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미인곡(思美人曲) - 정철

 

이 몸 삼기실 제(생겨날 때, 태어날 때) 님을 조차 삼기시니

ᄒᆞᆫ연분(緣分)이며 하ᄂᆞᆯ 모ᄅᆞᆯ 일이런가(하늘도 알 만한 운명적인 만남)

나 ᄒᆞ나(오직) 졈어 잇고 님 ᄒᆞ나 날 괴시니

이 ᄆᆞᄋᆞᆷ 이 ᄉᆞ랑 견졸 노여(다시, 전혀) 업다

                                                                                                                                                        서사1 임과의 인연

 

(平生)애 원()ᄒᆞ요ᄒᆞᆫ녜쟈(함께 지내자. 한곳에서 살아가자) ᄒᆞ얏더니

늙거야 므ᄉᆞ 일로 외오(외로이) 두고 그리ᄂᆞᆫ고

엊그제 님을 뫼셔 광한뎐(廣寒殿-달의 선녀인 항아가 산다는 누각. 여기서는 임금이 계신 대궐을 뜻함.)의 올낫더니

그 더(동안에, 사이에) 엇디ᄒᆞ야 하계(下界-인간 세상. 여기서는 작가가 idg여 지내던 전라도 창평을 뜻함.)예 ᄂᆞ려오니

올 저긔 비슨 머리 헛틀언디 삼 년(三年)일쇠

연지분(臙脂粉-여성 화자임을 드러내는 소재) 마ᄂᆞᆫ 눌 위ᄒᆞ야 고이 ᄒᆞᆯ고

ᄆᆞ음의 친 실음 텹텹(疊疊-겹겹이)혀 이셔

짓ᄂᆞ니 한숨이오 디ᄂᆞ니 눈믈이라

                                                                                                                                              서사2 임에 대한 그리움

 

(人生)은 유ᄒᆞᆫ(有限)ᄒᆞᆫ시ᄅᆞᆷ도 그지업다

무심(無心)ᄒᆞᆫ 셰월(歲月)은 믈 흐ᄅᆞᄃᆞᆺ ᄒᆞᄂᆞᆫ고야

염냥(炎涼-더움과 서늘함. 계절의 바뀜. 세월의 흐름)ᄅᆞᆯ 아라 가ᄂᆞᆫ ᄃᆞᆺ 고텨 오니

듯거니 보거니 늣길 일도 하도 할샤

                                                                                                                                               서사3 세월의 무상함

 

동풍(東風-계절감을 나타냄())이 건 듯 부러 젹셜(積雪)을 혜텨 내니

()밧긔 심근 (梅花) 두세 가지 픠여셰라

ᄀᆞᆺ득 (冷淡-쌀쌀하고 적막함.)ᄒᆞᆫ암향(暗香-그윽한 향기(임금에 대한 충성심))은 므ᄉᆞ 일고

황혼(黃昏)의 ᄃᆞᆯ(임금)이 조차 벼마(베갯머리에) 빗최니

늣기ᄂᆞᆫ ᄃᆞᆺ(흐느끼는 듯) 반기ᄂᆞᆫ ᄃᆞᆺ 님이신가 아니신가

(梅花-시적 화자의 분신. 임에 대한 화자의 정성과 사랑) 것거 내여 님 겨신 보내오져

님이 너ᄅᆞᆯ 보고 엇더타 너기실고

                                                                                                       본사1 매화를 꺾어 임에게 보내고 싶음 마음()

 

디고 새닙 나니 녹음(綠陰-계절적 배경을 나타냄(여름))렷ᄂᆞᆫ

나위(羅幃-비단으로 만든 휘장.) 젹막(寂寞)ᄒᆞ고 슈막(繡幕-수놓은 장막.)이 뷔여 잇다

부용(芙容-연꽃을 수놓은 비단 휘장)을 거더 노코 공쟉(孔雀- 공작이 그려진 병풍)을 둘러 두니

ᄀᆞᆺ득 시ᄅᆞᆷ 한날은 엇디 기돗던고(길던고0

원앙금(鴛鴦衾-원앙을 수놓은 비단) 버혀 노코 오(五色線-오색실) 플텨(풀어) 내여

금자(금으로 만든 자) 견화이셔(재어서) 님의 옷(임에 대한 화자의 정성과 사랑) 지어 내니

슈품(手品)은 ᄏᆞ니와(솜씨는 물론이거니와) 졔도(制度)ᄀᆞᄌᆞᆯ시고(갖추었구나)

산호슈(珊瑚樹) 지게 우 옥함(白玉函)의 다마 두고

님의게 보내오려 님 겨신 ᄇᆞ라보니

()인가 구롬인가 머흐도 머흘시고(험하기도 험하구나)

쳔리만리(千里萬里) 뉘라셔 ᄎᆞ자갈고

니거든(가거든. 이르거든) 여러 두고 날인가 반기실가

                                                                                                      본사2 옷을 지어 임에게 보내고 싶은 마음(여름)

 

ᄒᆞᄅᆞ밤 서리 김의 기러기(계절감을 나타냄(가을) 우러 녤 제

위루(危樓-높은 누각)에 혼자 올나 슈졍념(水晶簾) 거든마리(걷으니)

동산(東山)의 ᄃᆞᆯ이 나고 북극(北極- (임금))의 별이 뵈니

님인가 반기니 눈믈이 절로 난다

쳥광(淸光-임에 대한 화자의 정성과 사랑)을 픠워 내여 봉황누(鳳凰樓-임금이 계신 궁궐)의 븟티고져(부치고 싶구나)

() 거러 두고 팔황(八荒-팔방의 넓은 범위)의 다 비최여

심산궁곡(深山窮谷) 졈낫ᄀᆞ티 그쇼셔

                                                                                                        본사3 선정을 베풀어 주기를 바라는 마음(가을)

 

건곤(乾坤-하늘과 땅(온 세상))이 폐(閉塞-꽉 막힘)ᄒᆞ야 셜이 ᄒᆞᆫ 빗친 제

사ᄅᆞᆷ은 ᄏᆞ니와 ᄂᆞᆯ새도 긋쳐 잇다

쇼샹남반(瀟湘南畔-소상강 남쪽, 여기서는 전라도 창평을 뜻함.)도 치오미 이러커든

옥누고쳐(玉樓高處-옥으로 된 누각과 높은 곳. 곧 임금이 계신 곳)야 더옥 닐너 므ᄉᆞᆷᄒᆞ리

양츈(陽春-따뜻한 봄볕. 임에 대한 사랑과 정성)을 부처 내여 님 겨신 쏘이고져

모쳠(茅簷-초가집 처마) 비쵠 ᄅᆞᆯ 옥누(玉樓)의 올리고져

홍샹(紅裳- 여성 화자임을 드러내는 소재)을 니믜차고 츄ㅣ슈(翠袖-푸른 소매)ᄅᆞᆯ 반()만 거더

일모슈듁(日暮脩竹-해 저문 날에 긴 대에 의지하여 기다림.)의 혬가림(사리분별. 여러 가지 생각)도 하도 할샤

댜ᄅᆞᆫ(짧은) 수이 디여 긴 밤을 고초 안자

쳥등(靑燈-푸른 비단으로 싼 초롱불) 거론겻뎐공후(鈿箜篌) 노하두고

의나 님을 보려 ᄐᆞᆨ 밧고 비겨시니

앙금(鴦衾-원앙새를 수놓은 이불.)도 ᄎᆞ도 ᄎᆞᆯ샤 이 밤은 언제 샐고

                                                                                       본사4 임에 대한 그리움과 긴 겨울밤을 보내는 외로움(겨울)

 

ᄒᆞᄅᆞ도 열두  ᄒᆞᆫ ᄃᆞᆯ도 셜흔 날(화자의 그리움의 깊이를 강조함.)

져근덧(잠깐 동안) 각 마라 이 시ᄅᆞᆷ 닛쟈 ᄒᆞ니

ᄆᆞᄋᆞᆷ의 쳐 이셔 골슈(骨髓-뼛속)텨시니(사무쳐 있으니)

편쟉(扁鵲-중국 춘추 전국 시대의 명의)이 열히 오다 이 병을 엇디ᄒᆞ리

어와 내 병이야 이 님의 타시로다

ᄎᆞᆯ하리 싀어디여 범나븨 되오리라

곳나무 가지마다 간 죡죡 안니다가

(임에 대한 충성심, 사랑) 므틴 ᄂᆞᆯ애로 님의 오올므리라

님이야 날인 줄 모ᄅᆞ셔도 내 님 조ᄎᆞ려 ᄒᆞ노라(일편단심)

                                                                                                                                  결사 : 임을 향한 변함없는 마음

 

 

 

핵심 정리

 

1. 갈래 양반 가사, 서정 가사

2. 성격 서정적, 연모적

3. 제재 임을 향한 그리움

4. 주제 (임금)을 향한 일편단심

5. 구성

              서사 임에 대한 그리움과 세월의 무상함

              본사 - 매화를 꺾어 임에게 보내고 싶은 마음

                      ② 여름 - 옷을 지어 임에게 보내고 싶은 마음

                      ③ 가을 선정을 베풀어 주기를 바라는 마음

                      ④ 겨울 임에 대한 그리움과 긴 겨울밤을 보내는 외로움

              결사 임을 향한 변함 없는 마음

 

6. 특징

- 시적 화자를 여성으로 설정하여 연군의 정을 절실하게 표현함.

- 뛰어난 우리말 구사를 통해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보여 줌.

- 계절(시간)의 흐름에 따라 임에 대한 시적 화자의 정서를 드러냄.

 

7. 해제

 이 작품은 관직에서 물러난 작가가 전남 창평에 머무르면서 임금을 그리는 안타까운 심정을, 이별한 임을 그리는 여인의 심정에 의탁하여 읊은 연군 가사이다. 계절에 따른 자연과 생활의 변화를 그리면서 그 가운데에서 솟아오르는 시적 화자의 슬픔과 연군의 정을 구체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다양한 표현과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잘 살린 언어 표현으로 가사 문학의 대표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작가의 다른 가사 작품은 <속미인곡>과 더불어 전후(前後) 미인곡(美人曲)’이라고 일컬어 진다.

 

8. 작가

    정철(1536~1593)

 조선 선조 때의 문신. 호는 송강(松江). 가사 문학의 대가로 윤선도와 더불어 우리 고전 시가 문학을 대표하는 시인이며, 국문학 사상 중요한 가사 작품과 시조 작품을 남겼다. 25세 때 <성산별곡>을 지었으며 이후 과거에 장원 급제하여 벼슬길에 나아가 요직을 두루 거쳤으나, 당쟁이 극심해지자 벼슬을 버리고 담양군 창평으로 내려가 은거하다가 45세 때 강원도 관찰사가 되었다. 이때 <관동별곡><훈민가(訓民歌)> 16수를 지었다. 그러나 동인의 탄핵을 받아 고향인 창평으로 돌아가 4년간 은거 생활을 하였다. 이때 <사미인곡>, <속미인곡> 등의 가사와 시조, 한시 등 많은 작품을 지었다.

 

 

 

출처 : 미래엔 문학 교과서 + 미래엔 문학 자습서

오백 년(五百年) 도읍지(都邑地)- 길재

 

오백 년(五百年) 도읍지(都邑地- 고려의 옛 서울인 개성)를 필마(匹馬-한 필의 말)로 도라드니

산천(山川)은 의구(依舊-옛날같이 변함이 없음)ᄒᆞ되 인걸(人傑-고려이 유신(遺臣))은 간 듸 업다.

어즈버(감탄사) 태평연월(太平烟月-영화로웠던 옛 고려 왕조)이 꿈이런가 ᄒᆞ노라.

 

 

핵심 정리

 

1. 갈래 평시조, 정형시, 서정시

2. 성격 회고적, 감상적

3. 제재 오백 년 도읍지

4. 주제 망국의 한과 인생무상

5. 특징

            - 대조법을 활용하여 무상감을 부각함.

            - 감탄사를 사용하여 시적 화자의 고조된 감정을 효과적으로 드러냄.

 

6. 작가

 

 길재 고려 말, 조선 초의 성리학자. 조선이 건국된 뒤에 이방원이 태상박사에 임명하였으나 두 임금을 섬기지 않겠다는 뜻을 말하며 거절하였ㄷ.

 

 

출처 미래엔 문학 자습서

 

처용가(處容歌) - 처용 지음, 김완진 해독

 

동경(東京-경주) 밝은 달에

밤들이 노니다가

들어 자리를 보니

다리가 넷이러라.(역신과 아내의 동침) → 역신의 침범

둘은 내해였고

둘은 누구핸고.

본디 내해다마는 

빼앗은 걸을 어찌하리오. (이미 다른 사람의 여인이 된 상황에 대한 체념/ 자신의 아내까지도 대상에게 허용하는 관용)

                                                              → 처용의 관용

 

 

 

핵심 정리

 

1. 작자 - 처용

2. 연대 - 신라 49대 헌강와 때(9세기 경)

3. 갈래 - 향가(8구체), 무가(巫歌)

4. 성격 - 주술적

5. 의의 - 벽사진경(僻邪進慶)의 민요적 무가

          - 의식무(儀式舞), 또는 연희(演戱)의 형태로 고려, 조선 시대까지 계승됨

6. 주제 - 관용과 극기의 위풍(역신을 쫓아냄)

7. 처용의 정체

① 역사적 관점 - 용의 아들 처용이 서라벌에서 벼슬한 것은 지방 통제의 수단으로 지방 호족의 아들을 서라벌에 인질로 잡아두었던 역사적 사실과 관련지을 수 있다. 그리고 처용의 아내를 범한 역신은 타락한 중앙 귀족의 자제로 파악한다. 그렇다면, '처용가'는 지방 호족과 중앙 귀족의 갈등을 표현한 것이다.

② 신라 시대 서역(西域)과의 교역 사실과 관련한 관점 - 처용은 신라에 왔던 이슬람 상인 중의 한 사람일 것으로 추정.

③ 종교적 관점 - 처용을 축사(逐邪)와 벽사진경(僻邪進慶)의 주력(呪力)을 가진 무속적 ·신적 존재로 파악

 

 

출처 : 미래엔 국어 교과서 

 

<참고 자료>

 

 
 

'고2 문학 > 고2 미래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미인곡  (5) 2023.03.06
오백 년 도읍지를 - 길재  (0) 2023.03.02
헌화가 - 견우 노인  (0) 2023.03.02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 - 충담사  (4) 2023.03.02
황조가(黃鳥歌) - 유리왕  (0) 2023.03.02

헌화가(獻花歌) - 견우 노인, 김완진 해독

 

자줏빛 바위 가에

잡고 있는 암소 놓게 하시고,(노인에게 주용한 대상인 암소를 놓을 정도로 연정이 깊음)

나를 아니 부끄러워하시면

(노인의 분신, 연정을 전하는 매개물)을 꺾어 바치오리다.

 

 

핵심 정리

 

갈래 향가

성격 민요적, 서정적

제재 수로 부인,

주제 사회적 신분의 차이를 넘어선 연정

특징

- 신라인의 소박하고 보편적인 미의식을 보여 줌.

- 가정법과 자연물()을 통해 시적 화자의 심리를 드러냄.

 

출처 : 미래엔 문학 교과서 

 

<참고 자료>

 

수로부인 - 삼국유사 권 제2 기이 제2

 

수로부인 - 삼국유사 권 제2 기이 제2

성덕왕 대에 순정공(純貞公)이 강릉(江陵-지금의 명주(溟州)) 태수로 부임해 가다가 바닷가에서 점심을 먹었다. 옆에는 바위가 마치 병풍처럼 둘러져져 있었는데, 천 길이나 되는 높이에 철죽이

marusaem.tistory.com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 - 충담사 지음, 김완진 해독

 

咽嗚爾處米(열오이처미)                                                      늣겨곰 ᄇᆞ라매

露曉邪隱月羅理(노효사은월라리)                                       이슬 ᄇᆞᆯ갼 ᄃᆞ라리('달'. '기파랑'의 고매한 인품)

白雲音逐于浮去隱安支下(백운음축간부거은안지하)          구룸 조초 간 언저레

沙是八陵隱汀理也中(사시팔릉은정리야중)                        몰이 가ᄅᆞᆫ 믈서리('기파랑'의 맑고 깨끗한 성품)여

耆郞矣皃史是史藪邪(기랑의모사시사수사)                        기랑(耆郞)올시 수프리야

                                                                                 1~5기파랑의 고결한 모습을 떠올리며 그의 부재를 안타까워함.

逸烏川理叱磧惡希(일오천리질적오희)                                 일오(逸烏) 나릿 

郞也持以支如賜烏隱(낭야지이지여사오은)                          ()이여 디니더시온

心未際叱肹逐內良齊(심미제질힐축내량제)                          ᄆᆞ ᄀᆞ좃ᄂᆞ라져

                                                                                 6~8기파랑의 고매한 인품을 본받고 싶음.

阿耶栢史叱枝次高支好(아야백사질지차고지호)                   아야 자싯가지('기파랑'의 고고한 절개, 드높은 기상) 노포

雪是毛冬乃乎尸花判也(설시모동내호시화판야)                    누니('눈'. 시련, 역경, 불의) 모ᄃᆞᆯ 두폴 곳가리여

                                                                                 9~10기파랑의 인품과 높은 절개를 예찬함.

 

 

 

[현대어 풀이]

 

흐느끼며 바라보매

이슬 밝힌 달이

흰 구름 따라 떠간 언저리에

모래 가른 물가에

기랑(耆郞)의 모습이올시 수풀이여.

일오(逸烏)내 자갈 벌에서

()이 지니시던

마음의 갓을 좇고 있노라.

아아, 잣나무 가지가 높아

눈이라도 덮지 못할 고깔이여.

 

 

 

핵심 정리

 

1. 갈래 10구체 향가

2. 성격 추모적, 서정적, 예찬적

3. 제재 기파랑의 모습과 인격

4. 주제 기파랑에 대한 추모와 예찬

5. 구성

           *1~5기파랑의 고결한 모습을 떠올리며 그의 부재를 안타까워함.

           *6~8기파랑의 고매한 인품을 본받고 싶음.

           *9~10기파랑의 인품과 높은 절개를 예찬함.

 

6. 특징

             - 뛰어난 상징과 비유를 통해 기파랑의 모습과 인격을 형상화함.

             - 대상을 구체적이고 감각적인 이미지를 사용하여 제시함.

            - <제망매가>와 더불어 가장 서정성이 높은 향가 작품으로 평가됨.

 

7. 해제

 이 작품은 신라의 충담사가 화랑이었던 기파랑의 높은 인격을 사모하여 지은 10구체 향가로, 기파랑의 인물됨을 자연물에 비유하여 찬양하고 있다. 중세 전기의 가장 대표적인 문학 갈래인 향가는 우리말 노래를 한자의 소리와 뜻을 빌려 표기하는 향찰로 기록한 시가이다. 4구체, 8구체, 10구체가 있으며 이 중에서 특히 10구체 향가는 향가 가운데서도 가장 발전된 형식이다. <찬기파랑가>는 이러한 향가의 일반적인 특성을 이해하고 시조로 이어지는 형식상의 전통이 어떻게 계승되는지 살펴볼 수 있는 작품이다.

 

8. 충담사 (?~?)

 

 통일 신라 경덕왕(재위 742~765) 때의 승려. <찬기파랑가>, <안민가> 등이 삼국유사에 실려 전한다. 삼국유사에 따르면 경덕왕이 문루에서 아래를 굽어보다가 차를 공양하고 돌아오는 충담사를 친히 불러서 <안민가>를 지어 달라고 부탁하였다. 그러면서 왕이 그대가 지은 <찬기파랑가>의 뜻이 매우 심오하다고 들었다.”라며 칭찬한 것으로 보아 <찬기파랑가>는 당대에도 널리 인정받았던 작품으로 보인다. 경덕왕은 <안민가>를 지은 공로로 충담사를 왕사에 봉하였으나 충담사는 굳이 사양하였다고 한다.

 

 

 

출처 : 미래엔 문학 교과서 + 미래엔 문학 자습서

 

 

<참고 자료>

 

 

향가

 

향가

Ⅰ.향가 1. 향가의 명칭과 기원 향가는 한자의 음과 훈(訓)을 빌어 적은 향찰(鄕札)표기에 의해 기록되어 전하는 신라 및 고려시대의 시가를 말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향가는 ‘삼국유사

marusaem.tistory.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