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물가- 작자 미상

 

서방님 정() 떼고 정 이별하대도 날 버리고 못 가리라.

금일 송군(送君) 임 가는데 백년 소첩(百年小妾) 나도 가오.

날 다려 날 다려 날 다려가오. 한양 낭군님 날 다려가오.

나는 죽네 나는 죽네 임자로 하여 나는 죽네.

네 무엇을 달라고 하느냐. 네 소원을 다 일러라.

제일명당 터를 닦아 고대광실(高大廣室) 높은 집에

내외 분합(分閤) 물림퇴며 고불도리선자(扇子)추녀 헝덩그렇게 지어나 주랴.

네 무엇을 달라고 하느냐. 네 소원을 다 일러라.

연지분 주랴. 면경 석경 주랴. 옥지환(玉指環) 금봉차(金鳳釵) 화관주(花冠珠) 딴머리 칠보(七寶)족두리 하여나 주랴.

네 무엇을 달라고 하느냐. 네 소원을 다 일러라. 세간치레를 하여나 주랴.

용장(龍欌) 봉장(鳳欌)귓도리 책상이며 자개 함롱(函籠) 반닫이 삼층

각계수리 이층 들장미에 원앙금침(鴛鴦衾枕) 잣베개

샛별 같은 쌍요강 발치 발치 던져나 주랴.

네 무엇을 달라고 하느냐. 네 소원을 다 일러라. 의복 치레를 하여나 주랴.

보라 항릉(亢綾) 속저고리 도리볼수 겉저고리 남문대단 잔솔치마

백방수화주 고장바지 물면주 단속곳에 고양 나이 속버선에 몽고삼승 겉버선에

자지 상직 수당혜(繡唐鞋)를 명례궁(明禮宮) 안에 맞추어 주랴.

네 무엇을 달라고 하느냐. 네 소원을 다 일러라. 노리개 치레를 하여나 주랴.

()조로롱 금()조로롱 산호(珊瑚)가지 밀화불수(蜜花佛手)

밀화장도(蜜花粧刀)곁칼이며 삼천주 바둑실을 남산더미만큼 하여나 주랴.

나는 싫소 나는 싫소 아무것도 나는 싫소.

고대광실도 나는 싫고 금의옥식(錦衣玉食)도 나는 싫소.

원앙충층 걷는 말에 마부담(馬負擔)하여 날 다려가오.

-작자 미상, 방물가

 

고불도리 : 둥글게 만든 도리(서까래를 받치기 위하여 기둥 위에 건너지르는 나무).

용장 봉장 : 용의 모양을 새긴 옷장과 봉황의 모양을 새겨 꾸민 옷장.

수당혜 : 수놓은 비단으로 신울을 만든 당혜.

밀화불수 : 밀화로 부처 손같이 만든, 여자의 패물. 대삼작노리개의 하나.

밀화장도 : 밀화로 꾸민, 주머니 속에 넣거나 옷고름에 늘 차고 다니는 칼집이 있는 작은 칼로 주로 장신구로 사용됨.

 

 

1. 해제

  이 작품은 조선 후기 잡가 중 하나로, 판소리 춘향가에서 이별 대목을 차용하고 있다. 이별의 상황에서 이를 거부하는 여성과 여러 가지 방물로 여성을 회유하려는 남성의 대화로 이루어져 있다. 동일한 문장이 반복되어 운율을 형성하고 있으며, 여러 가지 방물이 나열되어 당대의 생활상을 파악할 수 있다. 당대인들의 흥미와 요구를 반영하는 과정에서 춘향가의 내용을 변형시킨 점이 특징이다.

 

2. 주제 이별 상황에서의 여성과 남성의 갈등

 

3. 구성

1~4이별을 거부하는 여성

5~20여러 가지 방물로 여성을 회유하는 남성

21~23남성의 제안을 거부하는 여성

 

 

출처 2024학년도 수능특강 문학

 

 

견흥(遣興)- 허난설헌

 

나에게 아름다운 비판 한 필이 있어             我有一端綺(아유일단기)

먼지를 털어 내면 맑은 윤이 났었죠             拂拭光凌亂(불식광능란)

봉황새 한 쌍이 마주 보게 수놓여 있어        大織雙鳳凰(대직쌍봉황)

반짝이는 그 무늬가 정말 눈부셨지요.         文章何燦爛(문장하찬란)

여러 해 장롱 속에 간직하다가                     幾年篋中藏(기년협중장)

오늘 아침 임에게 정표로 드립니다.             今朝持贈郞(금조지증랑)

임의 바지 짓는 거야 아깝지 않지만             不惜作君袴(불석작군고)

다른 여인 치맛감으론 주지 마세요.             莫作他人裳(막작타인상)

                                                                                                        <3>

 

보배스러운 순금으로                                   精金凝寶氣(정금응보기)

반달 모양 노리개를 만들었지요.                 鏤作半月光(누작반월광)

시집올 때 시부모님이 주신 거라서              嫁時舅姑贈(가시구고증)

다홍 비단 치마에 차고 다녔죠.                    繫在紅羅裳(계재홍라상)

오늘 길 떠나시는 임에게 드리오니              今日贈君行(금일증군행)

서방님 정표로 차고 다니세요.                     願君爲雜佩(원군이잡패)

길가에 버리셔도 아깝지는 않지만               不惜棄道上(불석기도상)

새 여인 허리띠에만은 달아 주지 마세요.     莫結新人帶(막결신인대)

                                                                                                    <4>

                                                                                           -허난설헌, 견흥(遣興) - 흥에 겨워

 

 

1. 해제

 이 작품은 허난설헌이 지은 한시로, 제목인 견흥흥에 겨워라는 의미이다. 허난설헌의 자전적인 이야기가 담긴 시로 평가받고 있으며 총8수로 구성되어 있다. <3><4>에서 시적 화자는 이별의 상황 속에서 비단노리개와 같은 정표에 의탁하여 자신의 사랑을 표현하며 남편에게 지조를 지킬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처럼 가부장적인 조선 사회에서 적극적인 여성의 목소리가 드러나고 있다는 점에서 이 작품의 의의가 있다.

 

2. 주제 임에 대한 사랑

 

3. 구성

<3> - 임에게 정표로 비단을 드림.

<4> - 임에게 정표로 노리개를 드림.

 

출처 - 2024학년도 수능 특강 문학

 

 

복선화음가(福善禍淫歌)- 작자 미상

 

아들 형제 진사 급제 가문도 혁혁(매우 크고 아름다워 성()하다.)하다

딸을 길러 출가하니 혼수(혼인할 때 필요한 물건의 품목)범절(규범이나 도리에 맞는 모든 질서나 절차) 치행(길 떠날 채비를 하다)이야 다시 일러 어떠하리

춘하추동 사철 의복 너의 생전 유족하다(넉넉하다)

바느질에 침선(針線)채며 대마구종(大馬驅從) 춘득이요 전갈(傳喝)하님 영매로다

남녀노비 갖았으니 전답인들 아니 주랴

대한불갈(大旱不渴)좋은 전답 삼백 석 받는 추수(秋收)

동도지(東賭地) 오천 냥은 요용소치(要用所致-필요가 있어서 행함) 유여(有餘-모자라지 않고 넉넉하다)하다

나의 신행(新行)올 때가 도리어 생각난다

저 건너 괴똥어미 시집살이 하던 말을

너도 들어 알거니와 대강 일러 경계하마(미리 마음을 가다듬어 조심하다)

제일 처음 시집올 제 가산(家産)이 만금(萬金)이라

마당에 노적(露積-곡식 따위를 한데 수북이 쌓아 둠)이요 너른 광에 금은이라

신행하여 오는 날에 가마문을 나서면서

눈을 들어 사방 살펴 기침을 크게 하니 신부 행실 바이없다(정도가 비할 데 없이 매우 심하다)

다담상(茶啖床-손님을 대접하기 위해 차와 과자 따위의 음식을 차린 상)의 허다 음식 생률(날것 그대로의 밤) 먹기 괴이하다

무슨 배가 그리 고파 국 마시고 떡을 먹고

좌중부녀(座中婦女) 어이 알아 떡 조각을 집어 들고

이도 주고 저도 주고 새댁 행실 전혀 없다

입구녁에 침이 흘러 연지분도 간데없고

아까울사 대단(大緞-옛날 중국에서 나던 비단으로 만든 치마)치마 얼룽덜룽 흉악하다

신부 행동 그러하니 뉘 아니 외면하리

삼일을 지낸 후에 형용도 기괴하다

백주에 낮잠 자기 혼자 앉아 군소리며

둘이 앉아 흉보기와 문틈으로 손보기며 담에 올라 시비 구경

어른 말씀 토 달기와 금강산 어찌 알고 구경한 이 둘째로다

기역니은 모르거든 어찌 책을 들고 앉노

앉음앉음 용렬하고(변변하지 못하고 좀스럽다) 걸음걸음 망측하다(사리에 맞지 않고 어이가 없어서 차마 보거나 듣기가 어렵다)

달음박질하는 때에 너털웃음 무슨 일고

치마꼬리 해어지고 비녀 빠져 개가 문다

허리띠 얻다 두고 붉은 허리 드러내노

어른 걱정 하올 적에 쪽박 함박 드던지며

성내어 솥 때 닦기 독살 부려 그릇 깨기

등잔 뒤에 넘보기며 가만가만 말뜻 세워

아니 한 말 지어내어 일가 간에 이간질과

좋은 물건 잠깐 보면 도적(盜賊)하기 예사로다

그중에 행실 보소 악한 사람 부동(符同)하여착한 사람 흉보기와

제 처신 그러하니 남편인들 귀할쏘냐

금슬 좋자 살풀이며 무병(無病)하라 푸닥거리

의복 주고 금전 주어 아들 낳고 부귀하기

정성껏 빌어 보소 산에 올라 산제(山祭-산신에게 지내는 제사)하고 절에 가서 공양(供養)한들

제 인심이 그러하니 귀신인들 도울쏘냐

우환이 연접하니 사망인들 없을쏘냐

딸아 딸아 아기 딸아, 복선화음(福善禍淫)하는 법이 이를 보니 분명하다

저 건너 괴똥어미 너도 흠연 안 보았나

허다 세간 포진철물(暴殄天物)남용남식(濫用濫食)하고 나서 그 모양이 되었구나

딸아 딸아 고명딸(아들 많은 집의 외딸)아 괴똥어미 경계하고

너의 어미 살을 받아 세금 결시 이른 말은 부디 각골(刻骨-고마움이나 원한 따위를 뼈에 새기듯이 마음에 깊이 간직하여 잊지 않음) 명심하라

딸아 딸아 울지 말고 부디부디 잘 가거라

효봉구고(孝奉舅姑)순승군자(順承君子)동기우애(同氣友愛) 지친화목(至親和睦)

기쁜 소식 듣기오면 명년 삼월 화류시에 모녀상봉 하느니라

 

대마구종 춘득이요 전갈하님 영매로다 : 큰 말의 고삐를 잡고 가는 하인은 춘득이요, 소식을 전해 주는 계집종은 영매로다. 화자의 딸이 시집갈 때 넉넉한 재산을 가지고 여러 하인들과 함께 가는 모습을 표현한 것임.

대한불갈 : 큰 가뭄에도 마르지 않는.

신행 : 혼인할 때, 신랑이 신부 집으로 가거나 신부가 신랑 집으로 감.

부동하여 : 그른 일에 어울려 한통속이 되어.

복선화음 : 선한 사람에게는 복을 주고, 악한 사람에게는 재앙을 내림.

포진전물 : 물건을 함부로 쓰고도 아까운 줄 모름.

남용남식 : 지나치게 쓰고 먹음.

효봉구고 : 시부모를 효성으로 섬김.

순승군자 : 남편을 순순히 따름.

지친화목 : 가까운 가족끼리 화목하게 지냄.

화류시 : 화전놀이 할 때.

 

 

해제

이 작품은 조선 후기 경북 안동 지방을 중심으로 유행한 규방 가사로 결혼한 여성이 고수해야 할 부덕을 자기 서사의 형식으로 제시한 교훈서에 해당한다. 이러한 성격을 띤 규방 가사를 계녀가라고도 한다. 작품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첫째 부분은 어머니인 화자가 결혼을 하는 딸에게 건네는 이야기이다. 이 이야기는 어머니인 화자가 결혼을 한 후 부덕을 지키며 부지런히 살림을 하여 가난한 집안을 경제적으로 일으켜 세우고, 남편과 아들들을 모두 과거에 급제하게 하여 가문을 빛나게 한 과정을 담고 있다. 제목인 복선화음가에서 복선선한 일을 한 사람에게 하늘이 복을 내린다.’라는 뜻인데 바로 작품의 첫째 부분에 제시된 어머니의 삶을 함축적으로 표현한 말이다. 둘째 부분은 괴똥어미의 시집살이 이야기이다. 괴똥어미는 성품이 속악하고 사치스러우며 행동거지가 단정하지 못해 집안에 불행을 가져온 인물이다. 어머니인 화자는 결혼하는 딸에게 일종의 반면교사로서 괴똥어미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제목인 복선화음가에서 화음무절제한 행동을 한 사람에게는 하늘이 화를 내린다.’라는 뜻인데 바로 작품의 둘째 부분에 제시된 괴똥어미의 삶을 함축적으로 표현한 말이다. 셋째 부분은 어머니인 화자가 딸에게 자신을 본받고 괴똥어미를 경계하며 여성의 덕목을 잘 지킬 것을 당부하는 내용이다.

 

2. 주제 결혼하는 여성이 지켜야 할 덕목과 경계해야 할 일

 

3. 구성

처음 어머니(화자)가 결혼을 앞둔 딸에게 건네는 이야기

중간 괴똥어미의 시집살이

어머니(화자)가 결혼을 앞둔 딸에게 건네는 이야기

 

 

 

 

만분가- 조위

 

 

천상백옥경(옥황상제가 산다는 궁궐- 임금이 계신 한양의 궁궐을 의미) 십이루 어디인가

오색운 깊은 곳에 자청전(신선이 사는 집)이 가렸으니

천문(대궐의 문을 높여 이르는 말) 구만리(유배지와 대궐 사이의 거리감)를 꿈에라도 갈동 말동

차라리 죽어져서 억만 번 변화하여

남산 늦은 봄에 두견새 넋이 되어

이화 가지 위에 밤낮에 못 울면

삼청동(신선이 사는 동네) 안에 저문 하늘 구름 되어

바람에 흩날려서 자미궁(북두성의 북쪽에 있는 별 이름- 한양의 궁궐을 의미)에 날아올라

옥황 향안 전에 지척에 나가 앉아

흉중에 쌓인 말씀 실컷 아뢰리라

아 이내 몸이 천지간에 늦게 나니

황하수 맑다마는 초객의 후신인가

상심도 한이 없고 가태부의 넋이런가(스스로를 초객(굴원)’가태부에 비유함으로써 자신이 억울한 귀양살이를 하고 있음을 암시)

한숨은 웬일인가 형강(중국의 강 이름. 여기서는 유배지)은 고향이라

십 년을 유락하니 백구와 벗이 되어

함게 놀자 하였더니 어르는 듯 괴는 듯

남 다른 임(임금. 성종)을 만나 금화성 백옥당의 꿈조차도 향기롭다

오색실 이름 짧아 임의 옷은 못 하여도

바다 같은 임의 은()을 추호나 갚으리라

백옥 같은 이내 마음 임 위하여 지켰더니

장안 어젯밤에 무서리 마구 내려(조정의 혼란-무오사화)

일모 수죽에 취수도 냉박쿠나(임금과 멀리 떨어진 고독한 시간과 공간에서 느끼는 화자의 쓸쓸함)

유란(절개 상징)을 꺾어 쥐고 임 계신 데 바라보니

약수(장애물-정치적 반대 세력) 가려진 데 구름 길(한양으로 돌아가는 길)이 험하구나

 

(중략)

 

초수 남관이 고금에 한둘이며

백발 황상에 슬픈 일도 많고 많다

건곤이 병이 들어 혼돈이 죽은 후에

하늘이 침울할 듯 관색성이 비치는 듯

고정 의국에원망과 울분만 쌓였으니

차라리 한 눈이 먼 말같이 눈감고 살고 싶다

창창 막막하여 못 믿을 건 조화로다

이러나 저러나 하늘을 원망할까

큰 도적도 성히 놀고 백이(伯夷)도 굶어 죽으니

동릉이 높은 건가 수양산이 낮은 건가

남화삼십 편에 의론도 너무 많다

남가의 지난 꿈을 생각하면 싫고 밉다

고국 송추를 꿈에 가 만져 보고

선산의 무덤을 깬 후에 생각하니

구회 간장이 굽이굽이 끊어졌네

장해 음운에 백주에 흩어지니

호남 어느 곳이 귀역이 모여드는 곳인지

도깨비와 두억시니가 싫도록 젖은 가에

백옥은 무슨 일로 쉬파리의 소굴이 되고

북풍에 혼자 서서 끝없이 우는 뜻을

하늘 같은 우리 임이 전혀 아니 살피시니

목란과 가을 국화가 향기로운 탓이던가

 

초수 남관 : 초나라 사람 종의가 남관을 쓰고 갇혔다는 고사를 이름. 벼슬아치가 죄수가 되는 상황을 뜻함.

백발 황상 : 고위직의 늙은 신하. 북송 때 황상이라는 신하가 감옥에 갇힌 일이 있음.

관색성 : ‘옥살이를 의미하는 별.

고정 의국에 : 유배지에서 나라만을 생각하는 충정에.

동릉 : 중국 후난성에 있는 땅 이름. 옛날에 큰 도적이 살았다고 함.

남화 : 남화진경의 준말. 장자의 다른 이름.

남가의 지난 꿈 : 남가지몽. 한때의 부귀와 권세는 꿈과 같음을 이르는 말.

장해 음운 : 병을 발생하게 하는 구름.

 

 

1. 해제

 이 작품은 조선 연산군 때 무오사화에서 죽음을 면하고 전남 순천으로 유배를 간 조위가 지은 유배 가사이다. 억우랗게 귀양길에 오른 데 대한 비분강개한 마음을 선왕에게 하소연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최초의 유배 가사로 잘 알려져 있으며, 정철의 사미인곡이나 속미인곡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주제 억울한 심정을 하소연하고 싶은 마음과 연군의 마음

 

3. 구성

        1~10천상 세계에 올라가 옥황 앞에서 억울함과 원통함을 하소연 하고 싶은 마음

        11~13초객, 가태부와 비슷한 자신의 처지

        14~19꿈과 같이 행복한 순간이 되어 준 임의 은혜를 갚고 싶은 마음

        20~24임과 헤어진 후 임의 소식을 기다리는 간절한 상황

        25~32벼슬을 잃고 죄인이 된 신하의 원망과 울분

        33~39지조 있는 신하가 미움을 받는 상황에 대한 한탄과 고향에 대한 그리움

        40~46유배지에 있는 자신을 살피지 않는 임에 대한 원망과 안타까움

 

 

출처 - 2024학년도 수능 특강 문학

 

 

 

조홍시가(早紅柹歌)- 박인로

 

 

반중(盤中) 조홍(早紅)감이 고아도 보인다

유자(柚子-) 아니라도 품음즉하다마는

품어가 반길 이 없을새 그로 설워 하나이다.

                                                                                                                     <1>

 

 

왕상(王祥)의 이어(鯉魚-잉어)잡고 맹종(孟宗)의 죽순(竹筍) 꺾어

검던 머리 희도록 노래자(老萊子)의 옷을 입

일생(一生)에 양지성효(養志誠孝)를 증자(曾子)같이 하리다

                                                                                                                       <2>

 

 

만균(萬勻)을 늘여 내어 길게 길게 노를 꼬아

구만리장천(九萬里長天)에 가는 해를 잡아매어

북당(北堂)학발쌍친(鶴髮雙親)을 더디 늘게 하리이다

                                                                                                                     <3>

 

 

군봉(群鳳)모이신 데 외가마귀 들어오니

백옥(白玉) 쌓인 데 돌 하나 같다마는

봉황도 비조(飛鳥)와 유()이시니 뫼셔 논들 어떠리

                                                                                                                        <4>

 

 

*유자 아니라도 품음직: 중국 삼국 시대 때 육적이란 사람이 원술이 준 귤(유자)을 품속에 품어다가 어머니께 드린 고사를 연상하며 말한 것임.

*왕상: 중국 진나라 때 사람으로, 병을 앓는 계모가 생선을 먹고 싶다고 하자 한겨울에 옷을 벗고 얼음을 깨었는데 그 얼음 구멍에서 한 쌍의 잉어가 튀어나오자 그것을 계모에게 갖다주었음.

*맹종: 중국 오나라 때 사람으로, 죽순을 즐겨 먹는 어머니를 위해 죽순이 나오지 않은 겨울에 대숲으로 가 죽순을 구해 어머니에게 드렸음.

*노래자: 중국 초나라 때 사람으로, 70세에 부모님을 위해 때때옷을 입고 재롱을 피웠음.

*만균: 균은 무게의 단위로, 만균은 쇳덩어리 30만 근에 해당함.

*학발쌍친: 학의 깃털같이 머리가 하얗게 센 부모.

*군봉: 무리를 지어 있는 봉황.

 

 

1. 해제

이 작품은 순차적으로 이루어진 총 4수의 연시조이다. 작가의 문집인 노계집(蘆溪集)에 실려 있고, 청구영언· 해동가요등에도 전한다. <1>는 육적회귤의 고사를 활용하여 효의 실천 정신을 말하고 있다. <2>에서는 왕상, 맹종, 노래자, 증자 등 이십사효의 주인공들을 통해 <1>에 이어서 효를 더욱 강조하고 효의 지평을 역사적 차원으로 확대하였다. <3>에서는 시간을 더디게 흐르게 한다는 상상력을 통해 부모의 장수를 기원하고 있다. <4>에는 까마귀를 등장시켜 의 공동체적 가치에 대해 말한다. 반포지효(反哺之孝)라는 성어에서 알 수 있듯이 까마귀는 동아시아의 문학 관습에서 효도를 상징하는 새로 규정되는데, ‘의 가치가 매우 중요하므로 까마귀가 봉황의 무리에 들어가 어울릴 수 있을 만큼 귀한 존재로 평가된다. 요컨대 이 작품은 가 개인적 차원을 넘어 역사적 · 사회적으로, 또한 인간적 차원을 넘어 자연물에까지 해당하는 규범이자 보편적 가치임을 노래한 것이다.

 

2. 주제 부모에 대한 효심과 봉양의 의지

 

3. 구성

1: 부재하는 부모에 대한 그리움과 효심

2: 부모에 대한 효행의 의지와 다짐

3: 부모의 장수를 기원함.

4: 웃어른에 대한 봉양의 마음과 자세

 

4. 참고

<회귤의 고사>

삼국 시대 오군(吳郡) 사람 육적(陸績)이 여섯 살 때에 원술(袁術)을 찾아갔더니, 원술이 귤 세 개를 먹으라고 주었는데, 육적이 그것을 품속에 품었다가 일어설 때에 품었던 귤이 방바닥에 떨어졌다. 원술이 그 연유를 물은즉, 어머님께 드리려고 품었다고 대답하더라는 고사인데, 회귤의 고사는 곧 효도를 뜻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