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

 

[01~03]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반중(盤中) 조홍(早紅)이 고아도 보인다

유자(柚子-) 아니라도 품음즉하다마는

품어가 반길 이 없을새 그로 설워 하나이다.

                                                                                                                                   <1>

 

 

왕상(王祥)의 이어(鯉魚-잉어)잡고 맹종(孟宗)의 죽순(竹筍) 꺾어

검던 머리 희도록 노래자(老萊子)의 옷을 입

일생(一生)에 양지성효(養志誠孝)를 증자(曾子)같이 하리다

                                                                                                                                <2>

 

 

만균(萬勻)을 늘여 내어 길게 길게 노를 꼬아

구만리장천(九萬里長天)에 가는 해를 잡아매어

북당(北堂)학발쌍친(鶴髮雙親)을 더디 늘게 하리이다

                                                                                                                                <3>

 

 

군봉(群鳳)모이신 데 외가마귀 들어오니

백옥(白玉) 쌓인 데 돌 하나 같다마는

봉황도 비조(飛鳥)와 유()이시니 뫼셔 논들 어떠리

                                                                                                                              <4>

 

                                                                                                                                 - 박인로, 조홍시가(早紅柹歌)

 

*유자 아니라도 품음직: 중국 삼국 시대 때 육적이란 사람이 원술이 준 귤(유자)을 품속에 품어다가 어머니께 드린 고사를 연상하며 말한 것임.

*왕상: 중국 진나라 때 사람으로, 병을 앓는 계모가 생선을 먹고 싶다고 하자 한겨울에 옷을 벗고 얼음을 깨었는데 그 얼음 구멍에서 한 쌍의 잉어가 튀어나오자 그것을 계모에게 갖다주었음.

*맹종: 중국 오나라 때 사람으로, 죽순을 즐겨 먹는 어머니를 위해 죽순이 나오지 않은 겨울에 대숲으로 가 죽순을 구해 어머니에게 드렸음.

*노래자: 중국 초나라 때 사람으로, 70세에 부모님을 위해 때때옷을 입고 재롱을 피웠음.

*만균: 균은 무게의 단위로, 만균은 쇳덩어리 30만 근에 해당함.

*학발쌍친: 학의 깃털같이 머리가 하얗게 센 부모.

*군봉: 무리를 지어 있는 봉황.

----------------------------------------------------------------------------------------------------------------------------------------------------------

 

1. 윗글에 대해 이해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에서는 특정 자연물이 표상하는 가치를 화자가 응시하는 자연물에 대입하여 화자의 정서를 형상화하고 있다.

<2>에서는 자연물을 의인화하여 그것에서 발견한 인간적인 덕성을 본받고자 하는 화자의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3>에서는 자연물의 외양을 사실대로 묘사하여 대상에 대한 화자의 물리적, 심리적 거리감을 나타내고 있다.

<1><4>에서는 자연물의 색채를 대비하여 과거의 상황에 대한 화자의 긍정적 인식을 드러내고 있다.

<2><4>에서는 자연물에 감정을 이입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화자의 심리 상태를 강조하고 있다.

 

2. , 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는 미각적 이미지를 통해 화자에게 호감을 유발하고 있다.

② ⓑ는 시간의 흐름을 가시적인 이미지로 형상화하여 나타내고 있다.

③ ⓐ와 달리 는 화자가 지향하는 궁극적인 이상을 표상하고 있다.

④ ⓑ와 달리 는 다른 사물과의 비교를 통해 우월성이 드러나고 있다.

⑤ ⓐ모두 자연의 법칙에 따른 상실과 회복의 순환 과정을 보여 주고 있다.

 

 

3. <보기>를 바탕으로 윗글을 감상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

조홍시가(早紅柹歌)는 총 4수에 걸쳐 효()의 가치와 실천에 대해 노래하고 있다. 현존하는 부모를 위한 효의 실천을 강조한 것은 물론, 부재하는 부모에게는 효를 행할 수 없어 안타까워하는 자식의 모습을 통해 부모를 그리는 마음을 보여 준다. 작품에는 효행을 대표하는 고사의 인물들이 여럿 등장하는데, 그들의 효행은 비현실적인 면모를 보이기도 하지만 이는 자연의 법칙을 뛰어넘는 효의 절대적 가치와 실천에 대한 화자의 공감과 절실함을 더욱 부각한다. 그 결과 이 작품에서 효는 일회적인 데에 그치지 않고 평생 지속되어야 하는 것으로, 개인적 차원을 넘어 사회적 차원으로 확장되어야 하며 인간은 물론 자연물에까지 해당되는 보편적인 것으로 나타난다. 동아시아의 전통적 문화 관습에서 효를 상징하는 까마귀를 작품에 등장시킨 것도 같은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다.

------------------------------------------------------------------------------------------------------------------------------------------------------

품어 가 반길 이 없는 것을 설워하는 화자의 모습에서 부모를 그리는 마음이 부재하는 부모에게까지 이어지고 있음을 찾아볼 수 있군.

왕상의 이어맹종의 죽순은 관련된 사건의 비현실적인 면모에도 불구하고 효가 자연의 법칙을 뛰어넘는 가치를 지닌 것이라는 점을 부각하고 있군.

검던 머리 희도록 노래자의 옷을 입겠다는 화자의 다짐에서 노래자에 대한 공감과, 효의 실천이 평생 지속되어야 하는 것임을 표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군.

만균이나 되는 쇳덩어리를 길게 늘이고자 하는 마음은 생전의 부모인 학발쌍친에게 효를 실천하지 못해 갖게 된 심적 부담감을 우회적으로 나타낸 것이라 할 수 있군.

봉황의 무리에 효를 상징하는 외가마귀가 들어와 봉황과 어울려 노는 설정은 효과 자연물에까지 해당되는 것이면서 개인을 넘어 사회적 차원으로 확장되어야 하는 것임을 보여주고 있군.

 

 
더보기

정답

1. 1

2. 2

3. 4

「조홍시가(早紅柹歌)」 - 박인로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