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

 

() [A] 정월의 냇물은 / 아으 얼고자 녹고자 하는데

세상 가운데 나서는 / 몸이여 홀로 지내가는구나

아으 동동(動動)다리

                                                                                                                   <정월 노래>

 

[B] 이월의 보름에/ 아으 높이 켠

등불 같구나/ 만인(萬人) 비추실 모습이로다

아으 동동(動動)다리

                                                                                                                    <2월 노래>

 

사월 아니 잊어/ 아으 오시는구나 꾀꼬리 새

무엇 때문에 녹사(고려 시대의 관직명)님은/ 옛 나를 잊고 계신가

아으 동동(動動)다리

                                                                                                                  <4월 노래>

 

[C] 팔월 보름에/ 아으 가윗날이지만

임을 모시고 지내야/ 오늘이 가윗날이로다

아으 동동(動動)다리

                                                                                                                 <8월 노래>

 

시월에/ 아으 저며 놓은 보리수나무 같구나

꺾어 버리신 후에/ 지니실 한 분이 없으시도다

아으 동동(動動)다리

                                                                                                                <10월 노래>

                                                                                                                            - 작자 미상, 동동

 

 

() [D] 일조(一朝)에 낭군 이별 후에 소식조차 돈절하야(돈절:편지나 소식 따위가 딱 끊어져서.)

자네 일정(一定) 못 오던가 무슨 일로 아니 오더냐

이 아해야 말 듣소

황혼 저문 날에 개가 짖어 못 오는가

이 아해야 말 듣소

춘수(春水))가 만사택(滿四澤)하니(봄물이 사방 연못에 가득하니) 물이 깊어 못 오던가

이 아해야 말 듣소

하운(夏雲)이 다기봉(多奇峰)하니(여름의 구름이 기이한 봉우리마다 많으니.) 산이 높아 못 오던가

이 아해야 말 듣소

한 곳을 들어가니 육관 대사 성진이(성진은 조선 시대 숙종 때, 김만중이 지은 구운몽의 주인공임. 육관 대사는 주인공 성진의 스승인데 이 작품에서는 육관 대사와 성진을 같은 인물로 착각하고 있음.)

석교(石橋)상에서 팔선녀(김만중의 구운몽에 나오는 여덟 명이 여주인공들로, 주인공 성지의 아내가 됨.) 데리고 희롱한다

지어자 좋을시고

병풍에 그린 황계(黃鷄) 수탉이 두 나래 둥덩 치고

짜른 목을 길게 빼어 긴 목을 에후리어

사경(四更) 일점(一點)(사경은 새벽 1~3시 사이의 시간. ‘은 각 ()’5단위로 나눈 시간으로 사경 일점은 새벽 124분 정도에 해당하는 시각함.)에 날 새라고 꼬꾀요 울거든 오려는가

자네 어이 그리하야 아니 오던고

너는 죽어 황하수(黃河水) 되고 나는 죽어 도대선(都大船-큰 나룻배) 되어

밤이나 낮이나 낮이나 밤이나

바람 불고 물결치는 대로 어하 둥덩실 떠서 노자

[E] 저 달아 보느냐

임 계신 데 명휘(明輝)를 빌리려문 나도 보게

이 아해야 말 듣소

추월(秋月)이 양명휘(陽明輝)하니(가을 달은 밝은 빛 드날리니. 이 구절은 앞의 춘수가 만사택하니’, ‘하운이 다기봉하니와 함께 중국 육조 시대의 시인인 도연명의 사시(四時에서 차용한 구절임.) 달이 밝아 못 오던가

어데를 가고서 네 아니 오더냐

지어자 좋을시고

                                                                                                                                                         -작자 미상, 황계사

------------------------------------------------------------------------------------------------------------------------------------------------------------

1. ()()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에는 시간의 흐름에 따른, ()에는 공간의 이동에 따른 시상 전개가 나타나 있다.

()와 달리 ()에는 임이나 화자가 아닌 제삼의 인물을 청자로 설정한 표현이 나타나 있다.

()와 달리 ()에는 특정한 통사 구조가 반복 사용되어 운율감이 생겨나고 있다.

()()에는 모두 화자와 대상 인물 간의 문답을 통해 내적 갈등이 심화되는 모습이 제시되어 있다.

()()에는 모두 계절감을 환기하는 자연물과 대비하여 자신의 삶을 반성하는 태도가 드러나 있다.

 

2. 에 대한 이해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은 모두 화자의 자연 친화적 태도를 드러내는 소재이다.

② ㉠은 모두 화자와 임을 이어주는 매개체의 기능을 하는 소재이다.

③ ㉠은 임에 대한 화자의 인식 변화를, 은 화자에 대한 임의 태도 변화를 상징하는 소재이다.

④ ㉠은 문제의 원인을 화자 자신에게서 외부 세계로, 은 그 원인을 외부 세계에서 화자 자신으로 전환하게 하는 소재이다.

⑤ ㉠은 임을 향한 화자의 서운한 감정을 심화하는, 은 자신이 바라는 일의 실현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화자의 인식을 드러내는 소재이다.

 

 

3. <보기 1>의 관점에서 <보기 2>를 참고하여 ()를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 1>--------------------------------------------------------------------------------------------------------------------------------------------------

황계사는 조선 후기에 대중적으로 크게 인기를 얻은 십이 가사 중 하나로서 노랫말에 반복과 병렬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후렴구가 첨가되기도 한다. 작가 의식에 기반해 일관된 주제를 담아내기보다 여러 갈래의 기존 작품들로부터 청중에게 익숙한 표현을 차용하고 조합해 노랫말을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기존 작품의 표현을 차용할 때 표현의 일부를 수정하기도 하는데 이 과정에서 원래 표현이 담고 있는 주제와 정서가 유지되기도 하고 변하기도 한다. 차용한 표현들이 노랫말에 다수 삽입되면서 작품이 전달하려는 주제와 동떨어진 표현이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는 작품의 완성도보다 청의 즐거움을 중시하는, 연행 현장의 통속적 유흥성을 반영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

<보기 2>--------------------------------------------------------------------------------------------------------------------------------------------------

조선 후기에 공존했던 다양한 갈래의 작품들 가운데 대중적으로 유행하여 당대 사람들에게 익숙했으면서 황계사와 연관성을 지닌 작품의 사례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일조 낭군 이별 후에 소식조차 돈절하니/ 오늘이나 기별 올까 내일이나 사람 올까……

                                                                                                                                                     -작자 미상, 상사별곡

* 어이 못 오던가 무슨 일로 못 오던가/ 너 오는 길에 무쇠성을 쌓고네 어이 그리 아니 오더니 한 해도 열두 달이오

                                                                                                                                                        -작자 미상의 사설시조

* 春水滿四澤(춘수만사택)/ 夏雲多奇峰(하운다기봉)/ 秋月陽明輝(추월양명휘)/ 冬嶺秀孤松(동령수고송)   -도연명, 사시

* 대사가 대노하여 왈, “네 용궁에 가 술을 먹으니 그 죄도 있거니와 오다가 석교상의 팔선녀로 더불어 언어를 희롱하고

                                                                                                                                                                 -김만중, 구운몽

* 벽상에 그린 황계 수탉이 뒤나래 탁탁 치며 긴목을 늘이어서 홰홰쳐 우도록 노새그려

                                                                                                                                                  - 작자 미상의 사설시조

---------------------------------------------------------------------------------------------------------------------------------------------------------------

일조 낭군 이별 후에 소식조차 돈절하야는 화자가 처한 상황을 제시하기 위해 상사별곡에 사용된 표현을 차용한 것으로 볼 수 있겠군.

자네 일정 못 오던가 무슨 일로 아니 오더냐’, ‘자네 어이 그리하야 아니 오던고는 화자의 심정을 드러내기 위해 청중에게 익숙한 사설시조의 표현을 차용하면서 그 일부를 수정한 것으로 볼 수 있겠군.

춘수가 만사택하니’, ‘하운이 다기봉하니’, ‘추월이 양명휘하니는 도연명의 사시에서 한문 표현의 일부를 가져다 쓰면서 읽기 쉽게 ’, ‘-하니와 같은 토를 달아 변용한 것으로 볼 수 있겠군.

한 곳을 들어가니 육관 대사 성진이는/ 석교상에서 팔선녀를 데리고 희롱한다는 뒤이은 지어자 좋을시고와 함께 작품 주제와 거리가 먼 표현이지만 연행 현장의 통속적 유흥성을 반영해 구운몽에서 차용한 것으로 볼 수 있겠군.

병풍에 그린 황계 수탉이 두 나래 둥덩 치고/ 찌른 목을 길게 빼어 긴 목을 에후리어/ 사경일점에 날 새라고 꼬꾀요 울거든 오려는가는 기존 사설 시조의 표현을 차용하면서 원래 표현이 담고 있는 주제와 정서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표현의 일부를 수정한 것으로 볼 수 있겠군.

 

 

4. <보기>를 바탕으로 (), ()를 감상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

()()는 임을 향한 사랑과 임과의 이별에서 비롯한 슬픔을 노래한다는 점에서 유사한 면이 있다. 그러나 화자는 내면 심리는 ()()에서 서로 다른 태도로 나타난다. ()의 화자는 자신이 처한 결핍의 상황을 거듭 환기하면서 슬픔과 원망의 감정을 드러내기도 하고, 임의 훌륭함을 예찬하면서 임에 대한 사랑을 표현하기도 한다. ()의 화자는 의문문의 형식을 빌려 떠난 후 돌아오지 않는 임에 대한 원망을 주로 드러내면서 이별이 지속되는 원인이 자신보다 임에게 있다는 태도를 보이지만, 다른 한편으로 임에 대한 그리움을 나타내기도 한다.

-------------------------------------------------------------------------------------------------------------------------------------------------------

()[A]얼고자 녹고자하는 냇물과 화자의 대비를 통행 몸이여 홀로 지내가는구나라고 말하면서 화자가 처한 결핍의 상황을 환기하고 있군.

()[B]는 임의 모습을 사물에 빗대어 높이 켠/ 등불 같구나’, ‘만인 비추실 모습이로다라고 말하면서 임의 훌륭함을 예찬하고 있군.

()[C]가윗날이라는 상황과 화자의 처지를 대비하여 임을 모시고 지내야/ 오늘날이 가윗날이로다라고 말하면서 임에 대한 사랑을 통해 슬픔을 극복하려는 의지를 드러내고 있군.

()[D]는 의문의 방식을 활용하여 못 오던가’, ‘무슨 일로 아니 오더냐라고 말하면서 이별이 지속되는 원인이 자신보다 임에게 있다는 태도를 보여 주고 있군.

()[E]에게 임 계신 데 명휘를 빌리려문 나도 보게라고 말하면서 임을 보고 싶어하는 화자의 심정을 드러내고 있군.

 

 

 

 

더보기

정답 

1. 2

2. 5

3. 5

4. 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