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계사  작자 미상

 

일조(一朝-하루아침에)에 낭군 이별 후에 소식조차 돈절하야(돈절:편지나 소식 따위가 딱 끊어져서.)

자네 일정(一定정말, 과연) 못 오던가 무슨 일로 아니 오더냐(원망의 정서)

이 아해야 말 듣소(후렴구)

황혼 저문 날에 (임이 오지 못하게 가로막는 장애물)가 짖어 못 오는가

이 아해야 말 듣소

춘수(春水))가 만사택(滿四澤)하니(봄물이 사방 연못에 가득하니) (임이 오지 못하게 가로막는 장애물)이 깊어 못 오던가

이 아해야 말 듣소

하운(夏雲)이 다기봉(多奇峰)하니(여름의 구름이 기이한 봉우리마다 많으니.:도연명의 사시 인용) (임이 오지 못하게 가로막는 장애물)이 높아 못 오던가

이 아해야 말 듣소

한 곳을 들어가니 육관 대사 성진이(성진은 조선 시대 숙종 때, 김만중이 지은 구운몽의 주인공임. 육관 대사는 주인공 성진의 스승인데 이 작품에서는 육관 대사와 성진을 같은 인물로 착각하고 있음.)

석교(石橋)상에서 팔선녀(김만중의 구운몽에 나오는 여덟 명이 여주인공들로, 주인공 성지의 아내가 됨.) 데리고 희롱한다

지어자 좋을시고(이질적 정서를 담은 조음구  가창 가사로서의 특징)

병풍에 그린 황계(黃鷄) 수탉이 두 나래 둥덩 치고

짜른 목을 길게 빼어 긴 목을 에후리어

사경(四更) 일점(一點)(사경은 새벽 1~3시 사이의 시간. ‘은 각 ()’ 5단위로 나눈 시간으로 사경 일점은 새벽 1 24분 정도에 해당하는 시각함.)에 날 새라고 꼬꾀요 울거든 오려는가

자네 어이 그리하야 아니 오던고

너는 죽어 황하수(黃河水) 되고 나는 죽어 도대선(都大船-큰 나룻배) 되어

밤이나 낮이나 낮이나 밤이나

바람 불고 물결치는 대로 어하 둥덩실 떠서 노자

저 달아 보느냐

임 계신 데 명휘(明輝-밝게 빛남. 달빛을 의미함.)를 빌리려문 나도 보게

이 아해야 말 듣소

추월(秋月)이 양명휘(陽明輝)하니(가을 달은 밝은 빛 드날리니. 이 구절은 앞의 춘수가 만사택하니’, ‘하운이 다기봉하니와 함께 중국 육조 시대의 시인인 도연명의 사시(四時에서 차용한 구절임.) (임이 오지 못하게 가로막는 장애물)이 밝아 못 오던가

어데를 가고서 네 아니 오더냐

지어자 좋을시고

 

 

1. 해제

 이 작품은 조선 시대에 불린 십이 가사(十二歌詞) 중 하나로 황계 타령이라고도 한다. 병풍에 그려진 횡계 수탉이 살아서 울음을 운다는, 실현 불가능한 상황을 가정함으로써 임과의 재회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화자의 인식, 임과 이별한 처지에서 오는 그리움과 슬픔의 정서를 효과적으로 표현한 점이 눈길을 끈다. 특정한 어구의 반복, 일정한 문장 구조를 통한 대구, 과장과 해학 등 다양한 표현 방법을 통해 화자의 정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있다. 가창을 고려한 반복과 병렬 그리고 후렴구 등은 이 노래가 가진 구비적 성격을 잘 보여 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2. 주제  임에 대한 갖ㄹ절한 그리움과 기다림

3. 구성

        1~3  이별로 인한 슬픔과 임의 소식을 듣고 싶은 마음

        4~9  재회하지 못하는 원인 추측

        10~16  재회하기 어려운 상황에 대한 인식

        17~22  임을 향한 간절한 그리움

        23~25  재회하지 못하는 원인 추측

4. 표현

       * 문장 구조의 반복, 열거

         유사한 문장 구조를(‘~하니 ~하여 못 오던가’) 반복하여 대구를 이루고, 임이 오지 못하 는 상황을 나열함으로써 임에           대한 원망의 정서를 강조함.

 

         *불가능한 상황 설정 - ‘병풍에 그린 황계 수탉이 두 나래 둥덩 치고~ 사경 일점에 날 새 라고 꼬꾀요 울거든 오랴는                 가’   일어날 수 없는 불가능한 상황을 설정하여 임에 대한 간절한 그리움의 정서를 강조함.

 

 

 

출처 : 2024학년도 수능 특강 문학 + 오감도 최다문항 고전시가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