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9

 

[01~03]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 에게 아름다운 비판 한 필이 있어                   我有一端綺(아유일단기)

먼지를 털어 내면 맑은 윤이 났었죠                          拂拭光凌亂(불식광능란)

봉황새 한 쌍이 마주 보게 수놓여 있어                      大織雙鳳凰(대직쌍봉황)

반짝이는 그 무늬가 정말 눈부셨지요.                       文章何燦爛(문장하찬란)

여러 해 장롱 속에 간직하다가                                   幾年篋中藏(기년협중장)

오늘 아침 임에게 정표로 드립니다.                          今朝持贈郞(금조지증랑)

임의 바지 짓는 거야 아깝지 않지만                          不惜作君袴(불석작군고)

다른 여인 치맛감으론 주지 마세요.                          莫作他人裳(막작타인상)

                                                                                                                  <3>

 

보배스러운 순금으로                                                精金凝寶氣(정금응보기)

반달 모양 노리개를 만들었지요.                              鏤作半月光(누작반월광)

시집올 때 시부모님이 주신 거라서                           嫁時舅姑贈(가시구고증)

다홍 비단 치마에 차고 다녔죠.                                 繫在紅羅裳(계재홍라상)

오늘 길 떠나시는 임에게 드리오니                           今日贈君行(금일증군행)

서방님 정표로 차고 다니세요.                                  願君爲雜佩(원군이잡패)

길가에 버리셔도 아깝지는 않지만                           不惜棄道上(불석기도상)

새 여인 허리띠에만은 달아 주지 마세요.                  莫結新人帶(막결신인대)

                                                                                                                 <4>

                                                                                                                          -허난설헌, 견흥(遣興)

 

 

() 서방님 () 떼고 정 이별한대도 날 버리고 못 가리라.

금일 송군(送君) 임 가는데 백년 소첩(百年小妾) 도 가오.

날 다려 날 다려 날 다려가오. 한양 낭군님 날 다려가오.

나는 죽네 나는 죽네 임자로 하여 나는 죽네.

네 무엇을 달라고 하느냐. 네 소원을 다 일러라.

제일명당 터를 닦아 고대광실(高大廣室) 높은 집에

내외 분합(分閤) 물림퇴며 고불도리선자(扇子)추녀 헝덩그렇게 지어나 주랴.

네 무엇을 달라고 하느냐. 네 소원을 다 일러라.

연지분 주랴. 면경 석경 주랴. 옥지환(玉指環) 금봉차(金鳳釵) 화관주(花冠珠) 딴머리 칠보(七寶)족두리 하여나 주랴.

네 무엇을 달라고 하느냐. 네 소원을 다 일러라. 세간치레를 하여나 주랴.

용장(龍欌) 봉장(鳳欌)귓도리 책상이며 자개 함롱(函籠) 반닫이 삼층

각계수리 이층 들장미에 원앙금침(鴛鴦衾枕) 잣베개

샛별 같은 쌍요강 발치 발치 던져나 주랴.

네 무엇을 달라고 하느냐. 네 소원을 다 일러라. 의복 치레를 하여나 주랴.

보라 항릉(亢綾) 속저고리 도리볼수 겉저고리 남문대단 잔솔치마

백방수화주 고장바지 물면주 단속곳에 고양 나이 속버선에 몽고삼승 겉버선

자지 상직 수당혜(繡唐鞋)를 명례궁(明禮宮) 안에 맞추어 주랴.

네 무엇을 달라고 하느냐. 네 소원을 다 일러라. 노리개 치레를 하여나 주랴.

()조로롱 금()조로롱 산호(珊瑚)가지 밀화불수(蜜花佛手)

밀화장도(蜜花粧刀)곁칼이며 삼천주 바둑실을 남산더미만큼 하여나 주랴.

나는 싫소 나는 싫소 아무것도 나는 싫소.

고대광실도 나는 싫고 금의옥식(錦衣玉食)도 나는 싫소.

원앙충층 걷는 말에 마부담(馬負擔)하여 날 다려가오.

                                                                                                                                                              -작자 미상, 방물가

 

고불도리 : 둥글게 만든 도리(서까래를 받치기 위하여 기둥 위에 건너지르는 나무).

용장 봉장 : 용의 모양을 새긴 옷장과 봉황의 모양을 새겨 꾸민 옷장.

수당혜 : 수놓은 비단으로 신울을 만든 당혜.

밀화불수 : 밀화로 부처 손같이 만든, 여자의 패물. 대삼작노리개의 하나.

밀화장도 : 밀화로 꾸민, 주머니 속에 넣거나 옷고름에 늘 차고 다니는 칼집이 있는 작은 칼로 주로 장신구로 사용됨.

----------------------------------------------------------------------------------------------------------------------------------------------------------

1. ()()에 대해 설명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는 모두 독백체의 어조를 활용하여 화자의 내면을 드러내고 있다.

()()는 모두 우회적인 방식으로 상황에 대한 화자의 판단을 드러내고 있다.

()()는 모두 부정의 표현을 활용하여 화자가 금기하는 사항을 드러내고 있다.

()는 회상의 표현을 통해, ()는 감정 이입의 표현을 통해 화자의 의도를 드러내고 있다.()는 시각적 심상을, ()는 촉각적 심상을 활용하여 화자가 소유한 물건의 속성을 묘사하고 있다.

 

2. <보기>를 참고하여 ()<보기>[A]를 비교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

20세기 초 크게 유행한 잡가는 널리 알려진 작품에서 일부 장면을 차용하였는데, 남녀 간의 사랑과 이별, 부귀 등에 대한 대중의 세속적인 욕망을 고려하고 물질적 가치를 중시하는 사회상을 반영하여 기존 내용을 유지하거나 변형하였다. 이때 특정 구절을 반복하여 음악적 효과를 살리기도 했으며, 기존 작품에 없어 일상어들을 추가하여 대중의 욕망에 부응하기도 하고, 비유나 음성 상징어를 활용하여 대중이 선호하는 장면을 생동감 있게 표현하기도 하였다. ()19세기에 유행하였던 춘향가에서 춘향과 이몽룡이 이별하는 장면인 [A]를 차용한 잡가로, 이와 같은 특징이 반영되어 있다.

 

[A] 오냐, 춘향아, 우지 마라. 원수가 원수가 아니라 양반 행실이 원수로구나. 너와 나와 만날 때는 합환주를 먹었거니와, 오늘날 이별주가 이게 웬일이냐? 이 술 먹지 말로 이별 말자. 하량낙일수운기는 소통국의 모자 이별, 정객관산노기중에 오희 월녀의 부부 이별, 초가사면 만영월의 초패왕 우미인 이별, 엄무사단봉의 왕소군의 한궁 이별, 서출양관무고인은 위성조우 붕우 이별, 이런 이별 있건마는 너와 나와 당한 이별, 만날 날이 있을 테니 설워 말고 잘 있거라.” 도련님이 금낭을 끌러 대모 석경을 내어 주며, “아나, 춘향아. 거울 받어라. 장부의 맑은 마음 거울 빛과 같은지라, 이걸 깊이 두었다가 날 본 듯이 내여 보아라.” 춘향이 거울을 간수허고, 저 쪘던 옥지환을 바드드드득 벗겨 내어 도련님 전 올리면서, “였소, 도련님, 지환 받으오. 여자의 명심불망 지환 빛과 같은지라, 이걸 깊이 두었다가 날 본 듯이 내여 보오.”

----------------------------------------------------------------------------------------------------------------------------------------------------------

① ㉠ : [A]와 마찬가지로, 유사한 구절을 반복적으로 제시하여 가창에 적절한 운율감을 형성하고 있군.

② ㉡ : [A]와 마찬가지로, 남성을 이별의 원인을 제공하는 인물로 설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기존 작품의 내용을 유지하고 있군.

③ ㉢ : [A]와 마찬가지로, 비유적 표현과 음성 상징어를 활용하여 대중이 선호하는 이별 장면을 생생하게 표현하고 있군.

④ ㉣ : [A]와 달리, 값비싸고 다양한 의복의 명칭을 추가하고 나열하여 부귀에 대한 대중의 세속적인 욕망에 부응하고 있군.

⑤ ㉤ : [A]와 달리, 물질이 사랑을 보완할 수 있다는 생각을 드러내어 신의보다 물질적 가치를 중시하는 사회상을 반영하고 있군.

 

3. <보기>를 바탕으로 ()’(), ()서방님’(), ‘’()에 대해 이해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

정표는 간절한 정을 드러내 보이기 위하여 물품을 줌. 또는 그 물품.’이라는 의미로, 남녀 간의 애정 성취를 위한 수단이거나 혼인 성사를 증명하는 수단이 되기도 했다. 그러나 남녀가 이별하는 경우에 정표는 미안한 마음을 전달하는 용도, 슬픔을 달래는 용도, 변함없는 사랑을 맹세하는 용도, 그리고 상대의 지조를 요구하는 용도 등으로 사용되었다.

----------------------------------------------------------------------------------------------------------------------------------------------------------

()아름다운 비단 한 필의 용도를 언급한 것으로 보아, 는 타지에서도 이 자신에 대한 지조를 지켜 주기를 바란다는 요구를 정표를 통해 드러내고 있다고 볼 수 있겠군.

()반달 모양 노리개의 내력을 언급한 것으로 보아, 과 자신이 혼인한 상태라는 사실을 임이 정표를 통해 망각하지 않기를 바라고 있다고 볼 수 있겠군.

()세간치레에 대해 묻는 것으로 보아, 와 이별하게 된 것에 대한 미안함을 정표를 통해 전달하려 하고 있다고 볼 수 있겠군.

()노리개 치레에 대해 언급하는 것으로 보아, 와 이별하게 된 것에 대한 이별의 슬픔을 정표를 통해 달래고자 한다고 볼 수 있겠군.

()금의옥식에 대한 입장을 밝힌 것으로 보아, 는 이별 후에 가 부재하는 상황에서도 자신의 사랑이 변치 않을 것이라는 맹세를 정표를 통해 드러내고 있다고 볼 수 있겠군.

 

 

 

더보기

정답

1. 

2. 

3. 

 

 

견흥(흥에 겨워) - 허난설헌   방물가 - 작자 미상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