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 엄마 엄마 울 엄마요

나를 낳아 키울 적에

진자리 마른자리 가려 골라 키워 놓고

북망산천 가시더니 오늘에도 소식 없네

 

어떤 사람 팔자 좋아

고대광실 높은 집에 부귀영화로 지내건마는

이내 나는 어찌하여 팔공산 짊어지고 낮자리 품 팔아먹고

산천초목으로 후려잡고 지게로 살러를 가노

산천은 보니 청산이요 이내 머리는 백발이 되니

불쌍하고 원통하

 

가는 허리 바늘 같은 내 몸에 황소 같은 병이 드니

부르는 건 울 엄마요

찾는 거는 냉수로구나

                                                                                                             - 작자 미상, 어사용

 

 

() 기심 매러 갈 적에는 갈뽕을 따 가지고

기심 매고 올 적에는 올뽕을 따 가지고

삼간방에 누에 놓고 청실홍실 뽑아내서

강릉 가서 날아다가서울 가서 매어다가

하늘에다 베틀 놓고 구름 속에 이매걸어

함경나무 바디집에 오리나무 북에다가

짜궁짜궁 짜아 내어 가지잎과 뭅거워라

배꽃같이 바래워서 참외같이 올 짓고

외씨같이 버선 지어 오빠넘께 드리고

겹옷 짓고 솜옷 지어 우리 부모 드리겠네

                                                                                                             - 작자 미상, 베틀 노래

 

날아다가 : (베나 돗자리 등을 짜려고) 틀에 날을 간격이 고르게 벌여 쳐서.

이매 : 잉아. 베틀의 날실을 한 칸씩 걸러서 끌어 올리도록 맨 굵은 실

바디집 : 바디를 끼우는 테. ‘바디는 베의 날을 고르며 북의 통로를 만들고 씨실을 쳐서 베를 짜는 구실을 함.

: 베틀에서, 날실의 틈으로 왔다 갔다 하면서 씨실을 푸는 기구.

----------------------------------------------------------------------------------------------------------------------------------------------------------

1. ㉠ ~ 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 : 대상에 관한 과거의 일을 언급하여 대상의 부재 상황을 드러내고 있다.

② ㉡ : 대비되는 어휘를 사용하여 자신이 처한 부정적 상황을 비유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③ ㉢ : 대구적 표현을 활용하여 현실에서 화자가 위안을 얻을 수 있는 대상들을 밝히고 있다.

④ ㉣ : 동일한 음절을 가진 어휘를 제시하며 화자의 움직임을 순차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⑤ ㉤ : 음성 상징어를 사용하여 대상에 대한 화자의 태도가 변하는 과정을 생생하게 보여 주고 있다.

 

 

2. ()()의 시어에 대한 이해로 가장 적절한 것은?

()진자리 마른자리는 화자를 위해 마련된, ()삼간방은 화자가 마련한 장소이다.

()키워 놓고는 화자를 향한 애정을, ()뽑아내서는 화자를 향한 관심을 드러낸다.

()팔공산은 화자가 벗어나고 싶은, ()구름은 화자가 도달하고 싶은 공간이다.

()후려잡고는 화자의 과거의 삶과, ()드리고는 화자의 미래의 삶과 관련된 행위이다.

()지게는 산에서 품을 팔기 위해, ()베틀은 옷을 짓기 위해 화자에게 필요한 대상이다.

 

 

3. <보기>를 참고하여 (), ()를 감상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

나무를 하거나 베를 짜는 일은 모두 단조로운 작업을 지속해야 하는 힘겨운 노동으로, 혼자서 하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혼자서 노동할 때에는 여럿이 함께 일할 때는 말할 수 없었던 자신의 처지를 노래를 통해 허심탄회하게 드러내는 것이 가능했다. 또한 혼자서 부르는 노동요에는 자신의 고달픈 삶을 어찌할 수 없는 것으로 여기는 현실 인식을 보여 주거나 다른 대상에 빗대어 자신을 나타내기도 했으며, 노동을 통해 얻게 될 긍정적 결과에 대한 기대를 드러내는 노랫말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런 점에서 혼자서 노래를 부르는 것은 노동의 고통을 이겨 내고 슬픈 마음을 달래는 자기 치유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

()의 화자는 어떤 사람과 자신의 처지가 다른 것이 팔자때문이라고 말하고 있는데, 이는 노래를 통해 자신의 고달픈 삶을 어찌할 수 없는 것으로 여기는 현실 인식을 보여 주는 것에 해당하겠군.

()의 화자는 불쌍하고 원통하다며 자신의 신세에 대한 한탄을 직접적으로 표출하고 있는데, 이는 나무를 하는 것이 혼자서 하는 노동이기에 가능했겠군.

()의 화자는 베를 짜는 데 필요한 청실홍실을 마련하는 과정을 압축적으로 제시하고 있는데, 이는 베를 짜는 노동의 힘겨움과 단조로움을 이겨 내는 자기 치유의 과정에 해당하겠군.

()의 화자는 베를 짜기 위해 하늘에다 베틀을 놓겠다고 말하고 있는데, 이는 지상과 천상의 공간을 넘나드는 존재에 빗대어 자신을 나타낸 것으로 볼 수 있겠군.

()의 화자는 버선겹옷’, ‘솜옷을 지어 가족에게 주겠다고 말하고 있는데, 이는 노동의 결과물에 대한 긍정적 기대를 드러낸 것에 해당하겠군.

 

더보기

정답 1.2. 3.

 

「어사용」 - 작자 미상 「베틀 노래」 - 작자 미상

'2024학년도 수능 특강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08 일동장유가 - 김인겸  (0) 2023.03.23
11 영립, 원생원, 청산리 벽계수야~  (0) 2023.03.23
09 견흥, 방물가  (0) 2023.03.23
07 복선화음가 - 작자 미상  (0) 2023.03.22
06 만분가  (1) 2023.03.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