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01~03]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김삿갓으로 잘 알려진 방랑 시인 김병연은 우여곡절이 많은 자신의 생활을 소재로 삼아 다양한 작품을 창작하였다. ()는 작가의 사십 년 방랑 세월을 집약하여 드러낸 것이고, ()는 북도 지방의 어느 마을에 갔던 김삿갓이 원 생원, 서 진사, 문 첨지, 조 석사라고 불리는 네 명의 마을 유지들에게 푸대접을 당한 후 그들을 희롱하기 위해 그들에게 써 준 것이다.

 

() 정처 없는 내 삿갓은 빈 배와 같은데                        浮浮我笠等虛舟(부부아입등허주)

사십 년 평생 내내 쓰고 다녔네                                       一着平生四十秋(일착평생사십추)

소 따라 들판으로 가는 목동의 가벼운 차림이요             牧竪輕裝隨夜犢(목수경장수야독)

백사장의 갈매기와 벗하는 어부의 본색이라네               漁翁本色伴沙鷗(어옹본색반사구)

술 취하면 벗어 걸고 꽃나무를 바라보고                         醉來脫掛看花樹(취래탈괘가화수)

흥이 나면 손에 들고 누각에 올라 달구경 하네                興到携登翫月樓(흥도휴등완월루)

속세 사람 의관은 모두 겉치레이니                                 俗子依冠皆外飾(속자의관개외식)

온 하늘에 비바람 가득해도 나는 걱정 없네                     滿天風雨獨無愁(만천풍우독무수)

                                                                                                                                   - 김삿갓, 영립

 

() 해 뜨자 원숭이가 언덕에 나타나고                           日出猿生原 일출원생원

고양이 지나가자 가 다 죽네                                         猫過鼠盡死 묘과서진사

황혼이 되자 모기가 처마에 이르고                                  黃昏蚊簷至 황혼문첨지

밤 되자 벼룩이 자리에서 쏘아 대네                                  夜出蚤席射 야출조석사

                                                                                                                                  -  김삿갓, 원생원

 

 한시의 일반적인 형식에 따라 ()를 이해하면 해 뜨고 나니 원숭이가 나타나고 죽은 를 마주치고, 황혼에는 모기’, 밤에는 벼룩에게 괴롭힘을 당하는 화자의 안타까운 처지가 드러난다. 그런데 우리말 독음과 관련지어 이 시를 살펴보면 각 행의 마지막 세 글자가 각각 원 생원’, ‘서 진사’, ‘문 첨지’, ‘조 석사라는 네 사람을 지칭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의미는 다르지만 유사한 소리가 나는 한자들을 활용하여 자신을 푸대접하는 마을 유지들을 골려 주려는 작가의 의도를 짐작할 수 있다. 김삿갓이 떠나고 나서야 ()의 창작 의도를 알아차린 마을 유지들은 창피함에 얼굴을 붉히고 자신들의 행동에 대해 부끄러움을 느꼈다고 전한다.

 이와 같이 중의성을 활용해 눈앞의 상대를 희롱하는 의도가 잘 나타나는 작품으로 황진이의 시조도 자주 언급된다.

 

() 청산리 벽계수수이 감을 자랑 마라

일도창해하면 다시 오기 어려워라

명월이 만공산하니 쉬어 간들 어떠리

                                                                                                           - 황진이

 

 청산 속에 흘러가는 벽계수를 푸른 시냇물로, 빈산을 가득 채운 명월을 밝은 달로 풀이하면 한번 가면 돌아오기 어려운 인생과 그 덧없음을 토로하며 눈앞에 펼쳐진 아름다운 자연에서 쉬어 갈 것을 권유하는 운치 있는 내용으로 보인다. 그런데 벽계수가 당시 어느 왕족의 별칭이고, ‘명월이 시조를 지은 황진이의 기명(妓名)임을 알고 다시 읽어 보면 그 맛이 새롭다. 자신만은 다른 사람들처럼 황진이에게 절대 유혹당하지 않을 것이라 자신감을 드러냈던 벽계수에게 나중에 후회하지 말고 자신과 함께 풍류 생활을 즐길 것을 권유하는 황진이의 낭만과 여유가 느껴진다. 명월 황진이가 이 시조를 청아한 목소리로 읊는 동안 벽계수가 깜짝 놀라 말에서 떨어졌다는 일화가 함께 전해지는 것을 보면, 황진이의 언어유희가 상대방의 허를 찌른 것은 분명해 보인다.

 

기명(妓名) : 기생으로서 가지는 딴 이름.

----------------------------------------------------------------------------------------------------------------------------------------------------------

1. () ~ ()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가 화자가 처한 상황에 도움을 주는 사물의 가치를 드러내고 있다면, ()는 화자가 처한 상황을 부정적으로 느끼게 하는 소재들을 제시하고 있다.

()가 화자가 선택한 삶에 대한 기대감과 만족감을 중점적으로 표현하고 있다면, ()는 화자가 선택하지 않은 삶에 대한 미련과 안타까움을 토로하고 있다.

()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괴로운 상황이 점차 심각해지고 있음에 주목하고 있다면, ()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가까워지는 임과의 관계에 주목하고 있다.

()()가 괴로운 상황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참아 내는 태도를 예찬하고 있다면, ()는 즐겁고 행복한 순간까지 받아들이지 못하는 청자의 태도를 비판하고 있다.

()()가 아름다운 풍경과 사람들을 예찬하며 자연 친화적인 태도를 드러내고 있다면, ()는 자연과 대비되는 인간의 모습에서 바람직한 가치를 찾아내고 있다.

 

2. ‘마을 유지들이 ()를 읽고 수용하는 과정을 추측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마을 유지들이 ()의 표면적 의미에 주목했다면, ()의 화자가 아침부터 밤까지 원숭이’, ‘’, ‘모기’, ‘벼룩을 순서대로 마주치는 상황을 중심으로 작품을 이해하려 하였겠군.

마을 유지들이 ()를 읽을 때 원생원’, ‘서진사’, ‘문첨지’, ‘조석사라는 소리가 난다는 것을 알아차렸다면, 김삿갓이 자신들을 염두에 두고 시를 지은 것도 알 수 있었겠군.

마을 유지들이 ()에 언급된 원숭이’, ‘’, ‘모기’, ‘벼룩이 결국 자신들을 지칭하는 것임을 알게 되었다면, 자신들이 풍자의 대상이 된 것을 알고 화가 나거나 민망한 기분이 들었겠군.

마을 유지들이 ()를 읽고 김삿갓의 언어유희 방식에 대해 따져 보았다면, 김삿갓이 소재들의 특성과 소재 간의 차이점을 부각하여 부정적 인식을 드러내려 하였음을 알아차렸겠군.

마을 유지들이 ()와 같은 시를 지어 자신들에게 준 김삿갓의 진의를 알고 부끄러움을 느꼈다면, 자신들이 김삿갓을 대접했던 방식에 대해서도 다시 생각해 보는 기회를 얻었겠군.

 

3. <보기>를 참고하여 ()()를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

흔히 시적 화자는 시인의 대리인으로서 시인 자신이 아니라고 설명하지만, ()()의 경우 시적 화자가 시인과 동일시하기도 한다. ()() 모두 시인의 삶과 시적 상황을 관련지어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김삿갓은 과거 시험에서 자신의 조부를 비판하는 내용을 써서 급제했다가 뒤늦게 그 사실을 알고 자신을 하늘을 볼 수 없는 죄인이라 여겨 평생을 큰 삿갓을 쓰고 방랑했다고 알려져 있다. 서사와 시가에 능한 문인이자 당대 최고의 기생으로 인정을 받던 황진이는 왕족인 벽계수가 평소 자신을 과소평가한다는 말을 듣고, 그 앞에서 예술적 역량을 발휘하여 그를 말에서 떨어지게 만들었다고 한다. 이렇게 작가와 관련된 일화를 떠올리며 ()()를 읽으면 그 의미를 더욱 풍부하게 해석할 수 있다.

----------------------------------------------------------------------------------------------------------------------------------------------------------

()정처 없는 내 삿갓이 방랑을 선택한 작가와 그가 선택한 삶과 관련된다면, ()명월이 만공산하니는 황진이가 서사와 시가에 능한 문인으로서 널리 인정을 받던 상황과 관련되겠군.

()목동어부가 스스로를 죄인이라 여기고 남들 앞에서 얼굴을 감추며 살던 사람들의 삶을 드러낸다면, ()수이 감은 황진이를 과소평가하고 무시했던 벽계수의 행동을 드러내고 있군.

()술 취하면흥이 나면이 방랑 생활 속에서 자연을 즐기던 작가의 모습을 반영한 것이라면, ()쉬어 간들은 무상한 인생 속에서 풍류적 삶을 권유하는 작가의 태도를 반영한 것이겠군.

()속세 사람들이 방랑 생활을 선택한 작가의 눈에 겉치레만 심한 사람들로 보였다면, ()의 벽계수는 뛰어난 역량을 지닌 황진이의 눈에 자신의 행동을 자랑하고 과시하는 인물로 보였겠군.

()온 하늘에 비바람 가득해도가 떠도는 작가가 인생길에 경험한 시련이나 고통을 드러낸다면, ()일도창해하면 다시 오기 어려워라는 작가가 파악한 인생의 유한성과 무상감을 표현한 것이겠군.

 

 

더보기

정답 1. 2. 3.

 

「영립」 - 김삿갓  「원생원」 - 김삿갓  청산리 벽계수야~ - 황진이

'2024학년도 수능 특강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시 01 거짓 이별, 맹세  (0) 2023.03.27
08 일동장유가 - 김인겸  (0) 2023.03.23
10 어사용, 베틀 노래  (0) 2023.03.23
09 견흥, 방물가  (0) 2023.03.23
07 복선화음가 - 작자 미상  (0) 2023.03.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