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분가- 조위

 

 

천상백옥경(옥황상제가 산다는 궁궐- 임금이 계신 한양의 궁궐을 의미) 십이루 어디인가

오색운 깊은 곳에 자청전(신선이 사는 집)이 가렸으니

천문(대궐의 문을 높여 이르는 말) 구만리(유배지와 대궐 사이의 거리감)를 꿈에라도 갈동 말동

차라리 죽어져서 억만 번 변화하여

남산 늦은 봄에 두견새 넋이 되어

이화 가지 위에 밤낮에 못 울면

삼청동(신선이 사는 동네) 안에 저문 하늘 구름 되어

바람에 흩날려서 자미궁(북두성의 북쪽에 있는 별 이름- 한양의 궁궐을 의미)에 날아올라

옥황 향안 전에 지척에 나가 앉아

흉중에 쌓인 말씀 실컷 아뢰리라

아 이내 몸이 천지간에 늦게 나니

황하수 맑다마는 초객의 후신인가

상심도 한이 없고 가태부의 넋이런가(스스로를 초객(굴원)’가태부에 비유함으로써 자신이 억울한 귀양살이를 하고 있음을 암시)

한숨은 웬일인가 형강(중국의 강 이름. 여기서는 유배지)은 고향이라

십 년을 유락하니 백구와 벗이 되어

함게 놀자 하였더니 어르는 듯 괴는 듯

남 다른 임(임금. 성종)을 만나 금화성 백옥당의 꿈조차도 향기롭다

오색실 이름 짧아 임의 옷은 못 하여도

바다 같은 임의 은()을 추호나 갚으리라

백옥 같은 이내 마음 임 위하여 지켰더니

장안 어젯밤에 무서리 마구 내려(조정의 혼란-무오사화)

일모 수죽에 취수도 냉박쿠나(임금과 멀리 떨어진 고독한 시간과 공간에서 느끼는 화자의 쓸쓸함)

유란(절개 상징)을 꺾어 쥐고 임 계신 데 바라보니

약수(장애물-정치적 반대 세력) 가려진 데 구름 길(한양으로 돌아가는 길)이 험하구나

 

(중략)

 

초수 남관이 고금에 한둘이며

백발 황상에 슬픈 일도 많고 많다

건곤이 병이 들어 혼돈이 죽은 후에

하늘이 침울할 듯 관색성이 비치는 듯

고정 의국에원망과 울분만 쌓였으니

차라리 한 눈이 먼 말같이 눈감고 살고 싶다

창창 막막하여 못 믿을 건 조화로다

이러나 저러나 하늘을 원망할까

큰 도적도 성히 놀고 백이(伯夷)도 굶어 죽으니

동릉이 높은 건가 수양산이 낮은 건가

남화삼십 편에 의론도 너무 많다

남가의 지난 꿈을 생각하면 싫고 밉다

고국 송추를 꿈에 가 만져 보고

선산의 무덤을 깬 후에 생각하니

구회 간장이 굽이굽이 끊어졌네

장해 음운에 백주에 흩어지니

호남 어느 곳이 귀역이 모여드는 곳인지

도깨비와 두억시니가 싫도록 젖은 가에

백옥은 무슨 일로 쉬파리의 소굴이 되고

북풍에 혼자 서서 끝없이 우는 뜻을

하늘 같은 우리 임이 전혀 아니 살피시니

목란과 가을 국화가 향기로운 탓이던가

 

초수 남관 : 초나라 사람 종의가 남관을 쓰고 갇혔다는 고사를 이름. 벼슬아치가 죄수가 되는 상황을 뜻함.

백발 황상 : 고위직의 늙은 신하. 북송 때 황상이라는 신하가 감옥에 갇힌 일이 있음.

관색성 : ‘옥살이를 의미하는 별.

고정 의국에 : 유배지에서 나라만을 생각하는 충정에.

동릉 : 중국 후난성에 있는 땅 이름. 옛날에 큰 도적이 살았다고 함.

남화 : 남화진경의 준말. 장자의 다른 이름.

남가의 지난 꿈 : 남가지몽. 한때의 부귀와 권세는 꿈과 같음을 이르는 말.

장해 음운 : 병을 발생하게 하는 구름.

 

 

1. 해제

 이 작품은 조선 연산군 때 무오사화에서 죽음을 면하고 전남 순천으로 유배를 간 조위가 지은 유배 가사이다. 억우랗게 귀양길에 오른 데 대한 비분강개한 마음을 선왕에게 하소연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최초의 유배 가사로 잘 알려져 있으며, 정철의 사미인곡이나 속미인곡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주제 억울한 심정을 하소연하고 싶은 마음과 연군의 마음

 

3. 구성

        1~10천상 세계에 올라가 옥황 앞에서 억울함과 원통함을 하소연 하고 싶은 마음

        11~13초객, 가태부와 비슷한 자신의 처지

        14~19꿈과 같이 행복한 순간이 되어 준 임의 은혜를 갚고 싶은 마음

        20~24임과 헤어진 후 임의 소식을 기다리는 간절한 상황

        25~32벼슬을 잃고 죄인이 된 신하의 원망과 울분

        33~39지조 있는 신하가 미움을 받는 상황에 대한 한탄과 고향에 대한 그리움

        40~46유배지에 있는 자신을 살피지 않는 임에 대한 원망과 안타까움

 

 

출처 - 2024학년도 수능 특강 문학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