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수능 언매 정답.pdf
0.50MB
2022년 수능 언매.pdf
3.68MB
2022년 수능 화작 문제.pdf
3.68MB
2022년 수능 화작 정답.pdf
0.50MB
2021년 수능 문제.pdf
2.49MB
2021년 수능 정답.pdf
0.30MB
2020년 수능 문제.pdf
5.58MB
2020년 수능 정답.pdf
0.28MB
2019년 수능 문제.pdf
3.19MB
2019년 수능 정답.pdf
0.32MB

고3- 기출문학작품 목록.hwp
0.09MB

고3- 기출 독서 목록.hwp
0.11MB

 

마루샘 국어 과외 · 공부방

 

1. 일 대 일 수업, 그룹 과외 가능합니다.

2. 금천동 일대는 선생님 집(공부방)에서 수업 진행 가능합니다.

3. 시험기간 내신대비 단기 수업 가능합니다.

4. 청주 지역 수업 가능합니다.

5. 상담 가능 시간 : 오전 10시 ~ 오후 10시(수업 중에는 상담이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문자 남겨 주시면 연락 드리겠습니다.)

 

 

'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고봉 국어  (0) 2024.03.07

동동(動動) - 작자 미상

 

 

()으란 곰예 받ᄌᆞᆸ고, ()으란 림예 받ᄌᆞᆸ고

()이여 복()이라 호ᄂᆞᆯ 나ᄋᆞ라 오소이다.

아으 동동(動動)다리.                                                            - 덕과 복을 빎

 

 

정월(正月)ㅅ 나릿므른 아으 어져 녹져 ᄒᆞ논

누릿 가온나곤 몸하 ᄒᆞ올로 녈셔.

아으 동동(動動)다리.                                                           - 홀로 살아가는 외로움

 

이월(二月)ㅅ 보로매, 아으 노피 현 등()ㅅ블 다호라.

만인(萬人) 비취실 즈이샷다.

아으 동동(動動)다리.                                                           - 임의 인품

 

삼월(三月) 나며 개()ᄒᆞᆫ 아으 만춘(萬春) ᄃᆞᆯ욋고지여.

ᄂᆞ브롤 즈을 디 나샷다.

아으 동동(動動)다리.                                                          - 아름다운 임의 모습

 

사월(四月) 아니 니저 아으 오실셔 곳고리새여.

므슴다 녹사(錄事)니ᄆᆞᆫ 녜나ᄅᆞᆯ 닛고신뎌.

아으 동동(動動)다리.                                                          - 무심한 임에 대한 애끓는 정

 

오월(五月) 오일(五日), 아으 수릿날 아ᄎᆞᆷ 약()

즈믄 장존(長存)ᄒᆞ샬 약()이라 받ᄌᆞᆸ노이다.

아으 동동(動動)다리.                                                         - 임의 만수무강을 빎

 

유월(六月)ㅅ 보로매 아으 별해 ᄇᆞ룐 빗 다호라.

도라보실 니믈 젹곰 좃니노이다.

아으 동동(動動)다리.                                                         - 나를 버린 임을 사모함

 

칠월(七月)ㅅ 보로매 아으 백종(百種) ()ᄒᆞ야 두고

니믈 ᄒᆞᆫ 녀가져 원()을 비ᄋᆞᆸ노이다.

아으 동동(動動)다리.                                                        - 임과 함께 살고 싶은 소망

 

팔월(八月)ㅅ 보로ᄆᆞᆫ 아으 가배(嘉排) 나리마ᄅᆞᆫ

니믈 뫼셔 녀곤 오ᄂᆞᆯ낤 가배(嘉排)샷다.

아으 동동(動動)다리.                                                       - 임에 대한 절실한 그리움

 

구월(九月) 구일(九日)애 아으 약()이라 먹논 황화(黃花)

고지 안해 드니 새셔 가만ᄒᆞ얘라.

아으 동동(動動)다리.                                                      - 임이 없는 쓸쓸함

 

시월(十月)애 아으 져미연 ᄇᆞᄅᆞᆺ 다호라.

것거 ᄇᆞ리신 후()에 디니실 ᄒᆞᆫ 부니 업스샷다.

아으 동동(動動)다리.                                                        - 버림받은 슬픔

 

십일월(十一月)ㅅ 봉당 자리예 아으 한삼(汗衫) 두퍼 누워

슬ᄒᆞᆯᄉᆞ라온뎌 고우닐 스싀옴 녈셔.

아으 동동(動動)다리.                                                       - 독수공방의 슬픔

 

십이월(十二月)ㅅ 분디남ᄀᆞ로 갓곤 아의 나() 져 다호라.

니믜 알드러 얼이노니 소니 가재다 므ᄅᆞᄋᆞᆸ노이다.

아으 동동(動動)다리.                                                       - 임과 인연을 맺지 못하는 한

 

 

 

1. 글핵 잡기

 

시의 화자 - (여성)

시적 대상 (녹사- 벼슬을 하는 계층의 남자)

시적 상황 임과 이별한 상황

화자의 정서 외로움, 원망, 슬픔

화자의 태도 송축, 기원, 임과 함께 하고픈 소망

핵심 시어 ()ㅅ블, ᄃᆞᆯ욋곶, 정월(正月)ㅅ 나릿므른, 곳고리새, , 별해 ᄇᆞ룐 빗, 져미연 ᄇᆞᄅᆞᆺ, ()

 

2. 글핵 굳히기

 

핵심 시어 의미

()ㅅ블, ᄃᆞᆯ욋곶 임에 대한 비유. (등불 임의 인품, 진달래꽃 출중한 인물의 모 습)

정월(正月)ㅅ 나릿므른, 곳고리새 객관적 상관물

별해 ᄇᆞ룐 빗, 져미연 ᄇᆞᄅᆞᆺ, () 화자의 처지를 빗댄 표현

임에 대한 화자의 정성과 사랑

 

시의 표현

 

월령체 - 정월에서 12월까지 달마다의 세시 풍속을 노래의 배경으로 삼고 있는 가요 형식을 월령체 또는 달거리라고 한다. 흔히 각 연은 그 달의 자연, 명절의 놀이, 민속 행사를 반영하여 다양하고 풍부한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한다.

동동은 현전하는 시가 중 처음으로 등장하는 월령체의 노래이지만 세시 풍속이 2·5·6·7·8·9월에만 나타나 있고 여타의 달은 계절적 특성만 반영되어 있을 뿐이다.

 

직유법 - ᄃᆞᆯ욋곶, 져미연 ᄇᆞᄅᆞᆺ, 져미연 ᄇᆞᄅᆞᆺ, () 져 등

은유법 - ()ㅅ블

객관적 상관물 - 정월(正月)ㅅ 나릿므른, 곳고리새

 

3. 글핵 정리

 

. 갈래 고려 가요

. 성격 서정적, 애상적

. 주제 임에 대한 송축과 연모

. 의의 우리 문학사상 최초의 월령체 노래

. 출전 - 악학궤범(樂學軌範)

 

4. 글핵 더하기

 

. 송축(頌祝)과 연모(戀慕)의 노래

동동은 전체적으로 임에 대한 송도(頌禱)와 연모(戀慕)의 정이 깔려 있지만, 각 연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는 않다. 특히, 1연은 공적인 임금에 대한 송도의 성격이 짙어, 개인적 정서를 노래한 나머지 연과 차이를 보인다. 이는 원래 연가풍(戀歌風)의 민요였던 동동이 궁중의 의식가(儀式歌)로 쓰이면서 변형된 결과이다.

 

. ‘동동에 나타난 세시풍속

 

2월 보름(연등회) - 본래 정월 보름에 등불을 매달아 복을 빌던 불교 행사였음. 현종(11세기) 이후는 2월 보름, 고종(13세기) 이후에는 4월 초파일로 날짜를 변경하여 시행함.

55(단오 또는 수릿날) - 농경의 풍작을 기원하는 행사. 수리치를 넣은 둥근 떡을 만들어 먹으며, 창포물에 머리를 감고, 그네뛰기, 씨름 등의 놀이를 하였음.

6월 보름(유두일) - 신라 때부터의 풍속. ()을 씻어버리기 위해서, 동쪽으로 흐르는 물에 머리를 감고 머리를 빗은 다음 그 빗을 버림.

7월 보름(백중) - 이날 승려들은 여름 동안의 안거(安居- 스님들이 음력 415일부터 715일까지 일정한 곳에 들어 앉아 수행에 전념하는 일)를 마치고 재()를 올림. 민간에서는 여러 가지 과일과 음식을 차려 죽은 사람의 영혼을 위로함.

8월 보름(추석, 한가위) - ‘추석예기(禮記)에서 나온 말이고, 고유 명사로는 가윗날이라 부르는데 이는 가운데를 뜻하는 가배에서 유래된 말임.

99(중양절) - 선비들은 교외로 나가 황국(黃菊)을 띄워 술을 마시며 시화(詩畫)로 하루를 즐김. 가정에서는 국화전(菊花煎)’을 부쳐 먹었음.

 

'고려 역사 속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송인-정지상  (0) 2023.05.03
한림별곡(翰林別曲) - 한림제유  (0) 2023.03.15
정석가(鄭石歌)  (0) 2021.04.01
서경별곡(西京別曲)  (0) 2021.04.01
가시리  (0) 2021.04.01

정석가(鄭石歌) - 작자 미상

 

딩아 돌하 당금(當今)에 계샹이다.

딩아 돌하 당금(當今)에 계샹이다.

션왕셩(先王聖代)예 노니ᄋᆞ지이다. - 태평성대에 대한 희구(바라며 구하다)

 

삭삭기 셰몰애 별헤 나ᄂᆞᆫ

삭삭기 셰몰애 별헤 나ᄂᆞᆫ

구은 밤 닷 되를 심고이다.

그 바미 우미 도다 삭나거시아

그 바미 우미 도다 삭나거시아

유덕(有德)ᄒᆞ신 님믈 여ᄋᆞ와지이다.

- 구운 밤에 싹이 돋는 상황을 가정하여 영원한 사랑 맹세

 

()으로 련()ㅅ고즐 사교이다.

()으로 련()ㅅ고즐 사교이다.

바희 우희 접듀(接柱)ᄒᆞ요이다.

그 고지 삼동(三同)이 퓌거시아

그 고지 삼동(三同)이 퓌거시아

유덕(有德)ᄒᆞ신 님 여ᄋᆞ와지이다.

- 옥으로 새긴 연꽃이 피는 상황을 가정하여 영원한 사랑 맹세

 

므쇠로 텰릭을 ᄆᆞᆯ아 나ᄂᆞᆫ

므쇠로 텰릭을 ᄆᆞᆯ아 나ᄂᆞᆫ

텰ᄉᆞ(鐵絲)로 주롬 바고이다.

그 오시 다 헐어시아

그 오시 다 헐어시아

유덕(有德)ᄒᆞ신 님 여ᄋᆞ와지이다.

- 철로 만든 옷이 허는 상황을 가정하여 영원한 사랑 맹세

 

 

므쇠로 한쇼를 디여다가

므쇠로 한쇼를 디여다가

텰슈산(鐵樹山)애 노호이다.

그 쇼ㅣ 텰초(鐵草)를 머거아

그 쇼ㅣ 텰초(鐵草)를 머거아

유덕(有德)ᄒᆞ신 님 여ᄋᆞ와지이다.

- 철로 만든 소가 쇠풀을 먹는 상황을 가정하여 영원한 사랑 맹세

 

구스리 바회예 디신ᄃᆞᆯ

구스리 바회예 디신ᄃᆞᆯ

긴히그츠리잇가

즈믄 를 외오곰 녀신ᄃᆞᆯ

즈믄 를 외오곰 녀신ᄃᆞᆯ

()잇ᄃᆞᆫ 그츠리잇가 나ᄂᆞᆫ

- 임에 대한 영원한 사랑과 믿음

 

 

현대어 풀이

 

징이여 돌이여, (임금이) 지금에 (우리 앞에) 계십니다.

징이여 돌이여, (임금이) 지금에 (우리 앞에) 계십니다.

태평성대에 노닐고 싶습니다.

 

바삭바삭 소리가 나는 가는 모래 벼랑에

바삭바삭 소리가 나는 가는 모래 벼랑에

구운 밤 다섯 되를 심습니다.

그 밤이 움이 돋아 싹이 나야만

그 밤이 움이 돋아 싹이 나야만

덕행이 있으신 우리 임을 이별하고 싶습니다.

 

옥돌로 연꽃을 새깁니다.

옥돌로 연꽃을 새깁니다.

그것을 바위 위에 갖다 붙입니다.

그 꽃이 세 묶음이 피어야만

그 꽃이 세 묶음이 피어야만

덕행이 있으신 우리 임을 이별하고 싶습니다.

 

무쇠로 융복을 재단하여

무쇠로 융복을 재단하여

철사로 주름을 박습니다.

그 옷이 완전히 해진 뒤라야만

그 옷이 완전히 해진 뒤라야만

덕행이 있으신 우리 임을 이별하고 싶습니다.

 

무쇠로 큰 소를 만들어다가

무쇠로 큰 소를 만들어다가

쇠로 된 나무가 있는 산에 갖다 놓습니다.

그 소가 쇠로 된 풀어 먹어야만

그 소가 쇠로 된 풀어 먹어야만

덕행이 있으신 우리 임을 이별하고 싶습니다.

 

구슬이 바위에 떨어진들

구슬이 바위에 떨어진들

(그것을 꿴) 끈이야 끊어지겠습니까?

(제가 임과 떨어져) 천 년을 외로이 산다 한들

(제가 임과 떨어져) 천 년을 외로이 산다 한들

(임에 대한 제) 믿음이야 끊어지겠습니까?

 

 

1. 글핵 잡기

 

시의 화자 겉으로 드러나지 않음 (여성)

시적 대상

시적 상황 불가능한 상황을 설정하여 임과 절대 헤어지지 않겠다고 함.

시적 태도 영원한 사랑 맹세.

핵심 시어 구은 밤, 옥으로 새긴 연꽃, 무쇠로 만든 옷, 무쇠로 만든 소

                   긴

 

2. 글핵 굳히기

 

핵심 시어 의미

불가능한 상황 - 구은 밤, 옥으로 새긴 연꽃, 무쇠로 만든 옷, 무쇠로 만든 소

() - 변함없는 믿음

 

시의 표현

 

역설법 불가능한 상황을 설정하여 그것이 실현되면 임과 헤어지겠다는 역설적 표현법을 반복하여 사용해, 영원한 사랑을 노래함.

과장법

반어법 - 유덕(有德)ᄒᆞ신 님 여ᄋᆞ와지이다.

 

3. 글핵 정리

 

. 갈래 고려 가요

. 성격 서정적, 민요적

. 주제 임에 대한 영원한 사랑

. 출전 - 악장가사(樂章歌詞)

 

4. 글핵 더하기

 

. 제목의 의미

정석(鄭石)은 사랑하는 대상의 이름 또는 노래 첫구의 딩아 돌하의 차자(借字)로 보아 금속 악기 소리로 보는데 일반적으로 악기 소리로 보는 것이 통설이다.

. 이지적인 1

 

1연은 이별이나 사랑을 노래한 다른 연들과 연관성이 없다. 금왕(今王 )의 풍악[딩돌]을 선왕(先王)의 태평성대와 합일시킴으로써 임금의 덕을 칭송하는 내용이어서, 궁중의 연회에서 사용된 노래임을 짐작할 수 있다.

 

 

. 형식의 특수성

이 작품은 애초에 넉 줄 형식으로 연을 이어가는 민요였는데, 궁중 악곡으로 수용되면서 단순히 반복에 의해 각 연이 여섯 줄로 확장되고, 의식요(儀式謠)에 적합한 제 1연을 덧붙인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 제6연이 서경별곡의 가사와 같은 점으로 보아 이 구절은 당대에 널리 유행한 관용적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고려 역사 속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림별곡(翰林別曲) - 한림제유  (0) 2023.03.15
동동(動動)  (0) 2021.04.01
서경별곡(西京別曲)  (0) 2021.04.01
가시리  (0) 2021.04.01
사모곡(思母曲)  (0) 2021.04.01

서경별곡(西京別曲) - 작자 미상

 

서경(西京)이 아즐가 서경(西京)이 셔울히 마르는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닷곤아즐가 닷곤쇼셩경 고요ㅣ마른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므론 아즐가 여므론 질삼뵈 ᄇᆞ리시고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괴시란아즐가 괴시란우러곰 좃니노이다.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 이별을 거부하고 임을 따르겠다는 적극적 의지

 

 

구스리 아즐가 그스리 바회예 디신ᄃᆞᆯ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긴히아즐가 긴히그츠리잇가 나ᄂᆞᆫ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즈믄 를 아즐가 즈믄 를 외오곰 녀신ᄃᆞᆯ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잇ᄃᆞᆫ 아즐가 신()잇ᄃᆞᆫ 그츠리잇가 나ᄂᆞᆫ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 임에 대한 변함없는 사랑과 믿음

 

 

대동강(大同江) 아즐가 대동강(大同江) 너븐디 몰라셔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내여 아즐가 내여 노ᄒᆞᆫ다 샤공아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네 가시 아즐가 네 가시 런난디 몰라셔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예 아즐가 녈 예 연즌다 샤공아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대동강(大同江) 아즐가 대동강(大同江) 건넌편 고즐여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타 들면 아즐가 타 들면 것고리이다 나ᄂᆞᆫ

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

- 사공에 대한 원망과 임에 대한 불신

 

현대어 풀이

 

서경(평양), 서경이 서울이지마는

중수(重修-낡은 건축물 따위를 다시 손질하여 고침)한 곳인 작은 서울을 사랑하지마는

(임과) 이별하기보다는 길쌈하던 베를 버리고서라도

(나를) 사랑해 주신다면, 사랑해 주신다면 울면서 따라가겠습니다.

 

 

구슬이 구슬이 바위에 떨어진들

끈이야 끊어지겠습니까?

(임과 이별하여) 천 년을 홀로 살아간들

(임을) 사랑하는 마음이야 끊어지겠습니까?

 

 

대동강이, 대동강이 넓은 줄을 몰라서

배를 내어 놓았느냐 사공아

네 아내가 음란한 줄 몰라서

떠나는 배에 (임을) 태웠느냐 사공아.

(나의 임은) 대동강 건너편 꽃을

배를 타고 건너가면 꺾을 것입니다.

 

 

1. 글핵 잡기

 

시의 화자 여성 화자

시적 대상 , 사공

시적 상황 임과 이별한 상황

화자 태도 적극적

화자 정서 원망

핵심 시어 쇼셩경, 질삼뵈, , 대동강,

 

2. 글핵 굳히기

 

핵심 시어 의미

쇼셩경 화자의 삶의 터전

질삼뵈 화자의 생업(여성)

() - 변함없는 믿음

대동강 사랑과 이별의 경계

임이 만날 새로운 여자

 

시의 표현

반복법 - 서경(西京)이 아즐가 서경(西京), 닷곤아즐가 닷곤

설의법 - 긴히그츠리잇가, ()잇ᄃᆞᆫ 그츠리잇가

대구법 2연의 1,3행과 2연의 5,7

 

3. 글핵 정리

. 갈래 고려 가요

. 성격 이별가, 남녀상열지사

. 운율 3·3·2, 3음보, aaba

. 주제 이별의 정한(情恨)

. 출전 - 악장가사(樂章歌詞)전문

- 시용향악보첫 구절과 후렴구

- 이제현의 소악부(小樂府), 2연이 한역(漢譯)되어 실림

 

4. 글핵 더하기

 

. 작품의 형성 과정

이 작품은 세 연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연 사이의 시상 연결이 자연스럽지 못하고 화자의 태도나 어조가 급격하게 변화되고 있다. 또한, 둘째 연에서 후렴구를 제외한 구절들은 정석가에서도 볼 수 있는 구절들이다. 이런 현상들은 고려 당시의 서로 다른 세 가지 노래를 당시 궁중의 속악 악곡에 맞추어 합성하고 후렴을 첨가하여 만들어졌음을 암시하고 있다.

 

. 적극적인 여인상

 

적극적인 여인상은 조선 시대에 자주 등장하는 전통적인 여인상과는 다르다. 이별을 적극적으로 거부하며, 생활의 터전을 버리는 한이 있어도 임을 따라가겠다고 하는 의지의 여인이다.

 

 

'고려 역사 속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동(動動)  (0) 2021.04.01
정석가(鄭石歌)  (0) 2021.04.01
가시리  (0) 2021.04.01
사모곡(思母曲)  (0) 2021.04.01
만전춘별사(滿殿春別詞)  (0) 2021.03.31

가시리 - 작자 미상

 

가실 가시리잇고 나ᄂᆞᆫ                 가시렵니까, 가시렵니까?

ᄇᆞ리고 가시리잇고 나ᄂᆞᆫ           버리고 가시렵니까?

위 증즐가 대평성(太平聖代)                                                    - 원망에 찬 하소연

 

날러는 엇디 살라 ᄒᆞ고                  나더러는 어찌 살라고

ᄇᆞ리고 가시리잇고 나ᄂᆞᆫ          버리고 가시렵니까?

위 증즐가 대평성(太平聖代)                                                     - 원망의 고조

 

잡ᄉᆞ와 두어라마ᄂᆞᄂᆞᆫ            붙잡아 두고 싶지만

선ᄒᆞ면 아니올셰라                       서운하면 오지 않을까 두려워

위 증즐가 대평성(太平聖代)                                                     - 절제와 체념

 

셜온님 보내ᄋᆞᆸ노니 나ᄂᆞᆫ            서러운 임 보내오니

가시ᄂᆞᆫ ᄃᆞᆺ 도셔 오쇼셔 나ᄂᆞᆫ 가시자마자 돌아서서 오소서.

위 증즐가 대평성(太平聖代)                                                        - 소망과 기원

   

 

 

 

 

1. 글핵 잡기

시의 화자

시적 대상

시적 태도 소극적

시적 정서 원망, 체념, 소망

핵심 시어 셜온님

 

2. 글핵 굳히기

핵심 시어 의미

셜온님 주체가 ’ : 나를 서럽게 하는 임

주체가 ’ : 이별을 서러워 하는 임

시상 전개

이별의 상황에 대한 슬픔과 하소연

떠나는 임에 대한 원망

이별에 대한 체념

체념적 수용과 재회에 대한 소망

 

시의 표현

반복법 - ‘aaba’의 구조

-‘가시리잇고의 반복

- 후렴구(위 증즐가 대평성(太平聖代))

 

 

3. 글핵 정리

 

. 갈래 고려 가요

. 성격 서정적, 애상적, 전통적

. 운율 3·3·2조의 운율, aaba 형식의 반복

. 주제 이별의 정한(情恨)

. 특징

---의 구조에 따른 시상 전개

반복법을 사용하여 운율을 형성하고 의미를 강조함.

 

4. 글핵 더하기

 

. 출전 악장가사 : 전문

- 시용향악보 : 1연만 귀호곡(歸乎曲)이란 이름으로 수록하고 <가시리>는 이의 속칭 이라 적음 <사모곡>의 경우처럼 지방 민요가 보편화 되어 <가시 리>로 불리다 속악가사로 개편되면서 <귀호곡>으로 불린 3단계 수용 과정으로 이해하려는 견해도 있음

 

. 형식

위 증즐가 태평성대(太平聖代)’라는 여음구 4연으로 구분되어 있는 분장체

원래는 짧은 형식의 노래였던 것이 속악가사로 편입되면서 임금에 대한 송축의 내용을 전하려는 의도로 후렴구가 삽입된 것으로 추측된다.

 

'고려 역사 속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석가(鄭石歌)  (0) 2021.04.01
서경별곡(西京別曲)  (0) 2021.04.01
사모곡(思母曲)  (0) 2021.04.01
만전춘별사(滿殿春別詞)  (0) 2021.03.31
정과정(鄭瓜亭) - 정서(鄭敍)  (0) 2020.09.22

사모곡(思母曲) - 작자 미상

 

도 ᄂᆞᆯ히언마ᄅᆞᄂᆞᆫ                             호미도 날이지만은

티 들 리도 업스니이다낫같이 들 리도 없습니다.

아바님도 어이어신마ᄅᆞᄂᆞᆫ                            아버님도 어버이시지마는

위 덩더둥셔

어마님ᄀᆞ티 괴시리 업세라어머님같이 나를 사랑하실 분이 없습니다.

아소 님하.                                                   (더 말하지) 마시오 사람들이여.

어마님ᄀᆞ티 괴시리 업세라어머님같이 나를 사랑하실 분이 없습니다.

 

 

1. 글핵 잡기

 

시의 화자 겉으로 드러나지 않음

시적 대상 사람들

시적 상황 어머니의 사랑이 아버지의 사랑보다 더함을 사람들에 말하고 있음.

시적 태도 어머니의 사랑을 예찬

핵심 시어 ,

 

2. 글핵 굳히기

 

핵심 시어 의미

- 아버지의 사랑

어머니의 사랑

(어버이의 사랑을 호미나 낫같이 차갑고 날카로운 이미지의 쇠붙이에 비유하고 있는 것은 노래의 배경이 농경 사회라는 점과 지은이가 꾸밈없고 소박한 사고 방식을 가지고 있음을 암시)

 

시의 표현

은유법 호미,

비교법

 

3. 글핵 정리

 

. 갈래 고려 가요

. 성격 민요와 향가의 형식이 섞여 있는 연의 구분이 없는 시.

. 주제 어머니의 사랑

. 출전 - <악장가사(樂章歌詞)>

 

4. 글핵 더하기

 

. ‘목주가사모곡

 

목주(木州- 지금의 충남 천안) 땅에 한 여인이 있어 아버지와 계모(繼母)를 잘 봉양하여 효녀라고 이름이 났다. 그러나 아버지가 계모의 말만 듣고 딸을 구박하더니 마침내 쫓아내고 말았다. 부모를 하직하고 나선 그녀는 산 속에서 한 노파를 만나 함께 살게 되었다. 그녀가 그 노파를 부모 섬기듯 극진히 모시니, 노파는 드디어 그녀를 며느리로 삼았다. 부부가 화목하게 지내며 알뜰하게 살아 재물을 모았다. 친정 부모가 가난하게 산다는 소식을 들은 그녀는 부모를 모셔와 지성으로 봉양하였다. 그러나 그 부모는 끝내 즐겨하지 않으므로, 효녀는 이 노래를 지어 한탄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노래의 가사는 전하지 않는다.

- 고려사, ‘악지

이 설화에 설정된 상황이 사모곡의 내용과 잘 부합하므로 사모곡은 이 목주가의 후대 형태로 추정된다.

 

. ‘사모곡형식상의 특수성

 

이 노래는 제4구의 여음구를 삭제하면, 6구의 형태가 되어 평시조의 36구와 형식이 유사하고, 3장으로 나눌 때 그 첫 구절이 감탄적 어휘인 아소 님하로 시작되어, 10구체 향가의 낙구를 연상케 한다.

 

. ‘사모곡의 구조

 

1, 2비유적 표현

3, (4), 5직설적 표현

6,7주제의 반복, 강조

 

원래 이 노래는 제 1,2, 3,5행의 병렬 구조로 되어 있는 4구체의 소박한 민요였을 것이다. 이 민요가 궁중의 속악 가사로 채택되면서 제4행에 여음구가 삽입되었고, 6,7행의 서정적 완결부가 첨가된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 역사 속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경별곡(西京別曲)  (0) 2021.04.01
가시리  (0) 2021.04.01
만전춘별사(滿殿春別詞)  (0) 2021.03.31
정과정(鄭瓜亭) - 정서(鄭敍)  (0) 2020.09.22
고려가요  (0) 2020.09.22

만전춘별사(滿殿春別詞)

 

 

어름 우희 댓닙자리 보와 님과 나와 어러 주글만뎡

어름 우희 댓닙자리 보와 님과 나와 어러 주글만뎡

()둔 오ᄂᆞᆳ밤 더듸 새오시라 더듸 새오시라

- 임과 오랫동안 함께하고 싶은 소망

 

경경(耿耿) 고침샹(孤枕上)애 어느 ᄌᆞ미 오리오

서창(西窓)을 여러ᄒᆞ니 도화(桃花) ㅣ 발()ᄒᆞ두다

도화(桃花)ᄂᆞᆫ 시름 업서 쇼춘풍(笑春風)ᄒᆞᄂᆞ다 쇼춘풍(笑春風)ᄒᆞᄂᆞ다

- 임이 떠난 후의 외로움

 

넉시라도 님을 ᄒᆞᆫ 녀닛 경() 너기다니

넉시라도 님을 ᄒᆞᆫ 녀닛 경() 너기다니

벼기더시니 뉘러시니가 뉘러시니

- 임에 대한 원망

 

올하 올하 아련 비올하

여흘란 어듸 두고 소해 자라 온다

소콧 얼면 여흘도 됴ᄒᆞ니 여흘도 됴ᄒᆞ니

- 임의 방탕한 생활에 대한 원망

 

남산(南山)애 자리 보와 옥산(玉山)을 벼여 누어

금수산(錦繡山) 니블 안해 사향(麝香) 각시를 아나 누어

()든 가ᄉᆞᆷ을 맛초ᄋᆞᆸ사이다 맛초ᄋᆞᆸ사이다

- 임에 대한 욕망

 

아소 님하

원대평생(遠代平生)애 여힐ᄉᆞᆯ 모ᄅᆞᄋᆞᆸ새

- 임과의 영원한 사랑에 대한 소망

 

 

현대어 풀이

 

얼음 위에 댓잎 자리 펴서 임과 나와 얼어 죽을망정

얼음 위에 댓잎 자리 펴서 임과 나와 얼어 죽을망정

() 둔 오늘 밤 더디 새소서, 더디 새소서.

 

근심 어린 외로운 잠자리에 어찌 잠이 오리오

서쪽 창문을 열어젖히니 복숭아꽃이 피었구나.

복숭아꽃이 근심 없이 봄바람에 웃는구나, 봄바람에 웃는구나.

 

넋이라도 임과 함께 지내겠다고 여겼더니

넋이라도 임과 함께 지내겠다고 여겼더니

어기던 이가 누구였습니까? 누구였습니까?

 

오리야, 오리야, 연약한 비오리야.

여울은 어디 두고, 연못에 자러 오느냐?

연못마저 곧 얼면 여울도 좋으니, 여울도 좋으니

 

남산에 잠자리를 보아 옥산을 베고 누워

금수산 이불 안에서 사향 각시를 안고 누워

사향이 든(향기로운) 가슴을 맞추십시다. 맞추십시다.

 

그러지 마소서, 임이시여. 원대 평생에 이별할 줄 모르고 지내시다.

 

1. 글핵 잡기

 

시의 화자

시적 대상

시적 상황 다른 사랑을 찾아 떠난 임에게 영원한 사랑에 대한 소망하고 있다.

시적 정서 아쉬움, 외로움, 원망, 영원한 사랑에 대한 소망

핵심 시어 도화, 비올, , 여흘

 

2. 글핵 굳히기

 

핵심 시어 의미

도화 시름 없어 봄바람에 웃음(화자와 대비되는 소재로 화자의 외로움을 심화시키는 객 관적 상관물)

비올 비오리. 화자가 사랑하는 임.

다른 여자

여흘 화자

 

작품 구성의 특수성

 

만전춘별사의 각 연은 형식상 불균형을 보이고 있다. 시적 의미에 통일성이 결여되어 있고, 2연과 제5연은 다른 연과 달리 한자 어투가 많이 쓰여 시어면에서도 이질적이다. , w[1연에서는 여성이던 화자가 제5연에서는 남성 화자로 바뀌기도 한다. 이런 현상들은 이 작품이 한 개의 통일성이 있는 시가가 아니라, 여러 개의 시가들을 합성하여 만든 것임을 말해주는 것이다.

 

3. 글핵 정리

 

. 갈래 - 고려 가요

. 성격 남녀상열지사(男女相悅之詞), 향락적, 연가(戀歌)

. 제재 남녀 간의 사랑

. 주제 임과의 영원한 사랑에 대한 소망.

. 출전 - <악장가사>, <시용향악보>

 

4. 글핵 더하기

 

. 시조 형식과의 연관성

이 노래는 시조 형식의 기원을 찾을 수 있는 자료로 주목을 받기도 한다. 2연과 5연은 반복구를 빼면 시조 형식에 가깝다.

 

. 대표적 남녀상열지사(男女相悅之詞- 남녀가 서로 기뻐하는 노래, 남녀의 애정을 주제로 한 노래)

이 시가는 임을 향한 애정을 진솔하게 표현했을 뿐만 아니라, 관능적인 표현도 서슴지 않았다. 이 작품은 쌍화점’, ‘이상곡과 함께 남녀상열지사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고려 역사 속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시리  (0) 2021.04.01
사모곡(思母曲)  (0) 2021.04.01
정과정(鄭瓜亭) - 정서(鄭敍)  (0) 2020.09.22
고려가요  (0) 2020.09.22
이옥설 - 이규보  (0) 2020.07.11

+ Recent posts