의 정기를 상징하는 백록담을 향하고 있는데, 이는 부조리한 현실을 극복하려는 의지의 표상이라고 할 수 있다.

 

8. 작가

    정지용(1902~1950)

   시인. 휘문고등보통학교 재학 시절부터 작품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1930년대에는 시문학, 구인회의 동인으로 참가하여 참신한 감각적 이미지의 시들을 발표하였다. 일제 강점기 말에는 이병기, 이태준 등과 함께 문예지 문장을 만들어 전통주의적 경향의 시를 발표하였다. 초기에는 섬세하고 감각적인 시어와 선명한 이미지를 구사하였고, 1930년대 후반부터는 동양적인 관조와 고독의 세계를 많이 다루었다. 주요 작품으로는 <고향>, <향수>, <백록담> 등이 있다.

 

 

출처 : 미래엔 문학 교과서 + 미래엔 문학 자습서

 

 

 

2022학년도 수능 특강 문제로 실력 점검하기

 

[01~04]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

()

1

 

절정에 가까울수록 뻐꾹채꽃 키가 점점 소모된다. 한 마루 오르면 허리가 스러지고 다시 한 마루 우에서 모가지가 없고 나중에는 얼굴만 갸옷 내다본다. 화문(花紋)처럼 판 박힌다. 바람이 차기가 함경도 끝과 맞서는 데서 뻐국채 키는 아주 없어지고도 팔월 한철엔 흩어진 성신(星辰)처럼 난만하다. 산그림자 어둑어둑하면 그러지 않아도 뻐꾹채 꽃밭에서 별들이 켜 든다. 제자리에서 별이 옮긴다. 나는 여기서 기진했다.

 

2

 

암고란(巖古蘭), 환약같이 어여쁜 열매로 목을 축이고 살아 일어섰다.

 

3

 

백화(白樺) 옆에서 백화가 촉루(해골)가 되기까지 산다. 내가 죽어 백화처럼 흴 것이 숭없지 않다.

 

4

귀신도 쓸쓸하여 살지 않는 한 모롱이, 도체비꽃이 낮에 혼자 무서워 파랗게 질린다.

 

5

 

바야흐로 해발 육천 척 우에서 마소가 사람을 대수롭게 아니 여기고 산다. 말이 말끼리 소가 소끼리, 망아지가 어미 소를 송아지가 어미 말을 따르다가 이내 헤어진다.

 

6

 

첫 새끼를 낳노라고 암소가 몹시 혼이 났다. 얼결에 산길 백 리를 돌아 서귀포로 달아났다. 물도 마르기 전에 어미를 여읜 송아지는 움매 움매 울었다. 말을 보고도 등산객을 보고도 마구 매어 달렸다. 우리 새끼들도 모색(毛色)이 다른 어미한테 맡길 것을 나는 울었다.

 

7

 

풍란이 풍기는 향기, 꾀꼬리 서로 부르는 소리, 제주 휘파람새 휘파람 부는 소리, 돌에 물이 따로 구르는 소리, 먼 데서 바다가 구길 때 솔소리, 물푸레 동백 떡갈나무 속에서 나는 길을 잘못 들었다가 다시 칡넌출 기어간 흰 돌박이(흰 돌 박힌) 고부랑길로 나섰다. 문득 마주친 아롱점말이 피하지 않는다.

 

8

고비 고사리 더덕순 도라지꽃 취 삿갓나물 대풀 석용 별과 같은 방울을 달은 고산 식물을 새기며 취하며 자며 한다. 백록담 조촐한 물을 그리어 산맥 우에서 짓는 행렬이 구름보다 장엄하다. 소나기 놋낱 맞으며 무지개에 말리우며 궁둥이에 꽃물 이겨 붙인 채로 살이 붓는다.

 

 

9

 

가재도 기지 않는 백록담 푸른 물에 하늘이 돈다. 불구에 가깝도록 고단한 나의 다리를 돌아 소가 갔다. 좇겨 온 실구름 일말에도 백록담은 흐리운다. 나의 얼굴에 한나절 포긴 백록담은 쓸쓸하다. 나는 깨다 졸다 기도조차 잊었더니라.

-정지용, 백록담

 

 

() 산이 날더러는

흙이나 파먹으라 한다

날더러는 삽이나 들라 하고

쑥굴헝에 박혀

쑥이 되라 한다

늘퍼진 날 산은

쑥국새 울고

저만치 홀로 서서 날더러는

쑥국새마냥 울라 하고

흙 파먹다 죽은 아비

굶주림에 지쳐

쑥굴헝에 나자빠지

에미처럼 울라 한다

산이 날더러

흙이나 파먹다 죽으라 한다

-정희성, 저 산이 날더러 목월 시 운을 빌려

------------------------------------------------------------------------------------------------------------------------

()()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는 설의법을 통해, ()는 영탄법을 통해 화자의 태도를 강조하고 있다.

()는 유년 시절을 떠올리며, ()는 미래를 예측하며 주제 의식을 부각하고 있다.

()는 하강적 이미지로, ()는 상승적 이미지로 계절의 변화 과정을 그리고 있다.

()는 동일한 시행의 반복으로, ()는 음성 상징어를 활용하여 리듬감을 주고 있다.

()는 시행을 나누지 않는 산문 형식으로, ()는 수미상관의 구조로 시상을 전개하고 있다.

 

2. 에 대한 이해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은 모두 화자의 흥취를 북돋우는 역할을 한다.

② ㉠은 모두 부정적 현실을 극복하려는 화자의 의지가 투영된 존재이다.

③ ㉠은 긴박한 분위기를 조성하고, 은 고조되었던 분위기를 이완한다.

④ ㉠은 화자가 처한 상황의 분위기를 돋우고, 은 화자가 느끼는 정서를 심화한다.

⑤ ㉠은 자연의 섭리를 부각하는 존재이고, 은 이상향에 대한 동경을 드러내는 존재이다.

 

3. <보기>를 바탕으로 ()를 감상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

백록담에는 작가가 한라산의 정상인 백록담에 다녀왔던 경험이 드러나 있다. 비유적 표현과 다양한 감각적 이미지를 활용하여 등반 과정이나 한라산의 자연물을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으며, 일제 강점기의 암울하고 고통스러운 시대 상황을 간접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화자는 한라산이 정상인 백록담의 맑고 깨끗한 정경을 묘사한 후, 정상에서 느끼는 정서를 드러내면서 시상을 마무리하고 있다.

----------------------------------------------------------------------------------------------------------------------------------

화문처럼 박힌다’, ‘흩어진 성신처럼 난만하다.’ 등은 한라산 등반 과정에서 화자가 바라본 뻐국채꽃의 모습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이군.

풍란이 풍기는 향기’, ‘솨아 솨아 솔소리’, ‘흰 돌바기 고부랑길등은 다양한 감각적 이미지를 활용하여 한라산의 자연물을 생생하게 묘사한 것이군.

어미를 여읜 송아지마구 매어 달리는 모습을 보고 우리 새끼들도 모색이 다른 어미한테 맡길 것을떠올리는 것은 암울하고 고통스러운 시대 상황을 간접적으로 나타낸 것이군.가재도 긔지 않는’ ‘푸른 물실구름 일말에도’ ‘흐리운다는 것은 백록담이 작은 구름에도 흐려질 정도로 맑고 깨끗한 곳임을 강조한 것이군.

나는 깨다 졸다 기도조차 잊었다는 것은 한라산 정상에서 바라본 혼탁한 세상의 모습에 대한 화자의 안타까움을 드러낸 것이군.

 

 

4. ()<보기>를 비교하여 감상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

하늘은 날더러 구름이 되라 하고

땅은 날더러 바람이 되라 하네.

청룡 흑룡 흩어져 비 개인 나루

잡초나 일깨우는 잔바람이 되라네

뱃길이라 서울 사흘 목계 나루에

아흐레 나흘 찾아 박가분 파는

가을볕도 서러운 방물장수 되라네

산은 날더러 들꽃이 되라 하고

강은 날더러 잔돌이 되라 하네.

산서리 맵차거든 풀 속에 얼굴 묻고

물여울 모질거든 바위 뒤에 붙으라네

민물 새우 끓어 넘는 토방 툇마루

석삼년에 한 이레쯤 천치로 변해

짐 부리고 앉아 쉬는 떠돌이가 되라네

하늘은 날더러 바람이 되라 하고

산은 날더러 잔돌이 되라 하네.

신경림 목계 장터

------------------------------------------------------------

()<보기>와 달리 물질적 궁핍으로 인해 고통스럽게 살아가는 가족의 비참하고 치열한 현실을 드러내고 있군.

<보기>()와 달리 정착하지 못하고 떠돌이의 삶을 살아갈 수밖에 없는 고달픈 삶에 대한 애환을 드러내고 있군.

()<보기>는 모두 특정한 조사나 어미의 반복 및 시행이나 시구의 대구를 통해 시적 리듬감을 드러내고 있군.

()<보기>는 모두 누군가가 화자에게 하는 말을 전달하는 형식의 말투를 활용하여 화자의 처지나 상황을 드러내고 있군.

()<보기>는 모두 인간의 삶을 자연적 소재에 빗대어 소재의 속성과 유사한 삶을 살아가길 바라는 화자의 의도를 드러내고 있군.

 

 

 

 

 

더보기

정답

1. 5

2. 4

3. 5

4. 5

 

 

 

'고2 문학 > 고2 미래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장 - 최인훈  (1) 2023.03.13
광야 - 이육사  (1) 2023.03.12
만세전(萬歲前) - 염상섭  (2) 2023.03.11
님의 침묵 - 한용운  (1) 2023.03.10
초혼(招魂) - 김소월  (0) 2023.03.0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