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칭과 장르적 성격

 

1. 속요

- 고려 시대의 노래 가운데 경기체가(景幾體歌)를 제외한 우리말로 된 서정가요를 가리키는 명칭

- 백성들의 입에서 입으로 전해져 온 시속(時俗)의 노래란 의미

- 일정한 틀이 정해져 있지 않지만 고려시대의 속요는 민중에 의해 자연 발생된 민요와는 구분되는 상당히 복잡한 형성 배경과 향유 계층 및 전승 과정을 지니고 있다.

 

2) 장르적 성격

음악적 성격 분장체, 음수율은 3음절 우세, 3음보격 중심, 여음(餘音)이라고도 하는 후렴구 발달, 잦은 반복구 사용 민요적 성격을 띤 가사들이 속악정재의 공연 방식에 따라 악곡에 맞추어 개편되는 과정을 반영.

 

2. 형성과정과 역사적 배경

- 속요는 고려 궁정에서 가창되었고, 조선 왕조 궁실에까지 전승되어 불려짐

- 대부분 여항의 노래인 민요에서 비롯되었고, 민요가 궁중으로 이입되면서 악곡적 배려에 따라 반복구 및 후렴구가 삽입되는 등 가사의 개변과 함께 일부 성격적 변모 겪음.

 

가) 형성과정

사모곡과 동백목의 예를 통해 신라시대 민요도 고려 민간사회에 전승되어 속요에 흡수

  사모곡(思母曲)은 처음 신라의 목주라는 특정지방에서 불려지던 제목도 없는 노래였다. 그러나 점차 이 노래가 전국 적으로 확산되면서 <엇노래>라는 제목을 갖춘 보편성을 띤 노래로 탈바꿈하게 되고, 이어서 사모곡이라는 한자 조어(造語)로 바뀌면서 고려 궁중 무악으로 상승채택

고려사 악지, ’동백목(冬栢木)‘조에는 동백목(冬栢木)이 채홍철이 죄를 지어 먼 섬에 유배되어 있을 때 충선왕을 사모하여 지은 것이라고 하고, 한편으로 예부터 이 노래가 있었는데 홍철이 노래 가사를 고쳐서 자기의 뜻을 우의(寓意)했다고 한다고 첨언 동백목(冬栢木)이 채홍철이 새로 창작한 작품이 아니라 전래하는 기존의 가요를 재창작한 것

 

정과정, 이상곡처럼 향가의 속요화

민요에 기반을 둠

왕실에 유입돼 자리잡는 과정

 

고려 왕실에 계승된 삼국 속악의 일정한 기여

고려 역대 군주의 민요에 대한 기호

이러한 왕실의 취향에 영합한 왕립 음악기관과 문신들의 역할

행신(幸臣)들의 아첨과 기녀들의 공헌

 

민요가 궁중에 이입되어 속요화 하는 과정에 참여한 사람들

각 지방이나 개경의 관기(官妓)무녀(巫女) 등이 왕립 음악기관인 태악서와 관현방에 소석되어 왕실의 여러 행사에 참여하는 과정에서 민요들이 유입

왕의 행신(倖臣)들이 제도(諸道)에 파견되어 지방의 민요 채집

사대부 계층에서도 민요를 채집하여 임금에게 올림

 

작자층

민중, 부녀자, 기녀와 악공, 왕과 측근의 운반자, 개작자, 편집자로서 넓은 의미의 작자층에 포함되면 동시에 향수자로서의 지위로 누림

 

3. 형식적 특성과 표현미

 

1) 형식적 특성

 

단형(單形) 속요 연 구분이 없고, 노랫말이 일관된 통일성 지님, 비교적 원래의 모습을 잘 지고 있는 노래.

사모곡, 유구곡, 상저가, 정읍사, 정과정, 이상곡, 처용가 등

분장(分章)형 속요 호흡이 긴 연시(聯詩), 매 연마다 후렴이 규칙적으로 붙거나, 유사한 사설이 병렬적으로 파생, 혹은 여러 노래들이 합성되어 이루어짐

청산별곡, 서경별곡, 쌍화점, 만전춘별사, 정석가, 동동 등

운율적 특징

3음보 1

후렴구나 여음을 갖춤

-여음들은 일반적으로 악기의 구음(口音)으로 추정. 이는 대개 속요가 궁중 무악(舞樂)의 악곡에 맞게 원래의 가사가 개편되면서 남은 흔적.

여음 및 후렴구는 단순히 악곡적 배려의 잔영에 그치지 않고, 속요의 율격미를 종성하는 동시에 시적 구조를 완결시키는 중요한 몫을 함

AABA형이 반복 구조가 유형화

반복과 병렬에 의한 전개

정과정, 이상곡 10구체 향가의 자취

정읍사, 사모곡, 만전춘별사 등 넓은 의미에서 시조형

 

표현 기법

탁월한 비유와 상징

언어 조탁면에서의 세심한 배려가 이룩하고 있는 운율미

 

4. 작품 세계

 

1) 짧은 형식의 속요

-상저가, 유구곡, 사모곡 : 연 구분이 없는 짧은 형식의 노래들. 대개 4구체 향가를 연상시키는 이 노래들은 남녀간의 애정을 다루고 있는 여타 속요와 달리 효()와 충()의 문제를 다루고 있는 단순 소박한 형태의 노래.

 

2) 펼침 형식의 속요

 

세련된 시적 언어의 구사가 돋보이고, 내용도 교술적 평면성을 벗어나 다양한 양상을 보임

 

 

'고려 역사 속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시리  (0) 2021.04.01
사모곡(思母曲)  (0) 2021.04.01
만전춘별사(滿殿春別詞)  (0) 2021.03.31
정과정(鄭瓜亭) - 정서(鄭敍)  (0) 2020.09.22
이옥설 - 이규보  (0) 2020.07.1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