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
- 김춘수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기 전(대상에 대한 인식-명명 행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무의미한 존재)에 지나지 않았다.
1연 : 사물의 이름을 부르기 이전의 상태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의미 있는 존재)이 되었다.
2연 : 명명 행위를 통해 의미를 지님.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준 것처럼
나의 이 빛깔과 향기(존재의 본질)에 알맞은
누가 나의 이름을 불러 다오.
그에게로 가서 나도
그의 꽃이 되고 싶다.
3연 : 의미 있는 존재가 되고 싶은 '나'의 소망
우리들은 모두
무엇(의미 있는 존재)이 되고 싶다.(개인적인 소망이 전체의 소망으로 확대됨)
너는 나에게 나는 너에게
잊혀지지 않는 하나의 눈짓(의미 있는 존재)이 되고 싶다.
4연 : 의미 있는 존재가 되고 싶은 우리의 소망
핵심 정리
1. 갈래 - 자유시, 서정시
2. 성격 - 관념적, 상징적, 주지적
3. 제재 - 꽃
4. 주제 - 진정한 관계 맺음을 통한 의미 있는 존재가 되고 싶은 소망
5. 특징
- 반복과 변화를 통해 시의 주제를 점층적으로 강화하고 있음.
- 철학적 의미 부여를 통해 주지시(主知詩)의 특성이 잘 드러남.
6. 해제
이 작품은 '꽃'을 소재로 하여 사물과 그 이름, 의미 사이의 관계를 바탕으로 사물의 존재론적 의미를 추구하고 있다. 이 시의 '꽃'은 구체적인 실제가 아니라 시인의 관념 속에 있는 추상적인 존재이다. 즉, '꽃'은 '존재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답하기 위해 제시된 비유적 소재인 것이다. 또한 이 시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나'와'그'의 관계이다. 둘의 관계는 처음엔 무의미한 관계였다가 상호 인식의 과정을 통해 서로에게 '꽃'이라는 의미 있는 존재로 변모하고, 마침내 오랫동안 잊혀지지 않는 의미를 지닌 존재가 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라디오와 같이 사랑을 끄고 켤 수 있다면
- 김춘수의 <꽃>을 변주하여
- 장정일
내가 단추를 눌러 주기 전(라디오의 전원을 켜는 행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라디오(사랑에 대한 인식 이전의 무의미한 존재)에 지나지 않았다.
1연 : 존재 인식 전에 무의미한 존재인 '라디오'
내가 그의 단추를 눌러 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전파('나'와 '그'를 이어주는 사랑의 감정)가 되었다.
2연 : 존재 인식 후 의미 있는 존재가 된 '전파'
내가 그의 단추를 눌러 준 것처럼
누가 와서 나의
굳어 버린 핏줄기와 황량한 가슴속(현대인의 고독과 소외감) 버튼을 눌러 다오.
그에게로 가서 나도
그의 전파(사랑)가 되고 싶다.
3연 : 누군가에게 의미 있는 존재가 되고 싶은 '나'
우리들은 모두
사랑이 되고 싶다.
끄고 싶을 때 끄고 켜고 싶을 때 켤 수 있는
라디오(마음이 내키는 대로 사랑할 수 있는 인스턴트식 사랑)가 되고 싶다.
4연 : 현대인의 인스턴트식 사랑에 대한 비판
핵심 정리
1. 갈래 - 자유시, 서정시
2. 성격 - 관념적, 풍자적, 비판적
3. 제재 - 라디오
4. 주제 - 쉽게 만나고 헤어지는 현대인들의 사랑을 비판함.
5. 특징
-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의미를 구체적인 사물을 통해 드러냄.
- 패러디 기법을 사용하여 원작의 운율과 통사 구조 등 형식적인 면을 그대로 차용함.
6. 해제
이 작품은 김춘수의 존재론적인 시 <꽃>을 패러디 기법을 사용하여 재창작한 시로 패러디도 하나의 문학적 행위이며, 패러디를 이용한 작품 역시 문학 창작의 영역 속에 온전히 포함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출처 : 미래엔 교과서 + 미래엔 문학 자습서
2013년 고1 모의고사 문제로 점검하기
[35-36]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
[A]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B]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C]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준 것처럼
나의 이 빛깔과 향기에 알맞은
누가 나의 이름을 불러 다오.
그에게로 가서 나도
그의 꽃이 되고 싶다.
[D] 우리들은 모두
무엇이 되고 싶다.
너는 나에게 나는 너에게
잊혀지지 않는 하나의 눈짓이 되고 싶다.
- 김춘수,「꽃」
----------------------------------------------------------------------------------------------------------------------------------------------------------------
35. 윗글의 표현상의 특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동일한 시구의 반복을 통해 의미를 강조하고 있다.
② 공간을 대립적으로 설정하여 주제를 부각하고 있다.
③ 자연물을 활용하여 자연 친화적 정서를 드러내고 있다.
④ 역설적 표현을 통해 화자가 깨달은 바를 나타내고 있다.
⑤ 묘사를 통해 생동감 있는 현장의 분위기를 보여주고 있다.
36. [A]~[D]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① [A]에서 ‘몸짓’은 ‘나’에게 의미가 없는 존재이다.
② [B]의 ‘꽃’은 ‘이름을 불러 주’기에 의해 의미를 부여받은 존 재를 나타낸다.
③ [C]의 ‘빛깔과 향기’는 ‘나’라는 존재가 지니고 있는 본질이 다.
④ [D]에서 ‘눈짓’은 서로의 본질을 인식하기 이전의 상태를 의 미한다.
⑤ [A]~[D]를 통해 ‘나’는 진정한 관계 형성에 대한 소망을 드 러내고 있다.
정답
35. 1
36. 4
'고2 문학 > 고2 미래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가야산독서당(題伽倻山讀書堂) - 최치원 (0) | 2023.02.22 |
---|---|
메밀꽃 필 무렵 - 이효석 원작, 안재훈 극본 (0) | 2023.02.21 |
호질- 박지원 (0) | 2023.02.21 |
저녁에 - 김광섭 (0) | 2023.02.08 |
나는 고양이로 태어나리라 - 황인숙 (0) | 2023.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