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 임아 그 물을 건너지 마오   公無渡河(공무도하)

임은 끝내 그 물을 건너셨네      公景渡河(공경도하)

물에 빠져 돌아가시니                墮河而死(타하이사)

가신 임을 어이할꼬                    當奈公河(당내공하)

                                                                                             - 백수 광부의 아내, 공무도하가

 

 

() 자줏빛 바위 가에                紫布岩乎过希(자포암호과희)

잡고 있는 암소를 놓게 하시고   執音乎手母牛放敎遺(집음호수모우방교유)

나를 아니 부끄러워하시면        吾肹不喩慚肹伊賜等(오힐불유참힐이사등)

꽃을 꺾어 바치오리다                花肹折叱可獻乎理音如(화힐절질하헌홍음여)

                                                                                            - 견우 노인, 헌화가

 

 

 

() 신기한 계책은 천문을 꿰뚫고    神策究天文(신책구천문)

묘한 계산은 지리에 통달했네           妙算窮地理(묘산궁지리)

싸움에 이겨 공 이미 높으니             戰勝功旣高(전승공기고)

족함을 알고 그만두길 바라겠소       知足願云止(지족원운지)

                                                                                    -을지문덕, 수나라 장수 우중문에게 보내는 시

--------------------------------------------------------------------------------------------------------------------------------------------------------

1. () ~ ()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 ()에는 자신의 뜻을 전달하여 바라는 바를 이루고 싶은 화자의 모습이 나타난다.

() ~ ()에는 자신의 말을 따르려 하지 않는 청자에 대한 화자의 안타까움이 표현되어 있다.

()()에는 자신이 약속한 것에 대해서 책임을 지지 않으려고 하는 심리가 투영되어 있다.

()()에는 주변 사람들의 반응에 대해 신경을 쓰지 않는 자기중심적 태도가 나타나 있다.

()()에는 대상이 지닌 장점이나 대상이 이룬 성취에 대한 화자의 부러움이 드러나 있다.

 

2. () ~ ()의 시어나 시구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그 물()자줏빛 바위 가는 공간적 배경으로서 화자와 관련된 구체적 상황을 떠올리게 한다.

()끝내 그 물을 건너셨네()신기한 계책’, ‘묘한 계산은 청자의 행위에 대한 화자의 심리나 태도를 드러낸다.

()돌아가시니를 통해 대상과 이별하는 상황을, ()바치오리다를 통해 대상에게 마음을 전하려는 상황을 떠올릴 수 있다.

()이 청자에게 알려주고 싶은 화자의 진심을 상징한다면, ()싸움을 통해 청자가 얻은 것으로 앞으로 계속 얻고자 하는 가치를 상징한다.

()암소가 화자가 한순간도 버려둘 수 없는 소중한 마음을 의미한다면, ()족함은 청자가 이미 충분히 느끼고 있어 포기할 수 있는 감정을 의미한다.

 

3. <보기>의 선생님의 요청에 대한 학생의 답변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

선생님 : 우리가 배우는 고전 문학 작품 중에는 배경 설화나 창작 배경을 알면 쉽게 이해되는 작품이 많이 있습니다. ()는 우리나라의 가장 오래된 서정시로 알려져 있습니다. 고조선에 살던 백수 광부의 아내가 술에 취해 물을 건너던 남편이 물에 빠져 죽는 사건을 겪고 지은 것이라고 합니다. ()는 신라 성덕왕 때 창작된 향가입니다. 높은 절벽에 핀 철쭉을 꺾어다 바칠 사람이 없냐는 수로 부인의 질문에 모든 시종들이 고개를 젓는 상황에서, 암소를 몰고 가던 노인이 부인의 말을 듣고 꽃을 꺾어 바칠 때 이 노래를 불렀다고 합니다. ()는 고구려 장수 을지문덕이 지은 한시입니다. 을지문덕은 거짓으로 패배하는 척하며 수나라 군대를 평양성 인근까지 유인한 후에 적장 우중문에게 일부러 이 시를 보냈다고 합니다. 우중문은 자신이 함정에 빠진 것을 깨닫고 군사를 물리지만 결국 살수에서 대패하고 맙니다.

이렇게 배경 설화나 창작 배경을 알면 작품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럼, 제가 말한 내용을 바탕으로 () ~ ()를 설명해 볼까요?

-----------------------------------------------------------------------------------------------------------------------------------------------------------

()()의 경우 배경 설화 속의 상황을 고려하여 지은이를 백수 광부의 아내견우 노인과 같이 제시하는 것이겠군요.

()가 개인적으로 일어난 사건에 대한 화자의 정서를 드러내고 있다면, ()는 국가적 차원에서 발생한 사건에 대한 화자의 판단을 드러내고 있군요.

(), ()의 청자와 달리 ()의 청자는 결국 죽음을 맞이했다는 점에서 ()의 화자가 청작에게 하는 말은 되돌릴 수 없는 상황에 대한 하소연에 가까운 것이겠군요.

(), ()의 화자와 달리 ()의 화자는 자신의 생각이 청자에게 전해졌을 때, 청자가 어떠한 기분이나 감정을 느끼게 될 것인지에 대해서는 충분히 고려하지 않고 있군요.

() ~ ()는 배경 설화나 역사적 사건 속의 인물들이 화자와 청자가 되고 있으므로, 일문 간의 관계를 고려하면서 화자가 청자에게 전하고 싶은 진심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겠군요.

 
더보기
정답  1. 1  2. 5   3. 4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       헌화가(獻花歌) 핵심 정리            수로부인 - 삼국유사 권 제2 기이 제2          「수나라 장수 우중문에게 보내는 시」- 을지문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